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Youngrok Kim 김영록 Nov 15. 2021

#45 K-POP과 벤처캐피털

점점 가까워지는 엔터테인먼트와 벤처캐피털 업계

얼마 전 요즘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다는 싱가포르 출신의 지인과 블랙핑크나 BTS 등의 K-POP 스타에 관해서 이런저런 잡담을 나누고 있었습니다. K-POP 스타들이 연습생으로서 어떤 훈련을 받고 있는지, 그들이 성공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그리고 그들이 만드는 사회적 영향 등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는데요, 이야기를 나누던 중에 문득 K-POP업계과 벤처캐피털 업계에는 많은 공통점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메일리 뉴스 레터 구독  | 팟캐스트: 스포티파이 & 애플 팟캐스트


우선 기획사나 벤처캐피털 펀드의 관점에서 보면 ‘K-POP 스타’가 탄생하는 과정은 ‘유니콘 스타트업’이 탄생하는 과정과 매우 비슷하다는 점입니다. 벤처캐피털은 투자자로서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평가를 하며, 그들의 기준을 충족하면 투자까지 이르게 되고, 이후 회사가 성장할 수 있도록 서포트를 합니다. 


기획사도 엄밀히 말하면 연습생에 대한 투자자로서 위와 같은 프로세스가 있습니다. 인재를 발굴하고 평가하며, 여러 가지 리소스를 투자하면서 연습생들이 스타가 되는 과정을 지원합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보면, 인재를 발굴하는 방법으로는 기획사에 직접 문의를 하는 경우나(≒인바운드), 공개 오디션 등에서 선택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스타트업의 Demo Day). 그 후의 평가를 통과한 사람은 (≒듀 딜리전스), 연습생 (≒포트폴리오)이 됩니다. 연습생들은 정기적인 평가를 받고, 성공 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은 기획사로부터 지속적으로 지원을 받습니다(≒팔로우온 투자). 연습생들이 무사히 데뷔를 하고 큰 인기를 모으면서 스타가 되면, 기획사는 그들 스타로부터 이익을 창출합니다. 


또 다른 공통점은 두 산업 모두 고위험 고수익 사업이라는 점입니다. 최종적으로 적은 수의 포트폴리오 회사만이 유니콘이 되고, 그들이 벤처캐피털의 대부분의 수익을 만들어 내듯이, 적은 수의 연습생만이 스타가 됩니다. 또, 프로세스가 긴 것도 공통의 특징입니다. 벤처캐피털 펀드는 투자처 기업이 유니콘이 될 때까지 보통 5~10년은 기다려야 합니다. 기획사도 연습생들이 스타가 될 때까지 오랜 시간에 걸쳐 서포트를 계속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블랙핑크의 멤버들은 데뷔하기까지 평균 약 5년 정도를 연습생으로 보냈습니다. 


마지막 포인트로, 성공적인 스타트업도 K-POP 스타도 우리 사회에 또 개개인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성공적인 스타트업은 기존 비즈니스와 삶의 방식을 바꿉니다. Square는 소매점에서 결제의 방식을 크게 바꾸고 AirBnb와 Uber는 공유 경제의 촉매제가 되어 사람들의 잉여 자산에 대한 사고방식을 바꿨습니다. 마찬가지로 성공적인 K-POP 스타, 혹은 더 넓은 의미에서의 문화도, 비즈니스와 개인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한국의 화장품 업계는 K-POP의 인기에 따라 글로벌 규모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또, 제가 일본에 가기로 결정한 것도 사실은 일본의 문화, 특히 일본의 록 음악을 좋아했기 때문입니다. 결국 뮤지션으로서 성공하지는 않았지만, 문화적 영향이 제 인생의 궤도를 바꾸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연예인이 벤처 투자를 하는 것은 더 이상 새로운 일이 아닙니다. 또한, 엔터테인먼트 업계에서는 테크놀로지가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예를 들어, BTS가 소속하는 기획사인 HYBE는 위버스라는 팬 커뮤니티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를 시작했습니다. HYBE에 소속된 BTS는 물론 블랙핑크 등 다른 기획사 소속의 K-POP 스타도 위버스에 참가하고 있으며 HYBE의 새로운 수입원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벤처캐피털 및 K-POP, 보다 넓은 의미에서의 엔터테인먼트 업계는, 보기에는 전혀 관계가 없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업계의 구조에 공통점이 있는 것 외에, 연예인의 벤처 업계에의 진출,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적극적인 테크놀로지 활용 등 서로의 거리가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가까운 장래에는, 지금까지 멀다고만 생각되었던 서로로부터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날이 올지도 모르겠습니다. 


✉️ 메일리 뉴스 레터 구독  | 팟캐스트: 스포티파이 & 애플 팟캐스트


Sources:

[Image courtesy] 「PRODUCE 101 JAPAN」 파이널리스트에 남은 20명은? 최종회는 지상파 생방송(https://www.huffingtonpost.jp/entry/produce101japan_jp_5dec4aede4b07f6835b3c4cb)

[Image courtesy] 500 Startups invests up to $ 150k each in 9 Vietnamese firms on its Demo Day

https://www.techinasia.com /500-startups-invests-150k-9-vietnamese-firms-demo-day 

작가의 이전글 #44 벤처 생태계의 새로운 먹이 사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