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흔일곱 번째 이야기
#20180318
그리스 신화를 보면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강가에 살던 프로크루스테스는 집 앞을 지나가는 나그네가 보이면 집에 초대한다.
그리고 음식에 약을 타, 나그네를 잠들게 하고 쇠고랑을 채워 침대에 눕힌다.
만약 나그네의 키가 침대 길이보다 짧으면 다리를 잡아 늘이고 길면 잘라 버린다.
-
이 이야기는 자기가 세운 일방적인 기준에 다른 사람들을 억지로 맞추려고 하고,
이에 어긋나는 사람들은 틀린 것으로 취급하는 아집과 편견을 가진 사람들을 비유하는 관용구로 쓰이는 이야기다.
-
살다 보면 '나'와는 다른 가치관과 기준을 가진 사람들과 마주하게 된다.
그런데 내 기준으로 남을 재단해버리면 타인과 관계를 맺기가 어렵다.
일상에서, 학교에서, 직장에서 내 기준에 맞는 사람보다 안 맞는 사람이 훨씬 많기 때문이다.
-
그럼 다른 사람들과 함께 하기 위한 방법은 없는 걸까.
나는 그럴 때 '나'라는 기준을 없애보는 게 좋은 것 같다.
다른 성향의 사람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은 아니다. 그건 생각보다 훨씬 어려운 일이다.
-
그저 '저 사람의 기준에서 나 역시 완벽한 사람은 아닐 거야'라고 생각해보자는 것이다.
'나'라는 (내 머릿속 이상향에 가까운) 기준이 사라지면, 관계에 대한 스트레스도 줄고,
상대를 그저 'One of 타인'으로 생각할 수 있다.
내 기준을 양보할 생각이 없으니까 저 사람의 기준도 양보하라고 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
고백하자면 내가 딱 프로크루스테스 같은 사람이었다.
'올챙이 개구리적 모른다'라는 말처럼, 나도 못 했으면서 상대를 이해하지 못하고,
'왜 못 하느냐, 왜 안 하느냐'라고 닦달하고 짜증만 냈다.
포기하는 사람에게 다시 해보자고 하지는 못 할 망정, '그러니까 안 되는 것'이라고 독설을 날렸다.(내가 뭐라고)
사실 그때는 독한 것만이 맞는 것이라고 생각했었다.
-
그런데 시간이 지나니 사람과 사람 관계에서는
카리스마나 독설이 아니라 부드러움과 따뜻함이 더 강력한 동기부여가 됐다.
마찬가지로 남을 이해하지 않고, 재단해버리니 주변에 사람이 남아나지 않게 됐다.
답이 없는 세상을 살면서 내가 정한 '답'만이 맞다고 생각하며 살았으니 당연한 일이었다.
-
지금도 가끔, 섣부르게 누군가를 규정해버리려 할 때가 있다.
하나의 면만 보고, 모든 걸 안다고 쉽게 생각해버리기도 한다.
그럴 때마다 '나'도 저 사람의 기준에는 '완벽하지 않다'라는 사실을 떠올리려 노력한다.
결국 내가 바꿀 수 있는 것도, 바꿔야만 하는 것도 '남'이 아니라 '나'라는 것.
그것 만이 관계 속 유일한 정답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