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관조일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우 Jul 26. 2023

7월 26일. 불안과 버팀목

다섯 번째 일기장.

월요일에는 행복한 이야기를 많이 적었으니 오늘은  보기 싫은 내부를 관조하려 한다.

내 속에는 불안이라는 감정이 꽤 커진 상태다. 어렸을 때도 컸지만, 지금은 성인이 되어 현실과 맞닿아 있어 그럴까. 불안을 느끼는 정도가 달랐다.


내 불안은 어디서 근거하는 것인가 생각해 보면, 가정사다. 나는 초등학교쯔음부터 고등학교 저학년까지 참 불안한 삶을 살아왔다.

빚쟁이를 피해 이혼한 어머니 집에서 버스를 타고 등교하던 초등학생. 아무것도 모르고 집에서 혼자 고독에 몸부리 치던 그 초등학생이 나였다.

매일 술을 마시고 들어오는 아버지와 눈물을 흘리는 조모를 보는 중학생. 난생처음 해보는 체육대회 날 조부가 돌아가 상주 옆에서 신세를 탓하던 중학생. 그것도 나였다.

겨우 모은 돈으로 대학교 예치금을 전전긍긍하며 넣던 고등학생. 환급된 예치금을 몰래 빼 간 아버지 때문에 대학에 가지 못할 뻔 한 고등학생. 그 또한 나였다.


나의 청소년 시절은 불안의 연속이었다. 학교에서 배웠던 가장 믿을 수 있는 편이라던 가족. 그 가족이 나에게는 아니었다. 모든 가족 불행의 근원인 아버지를 이해하려 해도, 도저히 이해할 수없었다. 언젠가 죄책감에 30만 원을 나에게 주면 그다음 주쯤에는 35만 원이 사라져 있었다. 화를 내도 변하는 건 없었고 지금에 와서는 완전히 포기한 상태다. 저 사람은 저런 사람이구나 하고 말이다.


말이 샜다. 다시 본론에 집중하자면 나는 어렸을 때부터 내 마음을 지지해 줄 버팀목이 없었다. 이제는 회사에 다니며 내가 스스로의 버팀목이 될 수 있는 상황이지만, 맛있는 것도 먹어본 놈이 잘 먹는다고 하지 않는가. 나는 버팀목을 경험해 본 적이 없었다.

내 인생의 버팀목은 늘 사람이 아닌 게임, 음악, 책 속 가르침 따위의 것이었다.

물론 덕분에 얻은 것도 있기는 하다. 그 어떤 상황에 무너져도 다시 일어날 수 있는 마음을 배웠다. 책이나 음악. 예술적 가치를 갖는 게임들의 주인공들과 영웅은 내 삶의 기반이 되었다.

하지만 잃은 것도 있었다. 심각한 자존감의 부재와 애정에 대한 불안이 가장 컸다. 누군가 나를 좋아해 준다면 나는 그 의도를 몰라 불안해했고, 덕분에 많은 인연을 놓쳤다. 사람이라는 버팀목을 경험해 봤다면 아마 조금은 덜 했을까.


요즘 그런 생각을 많이 한다. 예전 할아버지가 키우던 나무처럼 스스로가 버팀목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불안감이 내 마음의 하늘을 모두 가려서 내 심지의 나무가 자라지 못할까 걱정이 되어 그렇다.


어떻게 해야 스스로의 버팀목이 될 수 있을지는 아직 좀 더 고민이 필요할 것 같다. 아직은 어떤 방법으로 바로 세울 수 있을지 모르겠다. 다만 확신하는 것은, 내가 하고 싶은 것들을 계속해서 챙겨나가야 한다는 것은 알고 있다. 이전 일기장에서도 말했듯이 그것들이 내 마음의 하늘에 구름을 지우고 있다.

관조일기가 끝나는 날. 나는 대부분의 구름을 지우지 않았을까 기대한다. 그래서 이 일기를 쓰는 것이 좋으면서도 그만두고 싶다.


부디 청명한 마음으로 마지막 장을 쓰는 날이 오길




매거진의 이전글 7월 24일. 취미생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