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과의 방
-손택수
향이 나지 않아 속이 썩은 것 같다고 해서 얻어온 모과
제 방에 들어오니 향이 살아납니다
향이 없었던 게 아니라 방이 너무 컸던 거에요
애옥살이 제 방에 오니 모과가 방만큼 커졌어요
방을 모과로 바꾸었어요
여기 잠시만 앉았다 가세요 혹시 알아요
누가 당신을 바짝 당겨 앉기라도 할지,
이게 무슨 향인가 하고요
그때 잠시 모과가 되는 거죠
살갗 위에 묻은 끈적한 진액이
당신을 붙들지도 몰라요
이런, 저도 어찌할 수 없는 고독의 즙이랍니다
오세요, 누릴 수 있는 평수가 몇 발짝 되지 못해도
죽은 향이 살아나라 웅크린 방
⸺계간 《시와 사람》 2021년 겨울호
가끔은 실재에 부여된 의미가 더 커서 그 가치를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 모과도 향이 나지 않는다고 해서 썩었다고 치부된 것이다. 그 덕분에 시인의 집으로 오게 되었다.
“제 방에 들어오니 향이 살아납니다/향이 없었던 게 아니라 방이 너무 컸던 거에요/애옥살이 제 방에 오니 모과가 방만큼 커졌어요”
향을 전혀 느낄 수 없었던 모과가 에옥살이 작은 시인의 방에 와서는 향을 내뿜기 시작한다. 존재보다 존재에 부여된 의미가 너무 커서 가치를 상실했던 모과가 제 크기에 맞는 공간을 찾아서 드디어 자신의 실재를 드러내기 시작한다.
“방을 모과로 바꾸었어요” 방을 모과로 바꾸었다는 진술은 시인의 고독을 빨아들이는 향을 의미한다. 고독한 방에 찾아온 모과가 어느새 시인의 방을 가득 채운 것이다.
“여기 잠시만 앉았다 가세요 혹시 알아요/누가 당신을 바짝 당겨 앉기라도 할지,/이게 무슨 향인가 하고요/그때 잠시 모과가 되는 거죠/살갗 위에 묻은 끈적한 진액이/당신을 붙들지도 몰라요” 방과 모과의 관계처럼 끈적한 외로움은 사랑을 부른다. 그래서 잠시 앉았다 가라고 하면서 내가 당신 곁에 바싹 다가갈 지도 모른다고 말한다. 그러다가 어쩜 나 자신보다 당신의 존재감이 나에게 더 커질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이런, 저도 어찌할 수 없는 고독의 즙이랍니다/오세요, 누릴 수 있는 평수가 몇 발짝 되지 못해도/죽은 향이 살아나라 웅크린 방” 향이 안 나서 썩은 줄 알았던 모과와 시적 화자의 동일시가 일어난다. 그러면서 외로움을 달래줄 특정하지 않은 누군가를 초대한다. 비록 가난해서 비좁은 살림이지만 죽은 향까지도 살려낼 수 있는 곳, 당신을 위해 한껏 웅크리고 있는 나에게로 오라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