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해달별꽃 Dec 05. 2021

"지금이 퇴사 시긴가 봐요"

성공의 에너지를 복돋아주는 글1

“아무래도 지금이 퇴사 시기인가 봐요”


정말, 결심을 하고 A한테 카톡을 보냈다.


더 이상 나를 힘들게 하지 말고 어서빨리 이 지옥에서 벗어나자는 마음이었다.


상사에게 할 말이 있다고 말을 한 후 뭐라고 말을 해야 붙잡히지 않고 단칼에 퇴사에 성공할 수 있을까. 머릿 속 회로가 빠르게 작동했다.


그런 생각들을 하고 며칠 후, 오후 4시쯤엔가. 잠잠하던 카톡방에 알림음이 요동쳤다.


“나 관두게 됐어.”


같은 부서에 있던 후배의 카톡. 다른 회사에 합격을 해 곧 회사를 떠난다는 통보였다.


축하를 바라는 듯한 말투, ‘ㅋㅋㅋ’ 등의 해맑은 표현들에 감정이 날카로워졌다.


“이 상황에 축하를 해줘야 하는 건가?”


생각대로 툭 내뱉었다.


그는 이 말뜻을 알아듣지 못하고 축하해줘서 고맙다고 답을 했다. 아마 자기 식대로 받아들이고 받아치는 스킬을 가진 모양이었다.


“참, 내 자리에 들어올 후임 소개 좀 해줘.”


세상에! 그건 절대 해서는 안 될 말이었다.


그의 퇴사로 나는 이 회사에서 일하는 동안 총 5번의 이별을 맞았다.


한 부서에서 2년도 안 되는 기간에 이뤄진 일인데, 하도 황당해서 ‘내가 이상해서 다들 나를 피해서 떠나간 것일까’ 하는 의심이 들기까지 했다.    


그리고 그 퇴사 때마다 독박을 쓰는 건 나였다.


차장도 부서에서 사라진지 1년이 다 돼었고, 심지어 부장도 통보 이틀 만에 회사를 나가버려서 부장 없이 일을 한 적도 있다.


꾹꾹 눌러 참아온 감정들이 한순간에 용암처럼 폭발했다.


회사에 들어온 지 1주일 된 새 부장과 3달 된 인턴, 그리고 나.


새로운 사람과 다시 적응을 해야하고 업무도 기존보다 더 맡게 됐다.


지친 사람을 더 지치게 하는 구조에서 과연 인권이 있는 걸까?


배려와 존중과 합당한 보상이 있는 걸까?


그런 근본적인 물음까지 들 정도로 억울해서 이제 그만 나도 내려놔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굳이 나를 해치면서까지 책임을 떠안을 필요는 없으니까.


“이제 다 포기하고 싶다”.


평소 내 직장생활 고민을 들어주던 친구에게 카톡을 보냈다.  

매거진의 이전글 난 기계가 아니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