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해달별꽃 Mar 09. 2020

선, 함부로 넘지 맙시다

드라마를 보고서2

기자의 세계에선 ‘나와바리’(출입처)라는 말이 있다. 취재거리를 발굴하는 곳이라는 의미도 되지만, 침범해선 안되는 ‘선’이란 말이다. 이는 ‘목욕탕에서 타인의 신체를 촬영해서는 안 된다’, ‘다른 사람의 집에 함부로 들어가선 안 된다’와 같은 윤리적 규범과 맥락을 같이 한다.     


내가 기자생활을 하며 엄격하게 배워온 게 바로 ‘베끼면 안 된다’는 것이다. 학보사 기자를 하던 20대 초반, 내 기사에 들어갈 사진을 찍어준 동료기자는 사진에 본인의 바이라인이 들어갈 수 있도록 강력히 요구했다. 4년 전 인턴으로 근무할 때 나는 남이 찍은 사진을 출처 기입도 없이 내 기사에 싣거나, 다른 사람이 쓴 기사를 ‘복붙’하면 혼나곤 했다.      


같은 소재의 기사들이 쏟아져 나와도 ‘단독’을 단 기사는 당당하다. 왜? 내가 가장 먼저 썼으니까. 직접 취재해서 한 자 한 자 쓴 ‘내 것’이니까. 대학 논문이나 드라마 분야에서도 표절 논란이 자주 불거지는 것도 모두 이와 연결된 논리다. 그만큼 ‘콘텐츠’의 영역에서는 ‘선’이 중요하다.

      

그렇기에 선을 침범 당했을 때 나는 화가 난다. 상대가 아무런 죄책감없이, 구렁이 담 넘듯 마땅히 지켜야할 것을 지키지 않으면 드라마 ‘스토브리그’의 이세영 팀장처럼 인상 팍 쓰며 소리치고 싶다. “선은 니가 넘었어!”  

   


오늘 오후, 우리 부서의 기사들을 읽어보다가 경악을 금할 수 없었다. 내 기사와 토씨하나 틀리지 않은 코멘트가 다른 기자의 기사에 실려 있었기 때문이다. 글쓴이는 우리 부서의 1년 후배였다. 그녀는 문제의 기사가 올라오기 1시간 전쯤 내 출입처 연락처를 물었었다. 그녀의 기사에서 발견한 코멘트는 내가 오늘 낮, 직접 전화 취재한 내용이었다. 당연히 그녀가 내 것을 베껴썼다고 오해할 수밖에 없었다. 베껴쓸 의도가 아니었다면 최소한 내 기사를 확인하고 자신의 것을 수정했어야 했다. 


그럼에도 그 기자는 “A 선배가 기사를 봐준 것”이라며 책임을 전가했다. 자기 이름이 걸려 나가는 기사에 그토록 무심한 그녀도 그녀지만, 더 놀라운 것은 이를 전해들은 우리 부서 선배들의 태도였다. 문제의 선배 A는 내 이의제기를 듣더니 오히려 “니가 고쳐라”라는 식으로 말을 했다. 부장 B도 “신경쓰지 말아라”며 갈등을 덮으려 했다.      


이런 사람들이 기자랍시고 자리를 지키고 앉아있다니. 맞춤법만 신경 쓰면 뭐해. 기본적인 언론의식이 없는데...재택근무만 아니었으면 난 그들에게 말했을 거다. “선은 니가 넘었어!!!”      


작가의 이전글 기다릴게요! 낭만닥터 김사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