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브랜더 홀씨 Nov 15. 2022

예술과 상업이 만나
이루어지는 초현실적인 성공

브랜드 디자이너가 바라본 공간이야기 11. 누데이크 성수 


세상에 없던 예술적인 베이커리 '누데이크'를 방문하면 마치 초현실주의 작품 안으로 걸어 들어간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하우스 도산에 위치한 누데이크를 처음 방문했을 때는 '신선하다'라는 느낌을 받았다면 성수동에 생긴 누데이크는 '신선'을 넘어 말로 설명할 수 없는 위화감이 들었어요. 중세 유럽의 가구처럼 커다란 원탁 테이블에 평상시 볼 수 없는 크기로 만들어진 다양한 빵들, 그리고 그 테이블을 둘러싸고 빵과 커피를 마시는 사람들. 여기가 외국이야?라는 느낌이 아니라 "여기가 도대체 어디야?"라는 말이 저절로 떠오르는 오묘한 기분이었어요. 



존재하지만 존재하지 않는 것 같은 누데이크는 초현실주의 기법인 데페이즈망이라는 단어를 연상하게 합니다. 데페이즈망 현실적인 사물들을 그 본래의 용도, 기능 의미를 이탈시켜 그것이 놓일 수 없는 낯선 장소와 조합시킴으로써 초현실적인 장면을 창조해내는 현대물의 기법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작가로는 르네 마그리트, 살바도르 달리가 있죠. 



사람들은 작은 것을 크게 만들거나 큰 것을 아주 작게 만들거나 낯선 것을 익숙한 공간에 가져오면 심리적으로 아주 새롭다고 느낀다고 해요. 누데이크는 이러한 사람의 심리를 잘 파고들어 새로운 공간을 오픈할 때마다 큰 이슈를 만들어냅니다. 



예술을 예술로 바라보고 베이커리를 베이커리로 바라보았다면 이루어질 수 없었던 초현실적인 누데이크의 성공, 새로운 공간을 꿈꾸고 있다면 익숙한 것을 새롭게 바라보게 만드는 초현실주의 작품들을 감상해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매거진의 이전글 가독성 높여주는 5가지 방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