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블루오션 Jan 02. 2022

과제와 시험을 대체하는 집단지성

짧은 주장글

 인문사회대 교수들은 가끔 리포트 과제나 서술형 시험을 통해서 고찰을 요구한다. 사회적 동향을 분석하라거나 이 쟁점에 어떤 입장을 지지하는지 논해보라는 식이다. 문제를 탐구하고 가치관을 형성하도록 돕는 게 대학교육이라는 점에서 나쁘지 않은 시도다. 


 하지만 진짜 도움이 되는지는 의문스럽다. 무언가를 제대로 알려면 전체 모습, 각 부위, 측면, 내부 등 여러 시점에서 봐야 한다. 하지만 대학은 질문만 주고 탄탄한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은 돕지 않는다. 그래서 바쁜 학생들은 남의 관점을 반복하거나 불충분한 논리로 글을 끝맺는다. 게다가 제출한 이후엔 문제를 더 생각해볼 여유가 없다.


 여러 자료를 찾아보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것은 기본적으론 학생의 몫이다. 그러면 대학은 무엇을 개선해야할까? 교수님, 학우와 소통하는 시간을 마련하는 것이 그 대안이다.

 

 그 분야 전문가인 교수님이 피드백을 해줘야 한다. 주장이 정확한 사실에 근거해 있는지, 특정 사실을 놓치고 생각을 전개한 건 아닌지, 관련 이론은 뭐가 있는지, 논지를 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정도는 알려줄 필요가 있다. 교수님의 의견은 좋은 참고거리가 된다. 사회적 역할이 다른 사람의 입장을 대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교수는 본인 생각을 참고용으로만 제시해야 한다. 


 학우들과 의견을 나누는 시간도 필요하다. 물론 그 안에서도 성별, 관심분야, 경험에 따라 생각이 나뉜다. 의견을 서로 비교해보면서 놓친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고 어떤 관점에서 시각이 차이난 건지 분석할 수 있다. 게다가 나랑 상황이 비슷한 내집단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전체적인 여론은 어떤지 얼추 파악할 수 있다.


  경쟁을 넘어 신뢰사회로 가려면 협력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기존의 과제와 시험문제는 평가용일 뿐 깊이가 없다. 누가 더 멋진 생각을 하는지 평가하는 것에서 서로한테 배우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 집단지성이 관행을 대체해야 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만일 주변사람이 시를 봐달라고 한다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