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답정킴 Oct 14. 2020

집단 상담을 해야 해요!

집단 상담을 해야 해요 


네? 

나는 되물었다.  

집단 상담을 하기 싫어서 선택한 선생님의 입에서 나온 말이었다. 




이번에 온 상담소는 '화'를 주로 다루었다. 

나도 상담소를 찾은 이유에 '부정적인 감정을 다루고 싶어서'라고 적었다.

아직도 '화'라는 단어가 껄끄러웠다. 

'화'라는 글자가 너무 잘못된 나로 이어졌다. 


기질적으로 화가 많지 않다는 결과지에만 매달려  

내가 그렇게까지 화가 많은가, 그래도 분노조절장애는 아니잖아, 그렇게 생각했다. 

그래서 집단 상담 대신 선택한 상담선생님이 나에게 다시 "집단상담"을 권했다. 



화를 다루어야 해요, 화를 내야 해요,
화 내는 사람들 사이에서 집단 상담을 해야 해요




상담선생님은 내게 그렇게 말했다.

화를 내야 한다고, 화를 고치려면 화를 내야 한다고. 

그렇지만 그 말을 듣는 순간, 스트레스가 머리 끝까지 차올랐다.


아니, 화를 내기 싫어서 왔는데, 화가 많은 사람들 속에서 화를 내라고? 

내가 그렇게까지 해야할 정도로 화가 많은 사람인가? 


그렇게 집단 상담을 권유받을 수록 

나는 내가 화를 고치고 싶어서 온 게 아니라는 확신이 강해졌다. 


나는, 내가 화가 많은 사람이란 걸 인정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게 아님을 확인받고 싶었던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화가 많은 딱지를 붙인채, 

정말 화가 많은 사람들 속에서 화를 내러 가고 싶지 않았다. 


나는 다시 한 발 뺐다. 


아니요, 생각 좀 해볼게요. 



아니, 요즘 이정도 화도 없는 사람이 어딨어? 

나는 그렇게 생각했다. 

내가 그렇게 집담상담까지 가야하는 수준이라고? 

나를 언제봤다고? 내 기질은 괜찮은데? 

그렇게, 화가 났다. 하하하. 


나는 약간 불쾌한 마음으로 상담을 마쳤다. 




상담을 다녀온 후, 마음이 계속 불편했다. 

그래서 상담을 많이 다녀본 친구에게 다시 상담했다. 


"나 이번에 간 상담센터에서 집단 상담하라는데?"

"그래? 뭐 전문가 말이니까 맞겠지. 비전문가인 네가 고민해봤자 뭐해. 전문가를 따라야지."


아주 간단명료한 대답이었다.

그들이 전문가였다. 

그러나 언니가 간과한 게 있었다. 

나에 대한 전문가는 나였다. 


그런 마음으로 다시 마음을 닫았다. 

사실, 답은 정해져 있었는지도 모른다.

그냥 내가 화가 많지 않음을 인정받고 싶었던 것뿐이었다. 

자꾸만 부정당한 나를 긍정받고 싶었던 것이다. 


그런데 자꾸만 나는 또 "화가 많은 사람"으로 낙인찍혔다.

더욱 억울한 건, 나는 이번 상담센터에선 아직 아무것도 제대로 얘기해본적이 없단 것이었다.

나를 먼저 재단하고 거기에 맞추는 것만 같아서 기분이 좋지 않았다. 


그런 게, 화가 많은 거라면, 화가 많은 것일 수도 있겠다.

그렇지만 인정할 수 없었다. 




매거진의 이전글 나와 맞지 않는 상담선생님 2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