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탄력근로와 선택근로의 차이점

근로기준법에서는 가르쳐주지 않는 실무적, 시스템로직을 위한 차이점

주당 52시간 근무의 대안으로 여러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많은 경우 탁상공론식이고 꼼수을 생각해 낸 것을 대안이라고 여기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근로기준법에 근거를 둔 탄력근로제와 선택근로제가 법적 테두리에서 갖출 수 있는 제도적 대안이다. 법을 자세히 읽어보면 알 듯, 모를 듯 헷갈리기만 한다. 특히, 그래서 하루에 얼마나 근로할 수 있는 것이냐에 대해 이것인지 저것인지 조문을 보아서는 알기 어렵다. 요즘 노무사가 바빠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 같은 점 : 주당 평균 52시간을 넘으면 안된다.
■ 다른 점 

  


자칫 법을 위반하기 쉽다. 고용노동부에서 좀더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해주어야 한다.

유연근무(탄력/선택)제를 시스템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계산로직이 있어야 하는데, 법을 보고 만들기 어렵다. 고용노동부에서도 구체적인 지침이 있기를 기대하면서 먼저 정리해보았다.


구체적이지 못한 법은 탈법과 위법을 만든다.




2018년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는 근태관리

http://gt.arainhr.com


매거진의 이전글 삼성전자의 유연근무 효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