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제나팡 Feb 22. 2022

[IT린이] 인공지능을 위한 내비게이션이 있다고?

네이버랩스와 카카오모빌리티가 '디지털 트윈'에 주력하는 이유 

  지난 10일 카카오모빌리티는 첫 테크 컨퍼런스 'NEMO(Next Mobility) 2022'에서 "올해를 디지털트윈 제작의 원년으로 삼겠다"라고 했다. 택시 호출이나 대리 어플 등의 단순 플랫폼을 넘어서 자율주행 등의 신기술을 선도하겠다는 의지가 매우 많이 돋보였다. 이번 컨퍼런스의 핵심 키워드는 "자율주행"& "이커머스"였으며, 계속해서 이커머스 기업과의 파트너쉽, 주행 데이터 기반의 SaaS 솔루션, 디지털 트윈 기술 기반의 HD 등 B2B 비즈니스로의 방향성을 굳힌 듯 했다. 그래서, 오늘은 자율주행과 디지털트윈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다. (이커머스는 풀필먼트와 연결될 수 밖에 없는데, 이 주제는 나중에 꼭 다뤄볼 것임!)

카카오모빌리티 NEMO 2022
  인공지능도 네비게이션이 필요해!
 디지털트윈은 가상세계에 현실의 공간을 복제한 개념인데, 메타버스와 달리 현실 공간에 연결된 센서 및 이동통신과 결합되어있다. 예를 들어, 복잡한 공장이나 건물을 하나하나 다 디지털트윈으로 구현하고, 시뮬레이션을 하면서 건물 관리나 공정 효율 관리 등의 실제 상황을 가늠해볼 수 있다. 

  요것만 봐도, 활용처가 무궁무진한데, 특히 모빌리티 업계는 디지털트윈을 바탕으로 '고정밀지도(HD)'를 만드는 데에 주력하고 있다. 고정밀지도는 쉽게 말하면 자율주행 인공지능을 위한 내비게이션이다. 사람은 운전할 때 주변을 살펴보며 판단을 내릴 수 있는데, 이러한 능력을 인공지능도 장착하기 위해서는 HD가 필요하다. 라이다(LiDAR), 카메라가 사람의 눈을 대신해주어 주변을 인식하고 AI가 이에 맞어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인 내비게이션은 목적지, 이동경로, 체증여부 등을 2차원 지도에 표시한다. 굳이 주변 골목의 지형지물이나 주변 사람들의 움직임까지 파악해주지는 않는다. 반대로, HD는 차나 사람 등 움직이는 것들을 감지해야 하며 이것 말고도 주변 지형지물의 위치나 크기 등을 3차원으로 보여줘야 한다. 이런 HD을 구현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디지털트윈이다. 여기에 AI와 빅데이터를 더한다면 이젠 정말 사람이 자고 있어도 주변 지형지물이나 정지선, 신호등, 표지판 등을 구분하고 판단 내릴 수가 있다. 

카카오모빌리티, HD 기술 스타트업 스트리스 인수 
스트리스의 HD

  2021년 11월, 카카오모빌리티는 고정밀 지도 기술 스타트업 스트리스를 인수했다. 

스트리스는 HD 제작 기술을 가지고 있으며, 센서를 몸에 달고 이동하며 공간을 측위하는 '모바일 매핑 시스템(Mobile Mapping System)' 장비를 자체 생산하고 있다. 스트리스가 보유하고 있는 기술은 자율주행 뿐만 아니라 최적 라우팅 기술, 네비게이션 기술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이미 카카오모빌리티는 서울시 이동 데이터를 어마어마하게 확보했고, 디지털 트윈 구축도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서울 시내 주요 도로를 중심으로 국내 도로 총 1만여km의 디지털 트윈 구축을 완료했다. 게다가, 자율차 시범가능 지역인 서울, 경기 판교, 세종 등에도 디지털 트윈 구축 계획이 있다.)

이에 대응하는 네이버 아크버스
네이버랩스 아크버스

  그럼 네이버도 뭐 비슷하게 하고 있을텐데,,,라는 생각이 든다. 바로 아크버스다. 카카오모빌리티처럼 이렇게 only for 자율주행이라는 방점은 아닌 플랫폼인데, B2B 사업모델을 염두에 두고(이후에 이것도 한 번 다룰 예정! 아크버스는 융합형 아크버스이다.) 만들어진 플랫폼으로서 자율주행 AI 개발사를 상대로 서비스가 만들어질 것 같다. 카카오는 인수를 통해 MMS 장비와 기술을 확보했다면, 네이버는 자체 개발했다. 

네이버랩스 MMS R1

  네이버는 MMS 장비인 R1을 개발했는데, 다수의 2차원 사진을 하나의 3차원 사진으로 복원하는 기술을 함께 사용한다. 더욱 놀라운 건, 네이버랩스는 소프트뱅크와 함께 도시 단위 고정밀 지도 제작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올해 안에 일본 도시 중 하나를 HD로 만드는 데에 네이버랩스 기술이 들어가는 거다 만약 성공한다면, 이 레퍼런스를 가지고 일본 뿐만 아니라 국내, 세계 전체로 무대를 확장할 수 있을 거다.

모빌리티 패러다임의 변화

  우리에게 지금까지 모빌리티는 자동차, 자전거 등 우리가 이동할 때 조금 더 편리하게 해주는 서비스로만 인식됏다. 다만 이번 카카오모빌리티 NEMO 컨퍼런스에서도 알 수 있듯, 모빌리티 또한 기술 집약적 산업으로 무한히 확장하고 있다. 알고리즘으로 안 막히는 길을 알려주는 것 그 이상이다. 모빌리티 패러다임의 변화는 우리 라이프스타일의 혁신을 의미하기도 한다. 

작가의 이전글 [IT린이] '지금 우리 학교는'으로 보는 OSMU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