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정호 Jun 28. 2024

일본식 관리방식

시키지 않으면 절대 움직이지 않는 베트남 직원들

  

 베트남에서 직원 관리에는 일본 관리자의 방식이 더 적합할지 모르겠다. 

 2004년 일본 롯데리아를 인수하고, 일본 관리자로부터 인수인계를 하면서 관리 리스트와 매뉴얼에 깜짝 놀랐던 기억이 있다. 직원들의 행동 하나하나를 체크하고, 시간대별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 운영하는 것을 보고 '마치 기계들의 움직임을 컴퓨터에서 기록하여 관리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일전에 일화를 전해 드린 적이 있다. 직원에게 사무실 바닥에 떨어져 있는 휴지를 보고도 치우지 않는 것을 보고 "사무실이 왜 이렇게 지저분하냐? 여기 좀 정리해라" 했더니 빗자루와 쓰레받기를 가지고 와서 손가락으로 지적한 딱 그 부분만 청소했다는 일화.


 법인을 만들고 매장을 독자적으로 오픈, 운영하였기에, 기존의 프랜차이즈 매장과는 달리 업무에 관한 모든 사항을 하나하나 매뉴얼로 만드는 작업을 해야만 했다. 되도록이면 자율적으로 책임감을 갖고 행동할 수 있도록 하고, 가스나 전기 안전, 냉동창고 관리, 돈 문제 등 중요한 사항들에 대해서만 굵직하게 관리 포인트를 작성하여 체크, 관리하게 하였다. 

 하지만 너무 믿은 것이 문제 일까? 냉동창고 전원을 꺼진 채로 퇴근하거나, 문을 열어 둔 채로 영업을 하면서 냉동품에 손상을 입힌 경우가 세 번이나 발생하였고, 외상 매출 전표를 분실하여 고객에게 대금 청구를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안전을 위해 버너의 가스를 분리해 놓고 퇴근하는 것 등을 잊어 사고가 날 뻔한 경우도 있다. 

 이렇듯 크고 중요한 사항도 제대로 지키지 않아 대형사고가 발생하는 데가 혼이 나고 경고를 받을 때 그뿐이고, 하루가 지나면 언제 그런 일이 있었냐는 듯 태연해하는 모습에 아연 질색한 적도 많다. 그러니 사소한 작은 일에 얼마나 많은 문제들이 발생했겠는가! 에어컨의 배기를 일주일에 두 번씩 청소를 하는 것을 주간단위 매뉴얼에 만들어 놓았는데... 실제로 그걸 실행하는 것은 단 2주뿐이었다. 모른 척 가만히 2주를 지켜보다 언제 청소를 했냐고 물어보면 "지금 손님들이 많아서..." "오늘 닦으려고 했는데...." 등의 핑계를 대면서 그때만을 모면하려 한다. 지난 2주 동안 한 번도 안 닦은 것에 대한 잘못을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제 사장이 얘기를 했으니 청소를 하면 된다는 식이다. 

 

 매장에서 몇몇 기업들이 외상으로 상품을 사거나 식사를 하시고, 한 달에 한 번 대금을 결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 결재가 이뤄지는 날이면 오후에 매 번 업체로부터 연락이 온다. "아직 세금계산서 작성되지 않았습니까?"라고. 매 번 정기적으로 이뤄지는 일인데도 사장이 다시 확인하고 지시하지 않으면 절대로 자기가 알아서 처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수동적인 업무, 무책임한 자기 회피, 무관심과 변명. 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사람은 사장이고, 그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쉬지 않고 체크하고 지시해야 하는 것이 사장의 업무인 것이다. 

 일본식 관리방식이 베트남 직원들에는 맞지 않나 생각이 들면서도 한편으로 그러다가 한국인 관리자가 스트레스를 더 받지는 않을까 고민도 된다. 그 많은 것들을 체크하면서 얼마나 속이 터질까?? 

작가의 이전글 종교에 진심인 베트남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