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페르세우스 Feb 04. 2024

마냥 기쁘게 다가오지 않는 120세 시대



안녕하세요, 자녀교육에 진심인 쌍둥이아빠 양원주입니다.




최근에 뜻하지 않게 보험회사 직원들과 대면하고 대화를 할 일이 많았습니다. 알고 보니 1월 31일에 가입이 종료되는 괜찮은 상품이 있다는 이유에서였습니다. 물론 좋은 상품이라는 기준은 파는 측의 주장이며 소비자는 의견이 다를 수는 있겠죠. 


어차피 지금은 이 상품을 가입할 수 없으니 간단한 설명을 하면 생명보험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7년 동안 불입을 하면 100%를 돌려받고 10년까지 예치를 하면 130%까지 돌려받을 수 있다고 말하더군요. 물론 세부적인 사항은 보험회사마다 다르겠지만 대략 이런 내용입니다. 




이런 설명을 들으면서 늘 드는 생각은 말로 들을 때는 대부분 알아듣겠다가도 집에 가서 아내에게 설명하려고 하면 말처럼 쉽지 않다는 점입니다. 


제가 보험의 복잡한 세계에 대해서 한 번에 모두 알아듣고 이해할 수 있었다면 '그 업계에서 일을 했겠지..' 하면서 위안을 삼아봅니다.

 

내가 다 알기에는 너무 많은 보험들




결과적으로 저는 새로운 상품을 들지 않기로 했습니다. 여러 방면으로 고민을 해본 뒤 나름대로의 새로운 방향으로 계획을 세워 진행하기로 해서입니다.



예전에 팔랑귀처럼 많이 흔들렸던 시절에 비하면 나아진 편이었습니다. 담당 직원과 눈을 마주치고 대화를 경청하다 보면 말이 다 그럴듯하거든요. 경청하는 능력이 이런 면에서는 매우 불편합니다. 그래도 읽고 쓴 시간이 많아져서 그런지 이제는 많이 냉정해졌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했던 서너 번 만남으로 나눈 대화로 새로이 알게 된 재미난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보험업계에서 120세를 기준으로 하는 상품들이 나오기 시작했다는 점입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100세를 기준으로 하는 상품들을 보면서 내가 100살까지 살겠냐는 소리를 하면서 보험사들이 지나친 기준으로 소비자를 현혹한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이제는 업계에서 100세를 넘어 120세까지 살 수 있다고 판단하고 그에 맞춰 상품을 설계하고 있다니 제가 가진 지식이 이 급격한 변화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습니다. 





제가 다니는 회사는 현재 60세가 정년입니다. 사회적인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지만 60세 정년은 연장되어 못해도 65세까지로 늘어날 가능성은 높죠. 경제활동 인구가 줄어들어서입니다. 물론 5년 더 일해서 경제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는 사실은 그리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다만 단순하게 계산을 해보면 저는 아무리 적게 잡아도 퇴직을 한 뒤에 최소한 30~40년 이상은 더 살아야 한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물론 더 오래 살 수 있다는 점은 물론 반갑고 고마운 일입니다. 소중한 사람들과 함께 할 시간도 많을 테니까요. 


그렇지만 제대로 된 직업을 가지고 경제활동 능력이나 여가활동 계획 없이 30년을 보낸다고 한다면 과연 행복하다고 할 수 있을까요? 더군다나 몸 상태가 좋지 않아 무의미한 연명치료로 유지해 나가는 삶이라면 120세 시대라는 말이 크게 가치를 가질 수 없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그런 점에서 국가가 정책적인 역할을 충분히 해줘야 한다는 점도 매우 중요합니다. 출생률을 높이는 노력과 더불어 노년층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질 필요도 있죠. 


다만 개인 스스로도 60세 이후의 두 번째 삶을 행복하고 건강하게 보낼 수 있도록 평소에도 미리 준비를 반드시 해야 합니다. 선택이 아닌 필수로 말이죠. 건강, 재테크, 취미활동, 친구와 같이 제가 늘 누누이 강조하는 네 가지에 대해 다시 진지하게 고민하는 시간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한 줄 요약 : 내가 120살까지 산다고 했을 때 한 가지 확실한 점은 지금 이러고 있으면 안 된다는 사실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재난영화 <2012>가 현실이 될 수도 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