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지표 시리즈]
▶ [경제지표] 컨퍼런스보드(CB) 경기선행지수(LEI) - 경제와 자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 [경제지표] 미국 노동부 JOLTs(구인 및 이직 보고서) - 경제와 자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 [경제지표]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 경제와 자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 [경제지표] 미국 신규주택판매 - 경제와 자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 [경제지표] OECD 경기선행지수 - 경기순환과 자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 [경제지표] 미국 근원 물가지수(Core PCE, CPI) 소개와 해석 방법
▶ [경제지표] 미시간대학 소비자심리지수와 기대인플레이션 - 자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 [경제지표]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 - 자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 [경제지표] GDP 나우(NOW) - 애틀란타 연준의 미국 분기실질GDP 추정 모델
▶ 미국 경기침체와 금융위기 신호 - 하이일드채권스프레드, KCFSI, STLFSI, 샴의 법칙
(위 글에서 컨퍼런스보드 경기선행지수와 미국증시의 관계에 대한 내용을 일부 발췌한 내용입니다)
위의 차트는 CB경기선행지수와 주식시장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경기확장 국면에서 증시는 대체로 안정적으로 우상향 했습니다.
그러나 경기가 고점을 찍고 하락함과 동시에 경기위축 국면으로 진입한다면 증시 또한 고점을 찍고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경기가 더 좋아지지 않고 하강하는 국면이라면 기업 이익 증가도 제한적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경기침체 국면에서 미국증시는 거의 항상 최저점을 기록했습니다.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연준이 기준금리를 상당한 폭으로 인하하고(또는 정부가 재정정책을 시행), 경기가 바닥을 찍고 상승하는 국면이 확인되어야 증시는 그제야 바닥을 찍고 반등했습니다.
따라서, 경기침체 국면에서 하락하고 있던 CB 경기선행지수가 상승으로 전환할 때 주식시장은 경기 회복을 기대하게 되고 이때부터 증시가 반등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물론, 해당 지수뿐만 아니라 다양한 선행지표들이 반등하는 모습을 함께 살펴봐야 할 것입니다).
[참고하면 좋은 글]
▶ 미국증시(S&P500) 약세장(Bear market, 베어마켓) 역사 및 특징과 반등조건
참고 : CB 경기선행지수로 구분한 경제사이클(전년동월비, YoY 기준)
· 0% 이상, 상승 추세 : 경기확장 국면
· 0% ~ -5%, 하락 추세 : 경기위축 국면
· - 5% 미만, 하락 추세 : 경기침체 국면
참고 : NBER이 정의한 미국 경기침체 구간
1990년 07월 ~ 1991년 03월
2001년 03월 ~ 2001년 11월
2007년 12월 ~ 2009년 06월
2020년 02월 ~ 2020년 04월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채널을 구독하시면 거시경제(매크로)와 자산투자에 관련된 더 깊이 있는 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채널 내 전반적인 콘텐츠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