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원스 Feb 08. 2023

파월 의장과 금융시장의 미국금리인상 전망이 다른 이유

지난 2월 7일(현지시간)에 워싱턴 경제클럽에서 제롬 파월 연준(Fed)의장과 데이비드 루벤스타인 칼라일 공동창립자의 대담이 있었습니다.


이날 대담은 보통 때 같았으면 별로 관심을 끌지 못했을 수도 있습니다. 2월 FOMC가 끝난지 4일 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2월 FOMC 이후 미국 고용과 ISM 서비스업 지수가 시장의 예상치를 넘어서는 서프라이즈를 기록했기 때문입니다.


[참고하면 좋은 글]

▶ 1월 미국 고용 서프라이즈 배경과 리스크 - 노동저장과 코요테 모멘트


즉. 시장은 파월 의장이 이러한 서프라이즈를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 궁금했습니다. 가령, 이 서프라이즈를 연준이 알고 있었다면 2월 FOMC에서 50bp 기준금리인상을 시행하지 않았을까라는 의구심입니다.


인터뷰를 맡은 루벤스타인은 파월 의장에게 위의 질문을 던졌습니다. 그러나 파월 의장은 연준은 그런 방식으로 일하지 않는다면 딱 잘라 말했습니다.


오히려 실업이 늘지 않고 인플레이션 하락이 시작되었다는 것은 좋은 일이라고 대답했습니다. 즉, 결과는 동일했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왜 파월 의장은 지난해 12월과 다소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을까요? 


연준의 입장이 바뀐 이유 중 하나는 라엘 브레이너드 부의장의 주장이 연준 내에서 점점 힘을 얻고 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브레이너드는 최근 연설에서 임금보다는 임금을 제외한 다른 투입 비용의 증가(에너지 가격 상승 등)가 높은 인플레이션의 결정적인 원인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즉, 브레이너드는 파월과 달리 노동시장보다는 원자재 가격이 향후 인플레이션 경로에 더 중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참고하면 좋은 글]

▶ 파월 의장에 반박하는 브레이너드 부의장, 물가-물가 악순환의 의미


실제로, 최근 원자재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이 하락하였고, 임금상승률은 둔화되었습니다(임금상승률은 노동시장보다는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더 크게 받는다는 연구 결결과가 있습니다)이는 시장의 디스인플레이션 전망을 위한 강력한 논리가 될 수 있습니다.


결국, 연준 내에서도 인플레이션 전망과 관련된 논리와 주장이 다르기 때문에 (또는 브레이너드 등의 논리와 주장이 점점 힘을 얻고 있기 때문에) 파월이 일방향적인 전망을 할 수 없다고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참고하면 좋은 글]

▶ 파월 연준(Fed)의장 발언 심층 해석 - 파월과 금융시장의 인플레이션 전망과 논리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채널을 구독하시면 거시경제(매크로)와 자산투자에 관련된 더 깊이 있는 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채널 내 전반적인 콘텐츠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작가의 이전글 BOJ 신임 총재 임명에 따른 일본엔화환율 향방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