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차우진 Jun 18. 2020

블랭크 코퍼레이션의 키워드는
'팬덤'이 아닐까?

블랭크 코퍼레이션의 평가는 극단적이다. 믿고 거르는 제품 vs 미디어 커머스 최강자. 


그런데 이 둘의 공통점은 '판다'는 것이다. '파는 것'을 기준으로 블랭크 코퍼레이션의 실험을 살펴보면 의외의 키워드가 발견된다. 바로 '팬덤'이다.


블랭크의 '파는' 실험들


- 유튜버 '빠더너스'의 굿즈를 1시간 만에 완판했다. 25만 구독자를 보유한 '빠더너스' 문상훈은 생활형 콩트와 웃긴 영상 등의 유튜버. 기념품은 '치즈볼과 티셔츠'. 60분 만에 준비된 치즈볼 2000개와 티셔츠 1000장 완판.

https://youtu.be/iOlZHIDlwSg?t=386

- '빠더너스 팬덤'을 잘 파악해 기획한 결과란 평가. 그러나 이 팬덤이 '치즈볼'을 유난히 사랑하는 건 아니다. 치즈볼은 수년 전부터 sns의 잇템으로 자리잡음.


- <허지웅답기>로 감성/힐링형 콘텐츠 제작 및 자사 제품 홍보. 이 프로그램은 '라디오스럽다'는 게 특징.

https://youtu.be/N9_Bn6Oavhg?t=1175


- 가수 헤이즈와 협업한 인터렉티브 웹툰. 자체 제작한 유튜브 인터렉티브 웹툰 드라마 채널 댓글툰에 인기 뮤지션이 협업한 가사툰을 선보인다. 가사툰은 국내 대표 뮤지션들이 음악 선정 및 각본에 참여한다.

https://youtu.be/PYSwRSlzpZc

- 유튜브 서바이벌 프로그램 <고등학생 간지대회>는 여러 브랜드, 지상파 방송 등 다양한 협업사례를 남기며 성황리에 종료했다.

https://youtu.be/--zch9G9kn8


함께 챙기면 더 좋을 관련 이슈들


1. 블랭크 관련 기사 중 간과되는 것이 작년의 <케이팝 굿즈 플리마켓>이라고 본다. 하루 3만 명이 모였다. 행사는 블랭크코퍼레이션의 100% 자회사인 인바운드 여행 콘텐츠 스타트업 블랭크케이가 진행했다.

https://twitter.com/kpopgoodsmarket


2. 블랭크코퍼레이션의 자회사 블랭크씨(blank.C)는 셀러브리티와 크리에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캐릭터 발굴·콘텐츠 지원, 커머스와의 연계점 구축 등이 장기 목표. 블랭크씨는 ‘크리에이터 밸류업 서비스’를 지향하는 스타트업으로 라이프스타일 기업 블랭크코퍼레이션의 100% 자회사다. 연기자 김지우, 유튜브 크리에이터팀 ‘빠더너스’와도 협업 관계. ‘빠더너스’는 인기작가 유병재와 호흡을 맞추며 웃음을 선사한 방송작가 문상훈과 김진혁으로 구성된 크루로, 웹코미디를 비롯한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 작업을 앞두고 있다. <고등학생 간지대회>의 우승자 유비, 창빈과도 계약.

http://blankc.co.kr/


3. 블랭크의 구조는 크게 커머스, 콘텐츠, 매니지먼트로 볼 수도 있다. 그렇다면 이 구조를 연결하는 것은 뭘까? 내 생각엔 바로 '팬덤'이다. 

블랭크의 팬덤을 모으는 건 중요하지 않지만, 블랭크가 만드는 콘텐츠/미디어 그리고 소속된 셀러브리티의 팬덤을 더 많이 모으는 건 중요하다. 밸류 체인 아래 이들을 하나의 덩어리로 묶고, 그들이 반응하는 아이템을 꾸준하게 출시하는 게 중요하다.

4. 이런 구조에서 핵심은 콘텐츠의 도달율과 공유수. 이건 플랫폼마다 다르고, 정확하게 측정되지 않지만 내부에선 이걸 체크하는 뭔가가 있을 거라고 본다. 콘텐츠가 얼마나 동시대 감수성과 연결되느냐 그리고 그걸 본 사람들이 얼마나 바이럴하느냐가 관건.


5. 그걸 위해서는 구독자/소비자/팬덤(다 같은 말이지만, 행동에 따라 나뉠 것이다)을 정확히 이해하는 게 필요하다.


6. 자체 개발한 소셜네트워킹서비스 플랫폼 블라(blah)는 얼굴 노출 없이 AR 캐릭터로 소통하는 신개념 영상 메신저로 실시간 얼굴 인식 기술과 관심사 기반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  자체 커머스 플랫폼 ‘제제(zeze)’는 ‘모이면 싸진다’는 서비스 가치를 지향하며 그룹구매, 라이브 커머스 등을 제공한다.

https://youtu.be/DTiCCxQEMWA


7. 이 두 개의 서비스는 블랭크와 관련된 사용자/구독자/팬덤의 행동 패턴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 만들었다고도 볼 수 있다. 물론 성과는 눈에 띄지 않고, 반응도 별로지만 시행 착오의 과정이라고 이해할 수도 있다. 블랭크가 굳이 왜 이런 앱을? 이라는 질문에 대한 답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는 얘기. 


8. 결론적으로, 블랭크의 핵심 키워드를 '팬덤'으로 보면 이들이 지금 진행하고 있는 모든 것들이 하나로 수렴되기도 하고, 면면이 이해되기도 한다. 그렇다면 벤치마킹하는 사업 모델은? 아이돌 기획사일 가능성이 높다.



매거진의 이전글 밤레터#07 | 함께 읽고 싶은 밤, 차우진입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