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위수정 기자 Feb 14. 2020

‘영웅본색’ 박민성 “저만의 마크를 만들어 가"

[인터뷰] ‘영웅본색’ 박민성 “저만의 마크를 만들어 가고 있어요”

박민성.(제공=에너제딕)

[아시아뉴스통신=위수정 기자] “마크의 멋있음을 연기한다는 게 되게 부담스러웠죠. 주윤발이라는 상징적인 인물을 표현해야 하니까 어떻게 살릴 수 있을까 고민을 많이 했는데 그냥 ‘나다움’을 보여주려고요. 주윤발 배우를 따라 하거나 모방하는 게 아니라 제가 표현할 수 있는 감정의 극대치를 보여주려고 해요”


뮤지컬 ‘영웅본색’에서 조직에 배신당한 자호의 복수를 하다 절름발이가 되어 조직에서 퇴물 취급을 받는 마크 역으로는 박민성은 자신만의 마크 연기를 보여주며 매회 호평을 받고 있다.


뮤지컬 ‘영웅본색’이 동명의 영화 1, 2편이 각색되면서 마크의 위트보다 뮤지컬에서는 비장미가 강조된 거 같다는 평에 대해서 박민성은 “극 초반에는 마크가 가볍고 장난도 치는 장면이 찰나긴 하지만 있긴 있다. 어느 정도 가벼움을 표현할 수 있다고 생각했고 뒤로 갈수록 마크가 비장해질 수밖에 없는 장면들이 대부분이어서 애로사항이 있을 거 같다”고 답했다.


박민성./아시아뉴스통신=백진욱 기자

같은 배역을 맡은 최대철 배우에 대해서는 “(최)대철이 형은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형이고, 같이 작품을 해서 좋았다. 대철이 형도 저도 술 한잔하는 걸 좋아해서 사석에서 만난 적이 있는데 처음 보자마자 ”형 술 한잔 사주세요“라고 했더니 형이 ”술 사줄 테니까 네가 날 도와줘“라고 하시더라. 너무 프로페셔널하게 잘하시고 계시지만 대사를 넘버에 적절하게 버무리는 걸 제가 말씀드릴 수 있는 한도 내에서 같이 모니터하면서 상의를 많이 했다”고 언급했다.


박민성은 “‘프랑켄슈타인’과 ‘벤허’에서 다리를 저는 역할을 했는데, 이번 ‘영웅본색’에서도 마크가 다리를 절고 나온다. 개인적으로 아버지가 예전에 뺑소니를 당하셔서 왼쪽 무릎 밑에 의족을 하고 다니시는데, 제 공연을 보러 오셨을 때 어떤 생각이 드실까 걱정이 된다”고 개인적인 고민을 전했다.


박민성은 왕용범 연출과 작품을 계속 함께 하는 것에 “왕용범 연출님은 정확하게 원하는 그림과 템포가 있는 분이다. 대사를 풀어줄 땐 풀어주고, 템포를 가져가야 할 때는 한 치의 오차도 없이 가져가야한다”며 설명했다.


“마크는 성냥개비를 폼으로 물지 않았을까. 그게 트레이드 마크가 되었고, 겉멋이 잔뜩 들었으며 폼생폼사에다 제스처도 과하고 오버스러움이 있는데 그게 캐릭터 성을 표현해주는 장면 같다. 그 시대에는 그게 트렌드겠지만 지금은 레트로가 되었고, 그걸 과하게 살리려고 노력하지는 않았다. 성냥개비를 물고 넘버를 불러야 하는데 처음에는 노래하다 성냥개비를 떨어뜨렸다. 연습할 때 성냥개비를 넣었다 뺐다 하니까 연출님이 계산을 하라고 하더라. 큐가 많으니 그냥 계속 물고 넘버를 부르려고 했다. 그래야만 뒤에서 안 물고 있어도 성냥개비에 대한 인식이 남아있을 거 같았다. 넘버를 좀 더 편하게 부를 수 있었지만, 성냥개비를 신경 쓰느라 발성도 바꿨다”

박민성.(제공=에너제딕)

마크와 자호의 의리에 대해서 “배우들이 연기할 때 서브 텍스트를 찾는데, 원인이 될 만한 거에서는 더 깊이 들어간다. 위스키 한 병을 마시면 식도가 타들어 가는 느낌이 드는데, 그 한 병을 원샷해서 마셨다는 것은 보통 강단이 아니면 힘들 거다. 죽음의 사선에서 12년이 넘게 한두 번도 아니고 몇 번을 자기를 대신해 죽을 뻔하고, 맞아주다 보니 의리가 단단해졌을 거 같다”고 자기생각을 전했다.
 
박민성은 뮤지컬 ‘영웅본색’이 초연을 끝내고 재연으로 다시 올라와도 마크 역할을 맡고 싶다고 했다. “온리 마크, 무조건 마크에요! 저도 제 안에 거친 모습이 있는데 일상생활에서는 표출을 못 하지만 무대 위에서 언제 이렇게 표현해보겠나. 그걸 다 보여줄 수 있는 게 마크인 거 같아요. 연기한다는 생각보다 논다는 생각이 들고, ‘마크를 연기해야지’라는 생각이 안들 정도이다”고 마크 역할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한편, 박민성이 마크 역으로 연기하고 있는 뮤지컬 ‘영웅본색’은 3월 22일까지 서울 한전아트센터에서 공연된다.


현재, 뮤지컬 '영웅본색'은 조기 폐막을 한 상황이다.


https://www.anewsa.com/detail.php?number=2054805


매거진의 이전글 [인터뷰] ‘한국뮤지컬협회’ 이유리 이사장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