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민주 Aug 06. 2020

집필: 독자를 고려한 일기는
책이 됩니다

"멀어서 가까워지는 것들" 독립출판 작업기_5편: 집필

일기장은 죄가 없습니다.

'일기장을 책으로 엮으려는 건 아닌지 고민해 보세요.' 출판에 대해서 배울 때 그 얘기를 참 많이 들었습니다. 어느 작가님의 북토크 때도 들었고, 어느 출판사 편집장님의 출판 수업에서도 그 얘기를 들었죠. 처음 그 얘기를 들었을 때는 정말 맞는 말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남이사 일기장을 책으로 낸들 알게 뭔가요. 내가 아는 사람의 일기장을 들춰보는 것보다도 재미가 없지 않을까 싶었죠.


하지만 독립출판물 중에는 일기장이 많습니다.

독립출판물 중 '타인이라도 관심을 가질만한' 어떤 기록이 엮인 일기장은 사람들의 손에 들려 나갑니다. 일기장이라서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지 않는 건 아닙니다. 심지어 기성출판물 중에도 일기장이 책이 된 케이스가 있고요. 민음사에서 나온 [베를린 일기]가 그 예입니다. 최민석 작가님이 맛깔나게 쓴 베를린에서의 하루하루를 읽다보면 '웃픔'이라는 게 어떤 건지 제대로 느낄 수 있죠.


그렇다면 일기장을 책으로 엮지 말라는 건 무슨 의미일까요?

고민 끝에 내린 결론을 말하자면 독자를 고려한 원고를 쓰라는 말인 것 같습니다. 완전히 자기 안의 특수한 이야기를 쓰지 말라는 게 아니고 특수한 이야기라도, 알아듣게 쓰라는 거죠.


우리는 보통 일기를 쓸 때 자기 자신을 위한 기록을 합니다. 많은 정보를 생략하죠. 그래서 타인의 일기를 읽을 때나, 먼 옛날 자신 쓴 일기를 읽을 때도 '도대체 이게 무슨 말이지? 도대체 어떤 사건을 말하는 거지?'하고 의문을 가지게 됩니다.  가령 굉장히 행복한 나날을 보내던 중 한 달 동안은 아무런 글도 없다가 갑작스레 영문 모를 우울한 글을 쓴 게 책으로 출판되었다고 생각해보세요. 그 가운데의 이야기를 모르기 때문에 답답해지겠죠.


그럼 읽는 사람은 일기장 속 인물에게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건지 추측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일기장이면 '에이, 좀 자세하게 쓸 걸'하고 스스로 아쉬워 하면서 넘기면 되지만, 그게 책이라서 나 아닌 누군가가 본다면 작가가 불친절하다거나 개연성이 떨어진다고 느낄 겁니다.






그래서 집필을 할 때부터 독자를 고려한 친.절.한. 글쓰기를 하려고 노력했습니다.

독자를 고려해서 글을 거르는 일이나 수정하는 일은 편집 때도 하겠지만, 그건 글을 다 쓴 이후의 일이고요. 각각의 원고를 집필 할 때 기본적으로 독자를 고려해서 글을 쓸 필요가 있습니다. 육하원칙을 지켜서 기사 처럼 역 삼각형으로 쓸 필요는 당연히 없지만, 적어도 이 한 꼭지의 글을 이해할 때 어려움이 없도록 하는 거죠.


제가 삭제한 '프리랜서가 버스에서 하는 일' 이라는 원고가 하나 있는데, 그걸로 설명을 드리면 될 것 같습니다.


저녁 5시 52분. 종로로 향하는 광역버스 안에서 글을 쓰기 시작한다. 앞에서 부터 네번째 자리 맨 왼쪽에 앉아있다. 창가 옆으로는 반대차선으로 느릿느릿 달리는 차들이 보인다.많은 사람들이 일터에서 집으로 달려가는 저 길은 곧 더 막히겠지.

프리랜서인 나는 그들과 다른 시간을 산다. 일을 하기 위해 저녁에 서울로 향하는 이유다. 오늘은 폴인 푸드테크 스터디 3기가 시작되는 날. 스터디를 정리하고 기록하는 것이 내 일이다. 기록한 글은 이후 폴인 웹사이트에 디지털 리포트로 재가공 된다. 원래는 돈을 내고 봐야 하지만 스터디를 듣는 사람들에겐 그 디지털 리포트도 제공된다. 그래서 이 스터디에 가면 나는 기록할 정보들과 내 글의 독자가 되는 사람들을 동시에 만날 수 있다. 참 반가운 곳이다. ...(생략)


폴인 스터디를 기록하던 그때

그 뒤는 '이렇게 행사에 참여한 건 다 페이스북에 기록한다. 어디에서? 버스에서. 왜? 그게 내 브랜딩 방법이니까.'라는 내용이지만 별로 중요하진 않아서 생략했습니다. 그냥 자기 기록용이라면, '폴인 푸드테크 스터디가 시작됐고, 나는 디지털 리포트 제작을 맡아서 그 소감을 페이스북에 기록했다.'만 남겨도 됩니다. 하지만 독자가 볼 거니까 조금 더 상세하게 내용을 풀어 준 거죠. 무슨 행사고, 어떤 리포트고, 이게 나한테 무슨 의미가 있고, 그걸 하는 이 공간은 어디고, 지금 어떤 상황이고, 그런 것들을.

 

사실 처음부터 이렇게 쓴 건 아니고요. 초반에 정말 일기같이 써서 삭제한 '()'라는 원고가 있습니다.

내가 느끼는 세상은 이미 은유로 가득 차 있는데, 직설적이면 어떻고 은유적으로 말하면 어때. 난 차이가 지겹고, 구분해 내는 것보다 느끼는 것에 집중하고 싶어.

2019년 10월 14일 월요일 오후 7시 버스 안에서

이건 어쩌라는 건지. 나중에 보면서 그런 생각이 들더라고요. 당시에 [그렇게 우리의 이름이 되는 것이라고]라는 단편소설집을 봤거든요. 분명 그걸 읽으면서 한 생각인데, 당최 제 감정도 이해가 안되고. 정확히 어떤 내용을 보고 쓴 건지도 모르겠는 거예요. 짧은 게 문제가 아닙니다. 그냥 이 한 꼭지가 어떤 상황인지 분명히 그려지지 않잖아요. 글 자체가 마음에 들든 안 들든 컨셉에서 벗어난 이 글은 과감하게 삭제했습니다.




독립출판이었든 어떤 출판이었든 암호책을 내지 않겠다.

저는 이렇게 생각해요. 보다 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출판을 하려는 사람들에게 '일기장을 내려는 건 아닌지 고민해 봐야 합니다'라는 말을 하기보다 '독자에게 내 마음 속 비밀번호를 맞춰보라고 강요하는 건 아닌지 고민해 봐야 합니다'라고 하면 어떨까. 대부분의 독자는 작가의 마음을 맞추려고 책을 보는 게 아닌 거 같거든요. 특히 에세이는, 내 마음을 뉘이려고 보는 경우가 저는 더 많다고 생각해요. 그러니까 읽기 쉽게 써야 하는 거죠. 제가 지난 두 차례의 책을 내면서 했던 생각이기도 하고요. 때로 저한테 그런 말을 해주시는 책방 사장님도 있었답니다. 다음 책은 부디 암호를 거둬 달라고.


물론 그 책들은 보다 많은 사람에게 닿길 바라지도 않았고, 어쩌면 "내 마음은 당나귀 귀!"라고 말하기엔 좀 부끄러워서 이해하기 어렵게 서술한 것도 있습니다. 그런 마음일 때는 그렇게 쓰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이번 책을 쓰는 저는 또 다른 사람이니까, 암호를 최대한 걸렀습니다. 혹시나 좀 남은 게 있을 수도 있는데요. 말장난이나, 해석을 곁들인 상징 같은 것들은 감추지 않았죠. 그 외에도 발견할 때마다 조금씩 고치고 있습니다. 집필 때부터 이런 것들을 좀 염두에 둔 덕에 예전보다는 확실히 암호장이 아닌 책을 내지 않을까, 일상의 기록을 좀 더 쉽게 담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음에도 집필에 대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제가 집필할 때 고민했던 것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는다는 게 쓰다보니 은근히 양이 꽤 되네요. 다음엔 그 중에서도 분량과 톤에 대해 고민했던 것을 말씀드리겠습니다.




☞ 작업기를 읽는 분들께 드리는 말

독립출판의 형태는 독립출판 제작자가 설정한 목표와 생각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결코 제가 고민한 모든 것들, 제가 마주한 문제들을 다른 독립출판 작가들도 똑같이 고민할 것이고 고민해야 한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물론 완전히 다르지도 않겠지만, 저마다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면서 독립출판을 할 거라고 봅니다. 그러니 이 작업기를 자신의 독립출판에 그대로 대입해보기보다는, 그저 익민주라는 한 인간의 독립출판 케이스라는 점을 생각해주시고, 저와 같은 질문을 했던 분들이 있다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까 하여(혹은 도움을 얻을 수도 있지 않을까 하여) 기록한 것이니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