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와이작가 이윤정 Nov 07. 2023

검색기록은 당신이 누군지 보여준다? 인공지능 역이용하라

평단지기독서클럽2399일, 《우리는 왜 숫자에 속을까》

231107  검색 데이터를 지웠다. 새로 설정했다. 

Oh, Yes! 오늘 성공! / 활력 넘쳤다! /감사합니다!

슈퍼 울트라 마스터 라이팅 코치 스테디셀러 작가 이윤정입니다.

오늘 행동은 성공일기로 미리 됐다 여기며 하루를 시작합니다.



《우리는 왜 숫자에 속을까》 8일차!

오늘 아침 10분 독서한 부분은 "인공지능은 모든 걸 알고 있다." 라는 부분입니다. 


며칠전에 손힘찬의 <1퍼센트 성공의 법칙>에서 인공지능을 역이용하는 방법을 알려줘서 인공지능을 저한테 맞춰가는 중입니다. 누군가 친해지면, 유튜브 화면을 보여달라고 하면, 그 사람이 어디에 관심을 갖고 있는지 알 수 있다고 하죠. 뒷부분에 유튜브 시청 기록 삭제하는 법을 소개드릴게요.


제 채널의 첫 화면을 눌러봤습니다. 저는 유튜브 시청을 잘 안하고 있지만, 현재는 프리미엄회원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한 번 시청할 때 '광고'를 기다리는 시간이 아깝고, 멈추는 시간을 기다리기 싫어서에요. 유튜브는 가능하면 '프리미엄'을 이용하시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여러분의 시간을 아껴주는 거니까요.


<더마인드>를 출간한 하와이대저택, 켈리최 회장, 이진행 작가, 고명환 TV, 최근 <퓨처셀프> 저자 벤저민 하디의 영상, 교보문고 베스트셀러 , 최서연 작가님 치앙마이 여행 관련 영상이 떠있네요^^  맞습니다. 


제 관심 분야가 딱 나와있습니다. 여러분의 유튜브 화면은 어떤 화면으로 가득 차있나요?


지금부터 리셋하는 법 알려드립니다. 


*유튜브 시청 기록 지우는 법, 전체 기록 중지





그러면 이제 유튜브가 내가 검색하는 걸 중단합니다.



자, 이제 지우셨으면, 유튜브 인공지능을 역이용해보겠습니다. 

검색창에 여러분이 앞으로 관심을 가질 내용을 입력합니다. 


"독서법"


저는 독서법 치니까 이렇게 뜨네요. 여러분은 다를지도 모르겠습니다.


" 책추천" 도 검색해봅니다. 


이렇게 나오네요.



이젠 여러분 화면에서 검색창 옆에 '마이크'를 누르고 음성으로 검색 한번 해봅니다. 


'독서법', '책추천' 말하고 검색합니다. 모바일 화면은 또 다를 수 있어요.


이렇게 여러분의 관심 키워드로 설정하면, 유튜브 알고리즘이 여러분의 관심사를 보여주기 시작할거에요.


네이버 검색창, 구글 검색창,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모두 이렇게

1) '키워드'로  관심사를 '검색'하시고, 

2) '음성'으로 '키워드'를 한 번 더 '검색'하면


여러분은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겁니다. 



인공지능이란, 여러분의 인생을 조금 더 편리하게 활용하는 '도구'일 뿐입니다. 인공지능에 휘둘리지 마시고, 역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제가 20년 전에 대학원에서 인공지능을 공부해 봐서 아는데요, 인공지능에 오류가 있습니다. 


진짜를 가짜로 판단하는 오류, 가짜를 진짜로 판단하는 오류가 있습니다. FA(False Accept), FR(False Resect) 라고 하는 데요. 이 수치를 가중치를 어떻게 주느냐에 따라 성능이 좌우되거든요. 데이터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으니, 오류는 당연히 있죠. 


수많은 케이스가 있습니다. 그 중에 데이터로 활용되는 건 '일부'라는 점, 빅데이터는 체스게임이나 천문학 예측같이 체계적이고 안정된 상황에서만 제기능을 하고, 급변하는 불확실한 상황에서는 인공지능의 오류가 더 커진다는 점은 반드시 기억하면 어떨까 합니다. 



여러분 안의 내면의 데이터를 '글쓰기'로 쌓아 자신만의 빅데이터를 쌓아보는 건 어떨까 합니다. 

여유만만 은퇴생활!


오늘문장 : 8장_인공지능은 모든 걸 알고 있다.

    검색 기록은 당신이 누구인지 보여 준다                  빅 데이터는 체스 게임이나 천문학 예측과 같이 체계적이고 안정된 상황에서만 제 기능을 한다. 반면에 하루 아침에 급변하는 불확실한 상황에서는 빅 데이터를 빋을 수 없다. 바이러스나 인간사가 그 예이다.             

                  페이스북의 분석보다 더 정확한 방법이 있다. 바로 성 정체성에 대해 직접 물어보는 것이다.             





11월 책쓰기 정규과정 안내 : https://forms.gle/q95wRofZppGTzPnFA

책쓰기 무료특강 후기 


작가의 이전글 글쓰기, 언제 쓰면 좋을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