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의 방향
나는 이것이 후일 정치인이 된 노무현의 원칙주의라고 생각한다. 대의를 위해 자신에게 불리한 길까지 선택하는 것이 그의 원칙주의라는 건 많은 사람들이 이미 알고 있다. 그 뿐 아니다. 대의를 위한 실천에 있어서도 한계를 두지 않고 철저한 것. 이것이 그의 또 다른 원칙주의이다. 말하자면 지역주의 타파라는 대의를 위해서도 종로에서 국회의원 계속하면서 얼마든지 노력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자신이 지역주의 타파를 주장하는 이상, 자신의 온몸으로 지역주의와 부딪혀야 하는 사람이었다. 나는 이점에서 그를 따라갈 수 없었다. - p.50 line 6~13
그렇게 보면, 진압에 투입돼 목숨을 잃은 경찰관이나 그날 농성 중에 사건이 발생해 구속되고 형을 살았던 학생들이나 모두 시대의 피해자들이었다. 가해자가 있다면 그런 상황을 만든 독재정권이었다. 그런데도 아직 그 경찰관들을 학생들에 의한 피해자로 부각시키면서 증오와 적대를 키우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 p.81 line 4~8
정부가 해야 할 일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갈등을 조정하는 일이다. 정부가 정책에 확신을 갖고 있더라도, 반대의견이 있으면 귀 기울이고 설득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반대의견이 집단적일 경우는 더 말할 나위가 없다. 참여정부는 권위주의가 해체된 시기여서 그런지 큰 사회적 갈등이 많이 터져 나왔다. 그런 갈등을 합리적으로 조정하고 중재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이 국가적으로 반드시 필요하다고 느꼈다. - p.251 line 13~18
'헌법이란 게 무엇인가. 저 멀리 높은 곳에 있는 게 아니지 않는가. 국민들이 가지고 있는 민주주의에 대한 가장 보편적이고 소박한 소망, 그것을 상징적으로 표상화(表象化) 한 것이 헌법이다. 결국은 헌법에 대한 해석도 일반 국민들의 민주주의 의식과 법의식에서 출발해야 한다. 그것이 헌법에 반영돼야 한다. 그렇다면 거리로 나선 이 많은 시민들의 탄핵 반대 촛불시위로서 이미 탄핵재판이 가야할 방향을 보여준 것 아닌가.' - p.298 line 7~12
대통령은 또 이런 강조를 늘 했다. “대선에서 질 수도 있다. 이기면 좋지만 늘 이길 수는 없는 것 아닌가. 그러나 패배하면 패배하는 대로 다음에 대한 희망을 남기는 패배를 해야 한다. 그러려면 대의나 원칙을 지키면서 대선에 임해야 한다. 특히 명분을 버리면 안 된다. 대의도 원칙도 명분도 다 버리고 선거에 임하면 이기기도 어렵고, 패배 후의 희망까지 잃게 된다.” - p.366 line 20 ~p.367 line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