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피플코치 Apr 14. 2023

불행함의 1조건 '꿈은 크지만 게으르다'


행복감을 느끼는 방식은 저마다 다릅니다.

행복을 소유와 목표의 관점에서 본다면 크게 2가지로 분류할 수 있을 것입니다.



내게 주어진 것에 감사한 마음을 갖고, 욕심을 내려놓고 사는 사람

VS 현재에 안주하지 않고, 세운 목표를 향해 달려가는 사람



오늘은 그 후자에 속하는 사람들인 현재의 만족보다는 미래를 위한 준비에 힘을 쏟는 사람에 관한 글입니다.

그리고 저 스스로에게 말하는 내용이기도 합니다.



말은 너무너무 쉽다 



"커리어에 한번 올인 해 보려고"

"경제적 자유를 이룰 거야"

"유튜브 한번 해 보려고"

"이 사업하면 대박 날 것 같아"




"뭐가 될 거야~" "뭘 해 보려고~"라고 하는 말이 허언이 되지 않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1) 실행 2) 시간이 지난 후 성과입니다.



거창한 꿈을 쉽게 얘기했던 살면서 만난 많은 사람들 중 10년, 20년의 시간이 훌쩍 지난 지금도 여전히 비슷한 말만 하고 있는 케이스를 많이 봅니다.


이상은 여전히 크지만, 항상 시작하지 않은 전 단계, 내가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그 단계 말입니다.



하지만 그중 어떤 사람은 누군가 말로만 그칠 때 누군가는 묵묵히 실행했고, 오랜 시간이 지난 지금 차원이 다른 사람으로 성장한 분들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언제 할 수 있을까요? 



나의 목표를 사람들에게 공표하거나 SNS, 블로그에 포스팅하는 것이 동기부여, 다짐, 각오 등으로 될 수도 있지만 시도조차 제대로 하지 않는 것은 그 자체가 사람에 대한 신뢰를 깎아내리는 일이 됩니다.



가슴 뛰는 목표 자체가 있다는 것, 그리고 그것을 위해 한 걸음씩 나아가는 과정에서의 성취감은 안정감에서 주는 마음과는 다른 기분일 것입니다.



목표와 꿈이 있는 삶은 좋은데 문제는 이상과 현실의 gap이 클 때 발생합니다.

그리고 더 디테일하게는 꿈은 큰데 그에 비해 노력은 하지 않는 '게으름'이라는 삶의 태도가 문제가 됩니다.



꿈은 크지만 게으르면 발생할 수 있는 감정은


1) 정신승리, 행복회로만 계속 돌린다

2)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해 낼 수 있다는 생각만 커진다

3) 하루하루 본인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고, 한 걸음 나아가는 사람들이 시시해 보일 수 있다

대표



나를 진단하는 법



나 자신이 이상은 큰데 게으르지 않은 사람인지를 스스로 판단하는 방법은 스스로 2가지 질문을 하면 판단할 수 있습니다.



1) What have I done? (어떤 노력을 해왔는가?)

2) What have I achieved? (어떤 성과가 있었는지?)



야망과 큰 꿈이 꼭 삶에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인생의 궁극적인 목표를 행복에 둔다면 차라리 편한 방법은 큰 꿈을 내려놓고, 현재의 삶을 즐기는 게 쉬운 길입니다.



목표는 높은데 그에 따르는 노력이 없으면 현재와 미래의 삶 모두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나는 큰 꿈을 갖고 있는데 그 노력은 그에 비례해서 하고 있는가?

I will~ 어떻게 하겠다. 가 아닌 What I did의 결과나 이룬 것으로 보여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한 쪽으로 지나치게 치우친 생각이 가로막는 것들

평생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되는 것이 있다면


                    

매거진의 이전글 2번째 책의 원고를 쓰기 시작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