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땠어요] 불안 끝에 입을 뗀 사람에 대한 이해 <딸에 대하여> 리뷰
한국 관객에겐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봄날의 햇살로 알려진 하윤경 배우와 최근 <여신 강림>에서의 돌직구 캐릭터로 화제가 된 임세미 배우, <파일럿>의 트로트 가수의 열성팬 엄마로 알려진 오민애 배우 주연의 장편 독립영화가 극장을 찾아왔습니다. 성소수자 커플인 딸과의 동거를 그린 김혜진 작가의 원작 소설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딸에 대하여>입니다.
요양보호사로 일하며 혼자 살고 있는 엄마(오민애 분)에겐 골칫거리 딸이 하나 있습니다. 대학에서 강의를 하는 딸 그린(임세미 분)은 전세 재계약 문제로 쫓겨날 처지가 되자 엄마에게 SOS를 치고 마지못해 엄마가 얼버무리는 사이에 집으로 들이닥칩니다. 문제는 딸이 혼자가 아니라는 것. 딸에겐 7년을 만난 동성 연인 레인(하윤경 분)이 있었고 서로를 요상스런 애칭으로 부르는 둘을 도무지 엄마는 이해하기 힘듭니다. 일터에서는 자신이 돌보는 어르신(허진 분)에게 온갖 사건들이 벌어지기 시작하고 홀로 죽어가는 그를 돌보는 엄마는 날이 갈 수록 딸에 대한 걱정이 커집니다.
<딸에 대하여>를 처음 만난 관객이 제일 먼저 보게 되는 것은 다름 아닌 한 명의 엄마입니다. 그리고 끝까지 보게 되는 것 또한 엄마 단 한 사람이죠. 영화는 제목과 달리 엄마의 삶과 표정, 생각과 고민에 집중하고 있는 영화입니다. 제목에서 드러나는 딸에 대한 질문과 고민은 어디까지나 오주희라는 이름이 희미해진 '엄마' 그 개인 안에서 커지고 작아지기를 반복합니다. 영화에는 다양한 배우와 배역이 나오지만 언제나 카메라는 엄마를 비추는 것을 최우선으로 움직이고 멀리서 들려오는 소리와 자극에 반응하는 식입니다. 그만큼 일반적으로 우리가 보는 컨텐츠에 비해 관객의 노력이 필요한 연출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은유적이거나 해석이 필요한 이야기 방식을 취하고 있진 않기에 관객으로 하여금 엄마를 이해하도록 충분한 시간을 쏟는 듯한 느낌이었습니다. 하나의 인간을 온전히 이해하고 따라가고자 하는 영화의 종착점을 위한 연출이었고, 아주 성공적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가장 영화적인 방식이자 영화만이 할 수 있는 언어로 느껴졌습니다.
'동성애자인 딸의 연인과 불편한 동거를 하게 된다'는 이 영화의 줄거리는 영화를 반만 설명하고 있기도 합니다. 영화는 엄마의 직업이 누군가의 마지막을 따라가는 것임을 소홀히 하지 않았습니다. 요양원에서 홀로 생활을 영위하기 힘든 사람들을 보살피는 요양보호사의 직업적 공간을 차분하지만 치밀한 시선으로 파고들었습니다. 딸이 없는 엄마만의 세상으로써의 요양원은 그들의 동료(장선, 강애심 분), 대척점, 사회적인 체계 등을 철저하게 펼쳐냈습니다. 엄마가 보살피는 이제희 어르신의 과거와 비참한 현재를 따라가는 엄마는 매순간 '사람'으로 존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합니다. 그리고 이런 걱정은 자신에 대한 체념이자 딸에 대한 걱정이고, 삶 전체에 대한 불안으로 덩치를 키웁니다. <딸에 대하여>는 이를 딸에게 투영하고 호소하며 갈등을 일으키는 악순환을 관객으로 하여금 조용히 지켜보게 합니다. 그리고 그 악순환이 누군가의 부도덕한 신념에서 비롯됨이 아님을, 그래서 그것이 악순환이 아니라 그저 우리가 발 딛고 사는 사회의 순환 그 자체임을 영화는 아주 나긋하지만 단호히 읊조립니다.
때때로 좋은 영화는 하나의 인간을 샅샅이 이해하는데 좋은 통로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딸에 대하여>는 분명 그러한 영화이고 영화가 가진 이해가 쉽고 단순하면서도 섬세한 표현은 영화 이후에도 더 이야기되어야 할 성취라고 감히 말씀드리고 싶네요. 자신이 이 영화의 인물들 사이에서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는 생각보다 중요하지 않습니다. 여러분이 젊든, 이성애자든, 생에 끝자락에 있든, 불안에 사로 잡혀 있든지요. 영화가 발을 떼는 순간은 가지런히 정돈되어 있고 마음을 비운 채 걸음을 함께하시면 될 듯 싶습니다. 어려운 상황에 놓인 인간을 비추기에, 등산같이 느껴지는 초반부가 존재하지만 이후 영화가 선물하는 정상 같은 순간이 아주 많습니다. 제 글로는 손톱만치도 전달하기 힘든 순간들입니다. 극장에서 만나보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