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yangpa May 24. 2018

어떤 상황이 강간인가 간단 설명

2017년 11월 9일

당신의 동기가 현찰로 500을 들고 있다. 당신은 돈을 빌리고 싶다. 이럴 땐 친구에게 동의를 받고 빌리면 된다. 싫다고 하면 뭐 못 빌리는 거고.     


'친하니까 이 정도는 괜찮아' 하고 동의 없이 돈을 가져가면? 절도. 

'야, 너 나한테 돈 빌려줄 수 있지? 싫다고? 죽고 싶어? 내가 안 갚을 거 같아? 내놔. 이게 누굴 도둑놈 취급하고 있어?' 갈취.     

억지로 술 마시게 한 다음에 뻗은 상태에서 '야, 나 돈 가져간다?'하고 가져가도 절도.     

억지로 가져간 다음에 카톡 내용 보여주면서 "얘랑 저랑 친했거든요" 해도 절도.     


상관이 억지로 갈취한 다음에 "어이, 돈 잘 썼다." 하는데 진짜 안 갚을까 싶어서, 야 이 도둑놈아 하면 뭔 짓 할지 몰라서 "아 네 ^^ 월요일에 뵐게요" 답 보냈다고 해서 절도가 무상 증여가 되진 않음. "너 내 돈 가져갔지 당장 갚지 못해?" 하지 않았다고 절도가 아닌 게 아님.     


절도와 강간의 차이라면 돈은 갚으면 되지만 강간은 타임머신으로 시간 되돌리지 않는 한 완벽한 복구는 불가능하다는 거. 500만 원 절도보다 훨씬 더 큰일이지만 아주 흔하게 일어나고, 범인들은 지가 잘못했다고 생각도 안 하는 거. 피해자가 절도 피해 시 뭘 입고 있었는지, 어떤 식으로 말 했는지, 돈 있다는 표시를 했는지, 평소에 지갑 보이게 돌아다녔는지 물어본다는 것. 경찰에 가도 "주고 싶어서 준 거 아니에요? 지인 간 절도 증명하기 힘든데..." 이딴 식으로 반응한다는 것. 세상 대부분이 절도범 편을 든다는 것

매거진의 이전글 강제성을 띈 관계는 했지만 강간은 아니라고 믿는다는 것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