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늘 May 28. 2023

프로덕트 조직에 CPO가 필요한 이유

PM의 인풋3. "Think Product"를 위한 프로덕트 조직 구조

여러 tech 프로덕트를 다루는 조직이라면 프로덕트 총괄, Chief Product Officer, Director of product, VP(Vice President) of Product 혹은 Head of Product가 필요해진다. 이 직책들 간에는 어떤 차이가 있고, 궁극적으로 CPO는 프로덕트 조직에서 어떤 역할을 할까?


+) 참고로, 최근 만나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던 토스의 Head of Product 하대웅 님은 이 질문에 대해 이렇게 답변해 주셨다. 

'우선 각 PO, PM들과 서로 간의 기대치 세팅을 맞추고 그 이후부터는 99% 위임한다. 그 1%와 99%의 경계를 명확하게 하는 편이다. 그러면 PM들은 99%의 영역에서 내 의사결정을 기다릴 필요가 없고 내가 그들의 병목이 되지 않는다. 특히 나와의 신뢰 자산이 쌓인 PO, PM이라면 거의 모든 걸 맡기는 편이다.'

Holistic 프로덕트 조직의 핵심 기능 (아래 요소를 개별 부서에서 다루지 않는 것)

1. Product Management

2. Product Design

3. Monetization

4. Product Marketing -- 요즘 내가 growth 관점에서 관심 있게 보는 요소


Holistic 프로덕트 조직에서 (대부분의 경우) 필요로 하는 직무

1. PM/PO

2. Product Operation

3. Product Design

4. Product Marketing (= 프로덕트 포지셔닝,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는 방식)

5. Product Analytics&Data

6. Pricing

7. Sales


CPO의 역할

프로덕트와 관련된 모든 전략과 실행에 책임을 지는 것.

1. Business: 사업 관점에서 프로덕트로 돈을 버는 것(e.g. 프라이싱 포함)

2. Customer centricity: 고객 이해를 바탕으로, 프로덕트가 고객에게 기쁨을 주도록 하는 것

3. Leadership: 프로덕트 컬처와 프로덕트 목표 측면에서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 (+ 운영/관리 측면 포함)

4. Focus: 전체 조직이 고객의 페인포인트와 문제해결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요약하자면 user-centric culture를 전체 조직에 전파하고, 학습시키고, 녹아들게 하여 진정 프로덕트를 생각하는 회사로 만드는 것, 그리고 프로덕트 비전과 전략을 제공하여 프로덕트 팀이 북극성을 따라갈 수 있도록 하는 것. 그래서 궁극적으로 고객에게 프로덕트로 가치를 제공하는 것.

CPO가 VP of Product나 Director of product와 다른 점은, CPO는 결국 C-level의 임원이라는 것이고 전체 회사의 방향성에 영향을 끼친다는 점이 핵심이다. 프로덕트를 단순히 'technical artifact'로 보지 않고, 회사 전체와 프로덕트 간의 전략을 얼라인 할 필요성을 높이 평가한다고 볼 수 있겠다. 


- 원문 출처 : https://medium.com/@salvabocchetti/do-we-need-a-chief-product-officer-cpo-607c6bc3c5b9




원문에서는 프로덕트 조직이 'Think Product' 하기 위해 고려할 수 있는 여러 조직 구조 옵션을 제안한다. 정말이지 조직 구성과 문화가 프로덕트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거대한 힘을 곱씹게 되는 요즘이다.

작가의 이전글 고객의 모든 페인포인트를 해결하는 PM은 바보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