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돌문어 Feb 13. 2022

[현대건축: 비판적 역사] 읽기 (02)

1부 - 문화적 발전과 기술 경향 1750~1939 / 2. 영토적 변형

안녕하세요, 돌문어입니다.

얼레벌레 썼던 첫 글에다, 얼레벌레 했던 첫 작가 신청이 이렇게 단번에 통과할 줄은 몰랐습니다. 덕분에 아주 조금의 성취감과 자신감이 더해져 두 번째 글을 쓰기 시작합니다. 역시 시작이 끝입니다! 지나가다가 좋아요 눌러주신 분들께도 너무 감사합니다! 글을 다 쓰고 보니, 저도 모르게 이 책의 번역 문체를 따라간 것인지 글이 참 잘 안 읽히더군요. 특히 모바일 버전에서는 더욱! 하. 두 번째는 첫 번째보다 더 낫길 바라봅니다. 아래부터는 고정 멘트입니다.


"[현대건축: 비판적 역사] 읽기" 시리즈는 잃어버린 흥미를 되살려 보기 위한 저의 첫 번째 시도입니다. 머리에 남은 거라곤 "에버니저 하워드" 7글자 밖에 없었던 한 강의의 주교재였던 이 책을 읽고, 글로 다시 한번 정리해보려 합니다. 이제 막 1부 마쳤습니다. 효과가 조금 있는 것 같습니다.


작심 일일의 대명사인 제가 과연 이 시리즈를 언제까지 이어갈 수 있을는지 모르겠습니다. 그저 책 한 권 끝까지 다 읽고, 시리즈도 완결할 수 있길 바라봅니다.


아직 고졸입니다. 꼴에 건축학도지만 머리에 든 것도 많이 없고, 이 책 자체가 너무 어려운 옛날 번역체라 내용상 오류가 충분히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그러나 저는 잘못된 정보 전달을 매우 싫어합니다. 따라서 모든 지적은 감사히 받겠으니 언제든지 지적해주세요.




[현대건축: 비판적 역사] 읽기 ② / 1부 - 문화적 발전과 기술 경향 1750~1939


1부에서는 18세기 초부터 20세기 초까지 일어난 문화적, 영토적, 기술적 변형에 대해 이야기한다. 프랑스혁명과 산업혁명, 미국 독립전쟁, 나폴레옹 전쟁, 제1차 세계대전 등 말만 들어도 문화적, 영토적, 기술적으로 사건이 어마어마했던 시기이다. 그 속에서 현대 건축은 어떤 길을 걸어가고 있었을까?


1. 문화적 변형: 신고전주의 건축 1750~1900

2. 영토적 변형: 도시 개발 1800~1909

3. 기술적 변형: 구조공학 1775~1939


19세기에 걸쳐 일어난 영토적 변형의 가장 주된 요인 바로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발전과 증가다. 도시 곳곳에 철도가 발달하면서 사람의 이동뿐만 아니라 각종 자재의 운송이 용이해졌고, 일간지와 전보 또한 발전하게 된다. 500년 동안 존재해 왔던 성벽 안의 '유한한 도시(finite city)'는 기술과 사회경제가 발달함에 따른 상호작용의 결과 불과 한 세기 만에 변화하게 되었다.


19세기의 발달

기술과 사회경제의 발달의 시작이 된 사건들의 상당수는 18세기 후반 영국에서 출현했다. 생산과 기술 혁신이 일어나자 인구는 계속해서 늘어났고, 사람들은 도시로 몰려오게 된다. 18세기 후반에 과연 어떤 발견이 있었길래?!


주철 생산법 - 에이브러햄 다비

1767년부터 철로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짐. 이후 1784년 헨리 코트가 연철 교련법 개발.


경작법 - 제트로 툴

1731년 이후 널리 적용됨.


조파기* - 제트로 툴

찰스 톤젠드의 4 윤작법 체계의 기반이 되고, 이는 곧 세기말 집약 농법의 원칙이 됨.

*조파기: 씨를 일정한 간격으로 뿌리는 기계


야금술

1750~1850 영국 강철 생산량 40배 증가. 나폴레옹 전쟁으로 급성장함.


4 윤작법

급증하는 산업인구를 먹여 살림.


가내 방직 수공업

대규모 산업화가 가능해지면서 다층 공장이 탄생하게 됨.

- 1764년 제임스 하그리브스 방적기

- 1784 에드먼드 카트라이트 증기력


증기 견인 운송

- 1804 리처드 트레비식 철로용 기관차

- 1825 스톡턴-달링턴 공공 선로

- 1865 장거리 기선: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까지로 유럽인의 이주가 증가, 식민지 영토의 경제를 키움.


1848 자유주의-민족주의 혁명

혁명 이후 대대적으로 성벽의 파괴가 이루어졌고, 이전의 유한한 도시에서 이미 발전이 시작된 교외로 확장하게 됨.


영양학과 의료기술 수준의 증가

사망률이 감소함.


이렇게 시작된 변화는 영국을 시작으로 세계 곳곳에서 일어난 도시 집중화로 연결된다. 도시 집중화는 과연 어떤 영토적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을까?


도시로 모여든 사람들, 준비되지 않았던 도시와 사회


1. 도시 집중화로 폭발적 인구성장

생산력이 증대되었다. 증대된 생산력은 많은 사람들을 먹여 살렸다. 급격한 산업화에 사람들은 일자리를 좇아 도시로 들어오게 되었다. 도시가 활발해졌다. 활발해진 도시로 계속해서 사람들이 몰려온다. 아, 이 도시와 사회는 아직 준비가 되지 않았다.


2. 낡은 지역의 슬럼화

도시 안에는 날림으로 지은 집들이 가득했다. 지자체에서는 교통수단이 부족한 상황이라 근로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생산지에서 통근 가능한 거리에 최저 수준의 저렴한 공동주택을 지었다. 최저 수준이다 보니 역시 채광, 통풍, 녹지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 옥외 공중화장실, 세탁장, 쓰레기 집하장 시설 등 역시 열악한 환경이었으며, 배수시설도 엉망, 유지보수 또한 엉망이었다.


3. 전염병 발생

위생시설 수준이 저러니 당연히 배설물과 쓰레기 넘쳐났고, 홍수에 취약했다. 도시의 질병 발생률이 증가했고 폐결핵이 발생하더니 1830년과 1840년 사이 영국과 유럽 대륙에 콜레라가 대유행하게 된다.


4. 위생문제 해결과 노동계급의 거주조건을 충족하기 위한 노력

1848 영국 공중위생법

영국은 보건개혁을 촉진하고, 과밀한 광역도시의 건설, 유지, 통제하는 최초의 법을 제정하게 된다. 하수도 설비, 쓰레기 수거, 급수시설 공급, 도로 건설, 도살장 점검, 사망자 매장에 관한 법을 제정하여 법적 책임을 지도록 했다. 이는 곧 영국 사회가 노동계급의 주거환경을 상향 조정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인식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노동계급 상황 개선을 위한 협회 (영국)

1844년에 런던 최초의 노동자 공급 주택 건립 지원했으며, 1848~50년에 걸쳐 스트리싱가에 노동자 전용으로 총 4가구가 들어가는 2층 아파트를 지었다. 두 군데 모두 건축가 헨리 로버츠가 설계했다. 이는 후에 노동계급 주택계획에 영향을 주었다.


1864년 이후 여러 자선단체 및 협회, 지역 당국에 의해 노동계급의 주택 질 향상을 위한 시도는 계속되었지만, 1868년과 1875년 공공주택을 제공하도록 요구된 슬럼지역 정리 관련법과 1890년 주택법이 제정되기 전까지 의미 있는 성과는 없었다.


1890년 설립된 런던 시의회는 1893년 노동자 아파트를 지었다. 6층 아파트 블록으로 지어진 이 아파트는 노동자 주택의 이미지 획일화를 방지하기 위해 미술공예 운동의 양식을 적용했다. 후에 발전하여 1897 밀뱅코 단지 설계에 영향을 주었다.


19세기에 시도된 도시 형태들

산업화로 공장들이 곳곳에 들어서게 되고, 철로가 생겨나면서 사람들은 새로운 도시형태를 제시하기 시작했다. 시범공장 모델, 철도 도시, 공장도시, 미래의 계몽 국가의 전형으로 계획된 유토피아적 공동체, 통합된 산업 정착지 등 많은 도시형태들이 시도되었다.


그중 통합된 산업 정착지의 예시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1) 뉴 래너크 (New Lanark)

로버트 오언이 설계했다. 조합 운동의 선구적 기관으로 꼽힌다.







2) 솔테어 (Saltaire)

온정주의적 공장도시. 타이투스 솔트가 설계했다. 교회, 진료소, 중등학교, 공중목욕탕 , 양로원, 공원 등 전통적인 도시의 공공시설을 완벽하게 갖췄다.








뉴 래너크와 솔테어 모두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있다.

https://heritage.unesco.or.kr/%EB%89%B4-%EB%9E%98%EB%84%88%ED%81%AC/

https://heritage.unesco.or.kr/%EC%86%94%ED%85%8C%EC%96%B4/


여기서 반전. 이 책의 저자는 앞의 것들은 샤를 푸리에의 것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다는 식으로 얘기한다. 샤를 푸리에는 누구신가! 프랑스의 철학자이시다. 풀네임은 프랑수아 마리 샤를 푸리에 (François Marie Charles Fourier).


1829년 샤를 푸리에는 에세이『새로운 산업 세계』에서 비 억압적인 사회를 제시한다.


푸리에가 제시한 사회는, 동지의 집단인 팔랑스테르(phalanstère)를 구성하는 것이 관건인 사회주의적 생활 공동체이다.


이 안에서 사람들은 정념 인력(attraction passionelle) 에 따라 서로 관계를 형성하며, 사방이 탁 트인 시골의 제조업을 기반으로 한 농업이 경제를 주도한다. 배치는 베르사유의 배치를 기본으로 하여 식당, 도서관, 윈터 가든 등의 공공기능을 담당하는 중앙 건물과, 작업장과 여행자 쉼터로 쓰이는 가장자리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7761334

푸리에의 중요성은 산업화된 생산과 사회조직에 대한 급진적 비판에 있다. 그러나 유럽과 미국에 팔랑스테르를 세우기 위한 수많은 노력은 이상에 불과할 뿐이었으며, 가장 근접한 실현은 기업가 장 고댕의 파밀리스테르로 남았다.


장 고댕의 파밀리스테르 Familistère. 1850~70.

기즈에 있던 본인의 공장 옆에 세운 파밀리스테르는 주거용 건물 세 블록과 탁아소, 유치원, 학교, 공중목욕탕, 세탁소로 구성되어 있다. 주거용 건물로 빛이 들어오는 안뜰을 에워싼 형태이다.

https://hiddenarchitecture.net/le-familistere-guise/


여담으로, 푸리에의 제자 빅토르 콩시데랑은 1838년 한 글에서 이런 발상을 한다.

"상피뉴 한가운데나 보스의 단일한 부지 안에 농민 1,800명이 사는 것과 각 해안에서 600 리그 떨어진 바다 한가운데에 1,800명이 사는 것 중 어느 게 더 쉬울까?"

이는 100여 년 후 르 코르뷔지에에 의해 실현되어, 1952년 마르세유에 자족적 코뮌, 유니테 다비타시옹(Unité d'habitation)이 세워진다.

Unité d'Habitation Berlin | Le Corbusier | Artur Salisz

https://www.flickr.com/photos/asalisz/32521893960/in/photostream/


도시 중산층의 거주조건 충족을 위한 도시계획


_

영국의 런던의 도시계획

18세기 런던의 도로 및 광장의 그물망은 도시 중산층의 거주조건을 충족하기 위해 19세기 내내 확장되는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도로와 테라스가 딸린 주택 때문에 녹지광장이 띄엄띄엄 자리 잡게 되었다. 이런 공원의 규모와 조화(texture)에 불만족해서 등장한 것이 바로 정원사 험프리 렙턴이 설립한 영국 공원운동이다. 영국 공원운동은 녹화 전원단지(landscape country estate)를 계획, 렙턴과 존 내시가 공동으로 런던 리젠트 공원(The Regent's Park)을 설계했다. 영화 <101마리 달마시안>에서 남녀 주인공과 달마시안 두 마리가 처음 만나게 되는 바로 그 공원이다.

Plan of the Regent's Park. Metropolitan Improvements: London in the Nineteenth Century. Date: 1827.
리젠트 공원 외부를 둘러싼 '과시용' 파사드. 테라스가 연속적으로 펼쳐져있다.

공원을 아예 둘러막자는 이 제안은 1815년 나폴레옹 전쟁이 승리한 후, 왕실의 후원 아래 연속적으로 펼쳐진 '과시용' 파사드에 의해 보강되었다(이 번역체를 어떻게 바꾸면 좋을까 정말). 과시용 파사드는 테라스를 갖춘 숙박시설을 통해 기존의 도시 조직 내부로 침투한다.


이렇게 펼쳐진 파사드를 통해 런던은 북쪽으로는 리젠트 공원을 포함한 귀족적 조망을, 남쪽으로는 세인트 제임스 공원과 함께 칼튼 하우스의 테라스로 호화롭고 세련된 도시풍을 그린다.


_

프랑스 파리의 도시계획

프랑스는 위의 영국이 그리는 픽처레스크의 유혹에도 이성주의를 향한 충동이 건재했다. 가로수 길과 격자형 도시계획이 그려내는 일직선의 이미지가 가장 큰 특징이다. 프랑스의 도시계획은 후에 시카고의 격자형 도시계획(1909년 대니안 버냄)에 영향을 주게 되는데, 프랑스와 시카고는 급속한 인구증가와 이에 따른 여러 난제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 오스망 제독은 파리의 난제들을 꼽았다. 파리 센강의 오염된 상수도와 적절한 하수처리 시스템이 미비했으며, 부족한 묘지와 공원, 넓게 분포한 더러운 주택가와 교통 혼잡이 어우러져 파리는 19세기에 두 차례에 걸쳐 콜레라 유행을 겪어야 했다.


Map of urban realisations in Paris under the Second Empire. created by Mark Jaroski for Wikitravel

이에 오스망은 '파리 개조사업'을 실행한다. 오스망은 파리라는 도시의 거대한 소비시장의 수많은 작업장을 실효성 있는 총체(operative whole)로 변형하고, 통일감을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중심과 축을 이용한 도시계획을 실행해 파리의 센강을 중심축으로 양쪽에 위치한 주요 거점과 각 구역을 도로로 연결했다. 그 결과 파리를 지역적 메트로폴리스(regional metropolis)로 탈바꿈시키고, 기본조직을 분할했다.


뿐만 아니라 오스망은 엔지니어 외젠 벨그랑, 알팡과 함께 공중변소, 벤치, 대합실, 키오스크, 시계, 가로등, 간판 등을 표준화하기도 했다.


이로써 파리는 블로뉴 숲과 뱅센 숲을 비롯한 오픈스페이스에 의해 가능한 한 모든 곳에서 통풍이 되도록 한, 조직화(regularization) 원칙에 기반한 도시 시스템을 갖추게 되었다.


_

독일 바르셀로나의 조직화

바르셀로나의 도시 조직화는 도시화(Urbanización)라는 용어의 창시자인 스페인 공학자 알데퐁소 세르다에 의해 전개되었다.


1859년 바르셀로나 확장 계획안의 주된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격자형 도시

- 경계를 이루는 바다

- 교차하는 사선 대로 두 개

- 스물두 개 블록에 달하는 폭


세르다는 1867년『도시화의 일반론』에서 동선체계 중심의 도시계획을 설명한다. "교통체계는 여러 의미에서 과학적인 도시구조를 위한 출발점" 이라며 증기차에 동선체계의 우선권을 부여했다.

Part of urban plan of a city of Barcelona Black and white pattern. ⓒpsynovec



도심개발과 교외화

기술은 계속해서 발달한다. 1853년 승객용 승강기가 발명되고, 1890년 철골 구조가 완성되면서 고층건물 건설이 가능해졌고, 1863년엔 지하철, 1884년엔 전차, 1882년 시카고에 도입된 증기력 케이블카, 1890년엔 통근열차가 발달하면서 1891년 즈음부터 적극적인 도심부 개발이 이루어지게 된다.


_

미국적 도시개발 형태

1871년 미국의 시카고 대화재 이후의 건설붐으로 도심의 다운타운에는 화재에 강한 고층건물이 주로 자리 잡게 되었고, 사람들은 교외로 나와 저층의 전원주택에서의 삶을 추구하게 되면서 교외화 과정을 밟게 된다.


1869년, 픽처레스크 디자인에 기반한 리버사이드 교외 배치 계획이 시카고 동부에서 시작되었다. 이는 철도와 마찻길로 시카고 시내를 연결하는 계획으로 시카고는 발전하게 된다. 이후 1893년 에서 1897년에 걸쳐 시카고 다운타운 주위를 도는 대규모 고가철로가 건설되었다.


철도는 도시의 번성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다. 1831년 메코믹 기계식 수확기로 증가한 수확량을 철도가 날랐다. 1865년 시카고 사우스 사이드 가축장으로 곡물과 소 운송이 가능해졌고, 폴먼의 침대차가 등장했다. 이후 1869년에는 대륙횡단철도의 등장으로 침대차는 더 성공하게 되었고, 1880년 구스타부스 스위프트의 냉장 기차가 등장했다. 시카고 남부에는 폴먼 시가 설립됐다. 철도로 인해 상거래가 증가하고, 시카고 여객 수송량 또한 증가했다.


미국은 이렇게 전통적 도시에서 격자형 구조를 가진 도시로 발달하게 되었고, 이후 교외화가 이뤄지면서 늘 확장 가능한 대도시권을 형성하게 된다.


유럽의 전원도시 모델

유럽에서도 교외화를 그리는 전원도시 모델이 제시되었다.

대표적인 전원도시 모델은 두 가지가 있다.


_

1880년 아르투로 소리아 이 마타의 선형 도시(Linear City)

축 구조의 스페인식 선형 도시로, 철도와 도로 상하수도 등의 인프라를 갖춘 중심축을 따라 길게 이어지는 선형을 그린다.


Linear City / Arturo Soriya y Mata / Spain 1894
Linear City / Arturo Soriya y Mata / Spain 1894

이미지 출처: https://images.lib.ncsu.edu/luna/servlet/view/all/who/Soria%2By%2BMata%252C%2BArturo/what/Urban%2BDesign%2Band%2BCity%2BPlanning/


_

1898 에버니저 하워드의『내일: 진정한 개혁으로 향하는 평화로운 길』

하워드의 전원도시는 최적 인구수 3만 2000명~5만 8000명을 제시하며, 1871년 실패한 러스킨의 성 조지길드 모델에 기초를 두고 있다. 하워드는 도시를 경제적으로 자급자족하며 상부상조하는 공동체로 생각했다.


Ebenezer Howard, Garden City model, 1898

이미지 출처: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Ebenezer-Howard-Garden-City-model-1898_fig1_307138728


두 가지 모델 모두 철도운송을 채택했지만, 이유는 달랐다. 마타는 모든 소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에 집중하여 특별히 디자인했으며 하워드는 출퇴근 길을 없애기 위해 철도를 택했다. 하워드는 철도를 사람보다는 물건을 나르는 용도로 여겼다.




쓰면서 들은 음악 ♬

Hit Pops Vol.2

Massimo Farao(마시모 파라오)

매거진의 이전글 [현대건축: 비판적 역사] 읽기 (01)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