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2020년 3월 업플라이에 포스트된 글입니다. (원문보기)
지난해 말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코로나 바이러스가 이번달(2020년 3월)에 전세계적 전염병으로 공식화됐어요.
중국과 한국은 어느정도 상황이 진전되가는 분위기지만, 유럽과 북미권은 이제 본격적으로 최악을 향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세계적인 불황이 시작될 가능성이 더욱 커지고 있어요.
이미 관광 업계에는 거대한 칼바람이 불기 시작했고, 다른 업계들 역시 생존을 위한 구조조정이 이루어질거라는 예측이 주를 이루고 있어요. 만약 정말 상황이 이렇게 흘러간다면, 유럽과 북미권 기업들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각 나라의 현지 중소 기업들도 직격탄을 맞게 될거예요.
그래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앞으로 채용시장에 다가올 변화와 우리가 준비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해 이야기해드릴게요.
코로나 바이러스가 전 세계를 강타한 이후 세계 증시는 무서운 속도로 추락을 하고 있어요. 그리고 세계 각국의 기업들은 이런 최악의 상황이 어느 정도까지 치닫을지 가늠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즉시 허리띠 졸라매기에 돌입했죠.
특히 코로나 바이러스의 발발 지역인 중국은 올해 경제 성장에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로 인해 한국 경제도 직격탄을 맞게 될거예요. (중국에 대한 수출입 의존도가 높은 나라니까.)
그렇기 때문에 지금 당장 밖에 못나가고 재택 근무하는게 문제가 아니라, 밥그릇이 없어지는 최악의 상황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필요가 있는 것 같아요.
"어떻게 이 회사에 모든 것을 바친 사람을 잘라낼 수 있습니까?!"
대대적으로 구조조정이 일어날 때면 이렇게 눈물로 호소하는 분들을 직/간접적으로 보셨을 거예요.
물론 직원 입장에서야 어려워졌다고 팽치는 기업이 피도 눈물도 없는 기계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제 시간내에 결정하지 않으면 모두의 생존이 위협 당할수도 있어요.
물론 다같이 함께 살 방법을 궁리하는게 이상적이지만, 대부분의 경우 현금 흐름에 문제가 생기면 인건비를 줄여서 손해를 최소화하는 방법부터 고민하게 되요.
왜냐면 직원한테 들어가는 고정 비용이 너무나도 크기 때문이에요.
기업이 정규 직원을 고용할 때는 연봉 이외에 각종 세금과 법적인 복리후생도 제공해야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연봉의 1.25 - 1.4배가 들어요.
즉, 5천만원 짜리 포지션을 채용할 땐 5천만원이 필요한게 아니라 매년 6-7천만원이 필요하다는 거죠.
그래서 많은 기업들은 급한 불을 끄기 위해 인건비부터 손대기 시작하는거에요.
가장 즉각적인 효과를 볼 수 있으니까.
하지만 모든 위기는 시간의 문제일 뿐, 언젠가는 지나가게 되있어요.
그 난리가 났던 2001년 IT 버블 붕괴도, 2008년 금융 위기도 전 세계적으로 큰 타격을 줬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안정화되고 기업은 다시 채용을 시작했으니까요.
아래 그래프는 세계 경제에 절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미국이, 지난 25년 동안 Professional & Business Services 섹터에서 채용한 사람 수의 변화에요.
물론 경기가 회복되면서 이전과 같이 정직원 수를 맞추는 곳도 많지만, 꽤 많은 기업들은 (적어도 한동안은) 고용이 유연하고 세금과 복리후생 부담이 없는 계약직, 파견직, 프리랜서 분들을 채용하면서 인건비를 절감하려고 할거예요.
가장 쉬운 예로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 20년 동안 폭발적인 성장을 이룬 Tech 업계의 기업들은 TVC (Temp, Vendor, and Contractor) 채용 비중을 대폭 늘려왔어요. (심지어 구글은 정직원의 수보다 TVC 직원의 수가 더 많죠.)
한국에서는 계약직에 대한 거부감이 큰 편이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무엇을 배우고 갖출 수 있느냐가 중요하지 고용 형태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왜냐면 대부분의 글로벌 기업들은 정규직 직원들(Permanent Employees)도 1~3달의 Notice Period 를 주면 언제든지 해고할 수 있다는 조항을 고용 계약서 (Offer Letter)에 써두고 있으니까요.
많은 분들께서는 아마 지금과 같은 시기에 가만히 있는게 상책일거라고 생각하실 거예요.
채용하는 포지션의 수 자체가 급격하게 줄었기 때문에 옮기는게 쉬워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괜히 자리 옮겼다가 새로운 회사에서 어떻게 될지 모르기 때문이죠.
하지만 가만히 있는다고 해서 더 안전한건 아니에요.
만약 지금 계신 곳에서 하고 있는 업무가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즉 기업이 돈/시간을 더 버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지 않다면 압박의 시간이 생각했던 것보다 빨리 다가 올 수도 있어요.
그래서 조직내에서 나의 역할을 객관적으로 생각해보면서 나는 지금 어디에 해당되는지 점검해보시기 바랄게요.
기여도는 조금 더 객관적으로 생각해보셔야해요.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자신이 기여한 부분이 굉장히 크고, 회사는 자기 없으면 굴러갈 수 없다고 생각하지만 조직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 수도 있어요.
지금 큰 그림을 보면서 조직의 주요 수익원을 생각해보세요.
조직이 더 많은 돈을 벌거나 아끼는데 기여하고 계신가요?
조직이 더 많은 시간을 벌거나 아끼는데 기여하고 계신가요?
만약 여기에 자신있게 그렇다고 대답할 수 있고, 객관적인 증거가 있다면 우선은 이 최악의 상황이 지나가는 것을 기다려보는 것이 좋을 거예요.
하지만 지금 현재 회사의 주요 사업 방향과 잘 맞지 않는 팀 / 포지션에서 일하고 있거나, 지난 1년동안 성과가 좋지 않았다면 무언의 압박을 이미 느끼고 계실 거예요.
이 경우에는 최악의 상황이 올때까지 기다리지 않는게 좋아요.
이직을 많이 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회사에 소속되어 있을 때 이직을 준비하는 것과 퇴사/해고된 후에 이직을 준비하는 것에는 심적으로 큰 차이가 있어요.
마인드 컨트롤을 하려고 해도 절박한 마음이 너무 커서 인터뷰에서 최고의 역량을 발휘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통과했다고 하더라도 연봉협상 같은건 시도조차 못할 가능성이 너무나도 크죠.
물론 지금 당장 옮기고 싶다고 해서 옮길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우선은 두 가지 옵션을 생각해보시기 바랄게요.
보통 이직하는데는 생각보다 많은 시간이 걸려요. 아무리 경력이 탄탄한 분이라고 할지라도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는 5-6개월 이상 걸리는건 놀랄 만한 일도 아닐 거예요.
그렇기 때문에 아래 세가지를 지금 당장 시작해보시기 바랄게요.
타겟 회사 / 포지션 추리기
타겟 회사 / 포지션에 있는 사람들에게 조언을 구하고 정보얻기
이력서 준비하기
이 상황이 지나가는 동안 이직에 필요한 준비 작업을 끝내 놓으실 수 있을 거예요.
외국계 기업 잡헌팅 전반에 대한 전략은 커리어 블루프린트 강의에서 다루고 있으니까 필요하신 분들은 참고해주세요.
많은 회사에서는 정규직 구조조정 뒤에도 계속 비즈니스를 운영해야하기 때문에 단기 프로젝트로 프리랜싱 마켓으로 내보내는 경우가 많아요.
지금 만약 풀타임으로 일하고 계시지 않는 분들이라면 원격근무 가능한 포지션을 알아보실 수 있겠지만, 현재 풀타임으로 일하고 계신 분들이라면 파트타임 프리랜싱을 시작하는 것을 준비해볼 수도 있어요.
다음주에는 프리랜싱 가능한 일을 찾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드릴 예정이에요.
*** 온라인 비즈니스 & 프리랜싱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이 페이지에서 비즈니스 콘텐츠를 신청해주세요. 포스트를 발행할 때 이메일로 보내드릴게요.
[저작권자(c) Upfly (http://www.upfly.me) 무단복제, 수정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