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생각의 변화 Oct 23. 2023

국문학과(1)

의사는 국문학 수업이 필요없나요?

국문학과


안드레스 세고비아와 나르시소 예페스. 클래식 기타를 전혀 모르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한 번쯤은 들어봤을 법한 연주자들이다. 전자는 유명 기타 브랜드의 이름이기 때문이고 후자는 영화 <금지된 장난>에 삽입된 ‘로망스’를 연주한 기타리스트이기 때문이다. 

세고비아는 살롱용 악기라는 비아냥을 듣던 클래식 기타를 콘서트홀로 끌어낸 전설적인 비르투오조였다. 세고비아 이후의 기타리스트를 그의 제자와 그렇지 않은 그룹으로 나눌 수 있을 정도라고 하니 그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인지 대략 알 수 있으리라.  

세고비아는 삼십 년 정도 차이가 나는 예페스를 인정하지 않았고 둘은 사사건건 충돌했다. 항간에는 세고비아가 예페스를 인정하지 않는 이유 중에 하나가 예페스가 여섯 줄 기타를 변형시켜 열 줄 기타를 사용하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세고비아는 기타를 변형시켜 연주하는 걸 싫어했는데, 그래서 철(steel)로 된 기타줄을 사용했던 바리오스 망고레와 파코 데 루치아도 인정하지 않았다. 

하지만 ‘고작 그 이유로?’라는 생각이, 나도 든다. 내 생각에 더 근본적인 이유는 둘이 완전히 다른 음악관을 가진, 전혀 다른 스타일의 연주자였기 때문일 것이다. 예페스는 세고비아와는 전혀 다른 자신만의 스타일을 고집했다. 그의 연주는 호불호가 나뉘는 편이었는데, 어떤 곡은 투박하고 경직됐지만 반면에 어떤 곡은 더 웅장하고 심지어 더 서정적이기까지 했다. 다른 연주자들이 노래하듯 연주하는 소르의 연습곡 6번을 툭툭 끊어지듯, 유년의 기억을 더듬더듬 떠올리듯 연주하는 예페스의 연주를 한 번 들어보라. 연주에 정답은 없다, 자신만의 해석이 있을 뿐.    

1961년 예페스가 위그모어 홀 연주회가 끝난 후에 청중 중에 한 명이 예페스에게 빌라로보스의 프렐류드 1번을 왜 그렇게 느린 속도로 연주하냐고 물었다, 세고비아는 그렇게 연주하지 않는다는 말을 덧붙이면서. 예페스가 대답했다, “왜 로스트로포비치가 카잘스를 따라 해야 하나요?”      


펠로우 면담을 하는 날이었다. 교수실 방문을 열고 들어가자 학과장인 민교수는 컴퓨터 화면을 뚫어지게 보고 있었다.  

“대학원 어플라이 했나?” 민교수가 화면을 보면서 말했다. 

“아, 네.”

내가 문 앞에 어정쩡하게 선 채로 반 박자 늦게 대답했다. 

“논문 주제 빨리 정해. 생각해 본 거 있어?” 아무 기대도 하지 않는 듯한 말투였다. 

내가 잠시 대답을 하지 않고 있자 민교수가 내 쪽으로 고개를 돌렸다. 

“그게요. 저······ 국문학과에 어플라이 했습니다.”

민교수가 갑자기 정지화면처럼 멈췄다. 십오 초 정도의 침묵, 그러더니 갑자기 호탕하게 웃었다.  

“잘했어. 남들이 하는 대로만 따라 하면 인생 재미없지.”

의무 조항은 아니지만 통상적으로 펠로우를 하는 동안 석사 과정을 밟았다. 하지만 의사들은 모두 의과대학에서 석사를 따야 하나, 라는 질문이 뜬금없이 머릿속에 떠올랐다. 너무 가고 싶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간판만을 얻기 위해서 엄청난 등록금을 내고 형식적인 (내 경우에) 수업을 듣는 일은 별로 하고 싶지 않았다. 하지만 그게 아니라면 어디로 가야 할까.  

그때까지 의사가 되는 일 외에 내가 가장 열심히 했던 일은 책을 읽고 글을 쓰는 것이었다. 만약 무언가를 대학원 과정을 통해서 더 배워야 한다면 그것에 관한 것이어야 할 것 같았다. 그렇다면 답은 하나였다,  

 “지도교수는 정했나?”

내가 대답을 못하고 우물쭈물했다. 

“커리큘럼도 상의하고 논문도 쓰려면 지도교수가 있어야 돼. 혼자서 못해. 그건 내가 한 번 알아보지.”


(계속)

작가의 이전글 논문(2)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