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부 두 권의 책
강의 노트
작가들은 사후 70년까지 저작권이 유지된다. 음악도 마찬가지다. 바흐의 샤콘느를 세고비아가 편곡해서 녹음하면 사망한지 270년이 넘은 바흐가 아닌 세고비아의 연주에 대한 저작권만 발생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작자 미상인 <금지된 장난>의 삽입곡 로망스는 어떨까.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작자 미상이기 때문에 음반이 아닌 원곡에 대한 저작료는 발생하지 않을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로망스에 대한 저작권은 예페스에게 있다.
예페스(1927-97)와 그의 자손들은 예페스가 일곱 살 생일날 어머니를 위해서 이 곡을 작곡했다고 공식적으로 주장한 적이 있다. 생일날 어머니한테 연주했고 이후에 다른 이들이 발렌시아 지역에 (알 수 없는 방식으로) 퍼뜨렸고 점점 여러 다양한 연주자들에 의해서 연주되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진짜 예페스가 작곡한 걸까? 그렇지 않다. 왜냐하면 이미 그가 태어나기도 전에(1897년과 1901년 사이에) 녹음됐다는 기록이 있고, 1913년에 악보가 출판됐기 때문이다. 표지에 'Sort-Estudio'라고 적혀 있었던 걸로 봐서는 소르(Sor)의 작품일 가능성이 가장 많다는 것이 중론이다. 단조-장조-단조로 연주되는 곡의 진행이 19세기 유행하던 살롱 뮤직의 방식이라는 것도 '소르설'에 힘을 실어준다. 그렇다면 일곱 살의 예페스는 왜 자신이 작곡했다고 생각했을까.
병원을 옮기고 문학과 의학 수업을 맡게 됐다. 일주일에 한 번씩 8주간 여덟 번의 수업으로 끝나는 1학점짜리 교양과목에 불과했지만 나는 의욕에 불타고 있었다. 의학과 관련된 문학 작품을 읽고 서평을 쓰고 토론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학기가 시작하기 전에 읽을 책을 정하고 자료를 복사하고 강의노트를 미리 작성했다. 강의 노트를 미리 쓸 수는 없었는데 그건 전날 토론했던 내용과 학생들이 제출한 서평을 참고해서 작성해야 했기 때문이다. 시간이 이래저래 많이 걸리는 일이었다. 외상센터에서 새로운 환자를 보고 수술을 배우는 것도 벅찬 일이었는데, 강의 준비까지 하려니 시간이 빠듯했다.
지도교수로부터 부탁을 받았다. 의과대학 학생이 선택 실습을 국문학과로 신청했다는 것이다. 지도교수는 웬만한 부탁은 들어주는 편이었지만 의과대학생 한 명을 위해서 삼 개월 프로그램을 짤 정도의 시간적인 여유는 없었다. 나를 만나서 얘길 해보고 내 수업을 듣는 쪽으로 설명을 했다고 했다.
병원 내 커피전문점에서 학생을 만났다.
“국문학 수업은 왜 들으려고?” 내가 물었다.
이건 나 자신에게 물어봐야 하는 질문 아닌가.
“너무 하고 싶은 건 한번 해봐야 할 것 같아서요. 국문학과에서 뭘 배우는 지 진짜 궁금했거든요.”
내가 고개를 형식적으로 끄덕였다.
“선생님은 뭐 때문에?”
내가 불의의 일격을 당한 사람처럼 움찔했다.
“특별한 이유는 없고, 쥐 실험하고 숫자랑 표를 정리해서 논문 쓰는 건 나랑 잘 안 맞는 것 같아서. 그냥 그 당시에는 문학에 끌리더라구. 이유는 잘 몰라. 차츰 생각나겠지.”
학생은 알쏭달쏭한 표정으로 얼음이 든 플라스틱 컵을 만지작거렸다.
“최근에 프리다이버에 관한 책을 읽었는데, 상어는 빛이 없는 심해에서도 동서남북을 알 수 있는 능력이 있어요. ‘로렌치니의 앰퓰라’라는 자기수용능력을 지닌 돌기 때문이래요.”
“사람한테도 그런 돌기가 있으면 티맵 같은 거 없어도 될텐데.”
내가 웃으며 말했다.
“사람도 비슷한 능력이 있어요. 호주의 어떤 원주민 부족은 절대 방향감을 가지고 있어서 컵을 서쪽으로 옮겨 주세요, 라고 한대요.”
학생이 웃으며 자신의 컵을 오른쪽으로 살짝 옮겼다.
“신기하네.”
“마음속에서 어떤 거에 끌린다면, 그게 바로 인생의 방향 아닐까요? 저도 이유 같은 거 따지지 않으려구요, 선생님처럼요.” 학생이 말했다.
내가?, 라는 표정을 나도 모르게 지었다.
“특별한 이유가 없으셨다면서요.”
병원을 옮기면서 모든 상황이 좋아졌다. 석사 학위를 받은 후에 여기저기서 문학과 의학을 주제로 특강 요청이 들어왔고, 비록 여덟 시간짜리 교양과목이었지만 의과대학에서 정기적으로 강의도 맡게 됐다. 강의료가 두둑한 것도 아니고 대단히 영광스러운 일도 아니었지만 평생 문청으로 책 읽고 글이나 끄적거리면서 지내다가 끝나는 것보다는 훨씬 의미 있는 진전처럼 보였다.
의사로서도 좋아졌다. 아무리 응급의학과가 응급처치에 대한 전문가라고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느꼈던 것이 사실이다.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된 지 십 년이 넘는 시간 동안 종종 자괴감이 들었던 것은 수련기간 동안 제대로 배우지 못했기 때문이 아니라 이후에 무얼 배워야 할지 알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평생 아무것도 더 나아질 것 같지 않을 것 같아 불안했다.
하지만 화상센터에서 일하기 시작하면서 그동안 고민했던 문제들이 해결됐다. 전문성을 갖추면서 응급의학과 수련과 연속성을 유지하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었다. 응급실과 중환자실에 입원한 중증 환자도 보고, 외래의 경증 환자도 보면서 수술도 할 수 있는 전천후 의사를 꿈꿨는데 점점 그 꿈에 점점 가까워지고 있는 것 같았다.
어떤 일들은 실제로 일어났기도, 반대로 그렇지 않기도 했다. 무엇을 믿는냐에 따라서 달라질 뿐이다. 한때는 진짜 모든 것이 좋아졌다고, 그래서 행복해졌다고 생각한 적이 있었다. 석사 학위를 받았고, 특강을 해달라는 연락을 받았고, 중증 화상환자들이 중환자실에서 일반병실을 거쳐 퇴원하면서 덕분에 살아서 나가게 됐다는 감사 인사를 받았다. 이 모든 일들은 실제로 일어났다. 하지만 당시에 내가 행복했던가. 지금 생각해 보면 그 시기는 내 인생에서 가장 위태로웠던 시기였다. 이상하게도 두 개의 세계에서 바라던 그 모든 일들이 실제로 일어났음에도, 대부분 실현됐음에도 여전히 불안했고 여전히 행복하지 않았다. 하지만 당시에는 행복하다고 믿었다.
1982년 스페인 국영 라디오 방송에서 나르시소 예페스와 인터뷰를 했다. 진행자는 예페스에게 어떻게 해서 일곱 살 때 작자 미상의 곡 로망스를 자신이 작곡했다고 믿게 됐는지 물었다. 예페스는 1934년 11월 14일 자신의 일곱 살 생일날 어머니를 위해서 새로운 곡을 작곡해서 연주하겠다는 생각을 했고 그 순간 영감처럼 멜로디가 떠올라 곡을 쓰기도 전에 연주하고 그걸 악보에 옮겨 적었다고 했다. 안타깝게도 그 당시에 적었던 친필 악보는 사라졌다.
연주를 들은 어머니는 기뻐했고, 스승에게 들려줬을 때도 너무 훌륭하다는 칭찬을 들었다. 자신감이 붙은 예페스는 친구들과 다른 가족들 앞에서도 연주했는데 모두 칭찬 일색이었다. 칠 년 정도가 지나서 발렌시아에 왔더니 수많은 기타 연주자들이 자신이 작곡한 곡을 연주하고 있는 게 아닌가. 예페스는 1952년 르네 클레망으로부터 <금지된 장난>의 음악을 부탁받았을 때 서른 번 넘게 영화를 보고 나서 어린 소년과 소녀의 사랑에 걸맞은 음악을 생각하다가 자신이 어머니를 사랑해서 작곡했던(그렇게 믿었던) 곡을 떠올렸다고 한다. 놀라운 일이지만 친구가 로망스가 작자 미상의 곡이라는 얘길 해주긴 전까지 자신이 작곡했다고 믿었다.
어떤 믿음은 너무나 강력해서 백일몽마저 실재(實在)로 둔갑시킨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