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 전문가
질문
안드레스 세고비아는 살롱용 악기라는 비아냥을 듣던 클래식 기타를 현대적인 주법 개발과 새로운 레퍼토리 확장을 통해 콘서트 악기로 변모시켰다. 클래식 기타를 세고비아 이전과 이후로 나누는 것은 결코 과장이 아니다. 영화 <금지된 장난>의 삽입곡 <로망스>를 연주한 나르시소 예페스는 그보다 삼십 년 후에 태어났다.
세고비아는 수많은 제자를 길러냈지만 예페스와는 사이가 좋지 않았다. 둘은 사사건건 충돌했다. 항간에는 예페스가 여섯 줄 기타를 변형시켜 열 줄 기타를 사용했기 때문이라는 얘기가 있었다. 세고비아는 기타를 변형시키는 걸 싫어했는데, 그래서 철(steel)로 된 기타줄을 사용했던 바리오스 망고레와 파코 데 루치아도 인정하지 않았다.
하지만 고작 그 이유로? 내 생각에 좀 더 근본적인 이유는 둘이 완전히 다른 음악관을 가진, 전혀 다른 스타일의 연주자였기 때문일 것이다. 예페스는 세고비아와는 전혀 다른 자신만의 스타일을 고집했다. 그의 연주는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었는데, 어떤 곡은 투박하고 건조했지만 반면에 어떤 곡은 더 웅장하고 심지어 더 서정적이기까지 했다. 다른 연주자들이 유려하게 노래하듯 연주하는 소르의 연습곡 6번을 유년의 기억을 더듬더듬 떠올리듯 툭툭 끊어지듯 연주하는 예페스의 연주를 들어보라. 연주에 정답은 없다. 각자의 답이 있을 뿐.
1961년 예페스가 위그모어 홀 연주회가 끝난 후에 기자가 빌라로보스의 프렐류드 1번을 왜 그렇게 느린 속도로 연주하냐고 물었다, 세고비아는 그렇게 연주하지 않는다는 말을 덧붙이면서. 예페스가 대답했다, “왜 로스트로포비치가 카잘스를 따라 해야 하나요?”
누구나 로스트로포비치가 되고 싶은 순간이 있다, 심지어 응급의학과 펠로우조차도.
신입 교직원 환영회 때 올해 교실 최대의 과제는 전공의 졸업 논문 아홉 편을 해결하는 것이라고 했다. 한두 편이라면 모를까 아홉 편은 쉽지 않았다. 늦게나마 발을 빼도 됐지만 이왕 이렇게 된 거 한번 읽어나 보자는 생각으로 파일을 열었다. 깜짝 놀랐다. 논문이라기보다는 한국어와 영어가 섞여 있는 아포리즘에 가까웠다. 제대로 된 문장이 드물었고, 논리 전개가 없었고, 참고문헌 여기저기서 갖다 붙인 영어 문장들로부터 유추해야 저자의 의도를 어렴풋하게나마 알 수 있었다. 더욱더 놀라운 것은 학회지에 실린 논문들도 국어 수준은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것.
삼 년의 군의관 생활을 마치고 펠로우로 들어왔을 때 처음 몇 주 동안 쓸모없는 존재가 된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전공의들은 지들끼리 알아서 잘하는 것 같았고 전공의 시절의 나보다 아는 것도 할 수 있는 것도 훨씬 더 많은 것 같았다. 내가 그들을 가르친다는 게 왠지 어불성설처럼 느껴졌다. 한동안 나는 꿔다 놓은 보릿자루처럼 의국 컴퓨터 앞에 우두커니 앉아 있다가 퇴근하기 일쑤였다. 아홉 명의 논문을 해결해 주겠다고 선뜻 나선 마음속에는 쓸모 있는 사람이 되고 싶은 욕망이 있었던 것 같다. 논문을 쓰면서 Conflict of interest(이해충돌), IRB(임상연구윤리센터), RCT(무작위임상실험), SCI(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 같은 아리송한 영어단어를, 또는 게재, 수정 후 게재, 게재 불가(줄여서 게불) 같은 낯선 한국어 단어를 환자보다 훨씬 더 자주 만나게 됐다.
늦가을의 어느 날이었고 그해 전문의 시험을 보는 전공의 세 명 중 마지막 한 명의 논문을 막 완성한 날이었다. 동료 펠로우인 조인승과 나는 병원 앞 치킨집에서 맥주를 마셨다.
“진짜 시간 후딱 가네. 내년엔 누구랑 논문 쓰나?” 내가 말했다.
기름이 묻은 손가락을 종이 냅킨으로 슥슥 닦았다. 인승은 내년에 조교수 발령을 받고 다른 병원으로 옮길 예정이었다.
“형, 약해빠진 소리 하지도 마.” 인승이 과장이 섞인 동작으로 내 어깨에 손을 얹었다.
“내년에 글쓰기를 전공의 대상으로 강의하는 건 어때?”
인승이 기발한 생각이라는 듯 탁자를 손바닥으로 가볍게 두드렸다.
이듬해 3월 학과장 면담이 있는 날이었다. 교수실 방문을 열고 들어가자 민교수는 컴퓨터 화면을 뚫어지게 보고 있었다.
“대학원 어플라이 했나?” 민교수가 화면을 보면서 말했다.
“아, 네.”
내가 문 앞에 어정쩡하게 선 채로 반 박자 늦게 대답했다.
“논문 주제 빨리 정해. 생각해 본 거 있나?” 아무 기대도 하지 않는 듯한 말투였다.
잠시 대답을 하지 않고 있자 민교수가 고개를 돌렸다.
“그게요. 저······ 국문학과에 지원했습니다.”
민교수가 갑자기 정지화면처럼 멈췄다. 십오 초 정도의 침묵. 그러더니 호탕하게 웃었다.
“남들이 하는 대로만 따라 하면 인생 재미없지.”
그때까지 의사가 되는 일 외에 내가 가장 열심히 했던 일은 책을 읽고 글을 쓰는 것이었다. 만약 대학원을 다니면서 무언가를 더 배워야 한다면 그것에 관한 것이어야 할 것만 같았다.
석사 두 번째 학기가 끝나가던 겨울이었다. 석사과정 입학 동기들끼리 저녁을 먹는 자리였는데, 우연히 박사과정 중인 조교가 합석하게 됐다. 일부는 집으로 가고 세 명이 남아서 2차를 갔다. 전직 시인이면서 현직 학원 원장님, 박사 8학기 조교, 그리고 석사 2학기인 나.
“왜 국문학과에 들어왔다고 했죠?” 조교가 물었다.
“그냥, 궁금해서요.”
“좋겠수다. 궁금하면 아무 데나 갈 수 있어서.” 조교가 혼잣말처럼 중얼거렸다.
“어때? 잘 온 것 같아?” 시인이 물었다.
작품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번뜩이는 분석, 그리고 열정적이고 지적인 토론, 이 모든 걸 기대했던 것은 아니었지만 현실 속의 국문학과는 내가 원래 생각했던 것과는 많이 달랐다. 수십 명이 같이 들었던 예전의 국어 수업과 달리 소그룹으로 듣는 국어 수업 같다고나 할까.
“글 좀 써보겠다고 왔는데 구닥다리만 냅다 파고 있으니까 한심하겠죠.” 조교가 말했다.
의학이 현재에 귀 기울여 미래에 적용하는 거라면, 국문학은 과거를 들여다보고 현재의 의미를 부여하는 거였다. 덧붙여 국문학과는 국문학을 연구하는 곳이지 글쓰기를 가르치는 곳은 아니었다. 조교의 푸념처럼 글쓰기를 갈고 닦아서 경쟁력을 만들어 가야 하는 상황인데 이광수 염상섭이나 파고 있으니 답답했다.
“예전에 미얀마의 절에서 일 년 정도 산 적이 있어. 딴에는 어떤 깨달음 같은 걸 얻기 위해서였지. 근데 막상 거기 갔더니 아무것도 가르쳐주는 게 없는 거야. 거기 주지 스님은 만나면 매일 질문만 하더라구. 문을 오른손으로 열었냐 왼손으로 열었냐, 방에 오른발을 먼저 디뎠냐 왼발을 먼저 디뎠냐. 뭘 가르쳐 주는 것도 없이 주구장창 질문만 해대는 거야. 일 년 동안 내내 그런 시답잖은 것만 묻더라.”
시인이 술잔을 비우고 젓가락으로 두부김치를 집어 먹었다.
“미얀마 말도 할 줄 알아요?” 얼굴이 불콰해진 조교가 약간 혀가 꼬부라진 목소리로 물었다.
“영어로 하는 거지. 그리고 바디랭귀지, 짜샤.” 시인이 과장하며 손을 크게 허공에 휘둘렀다.
“스님께서 영어가 짧으신 거 아닌가. 아니면? 혹시 형이?”
조교의 말에 셋이 큰 소리로 웃었다. 우리 셋은 이미 만취 상태였다. 정작 시인이 미얀마에서 무슨 깨달음을 얻었는지 그리고 그게 나랑 무슨 관련이 있는지는 물어보지 못했다. 사실 물어보았다 한들 딱히 신박한 답을 내놨을 것 같지는 않지만.
지금 생각해 보면 아마도 시인은 깨달음을 얻게 되는 건 숨겨진 정답을 찾아내는 과정이 아니라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는 과정이라는 걸 얘기하고 싶었던 것 같다. 그 당시에는 몰랐지만 전문의가 되고 난 후에 내 맘속에는 항상 같은 질문이 떠올랐다가 사라지곤 했다. 그 질문이 정확하게 어떤 것이었는지는 몇 년 후에야 알게 됐다. 그리고 같은 질문을 던지고 있는 이들이 나뿐만이 아니라는 사실도. 어떻게 지금보다 나아질 것인가?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