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늘봄유정 Jul 01. 2020

자신에게 이렇게 관대해도 될까?

두 번째 카카오 100일 프로젝트가 끝났다.

첫 프로젝트 100일은 오지 않을 것만 같았고 하루하루 D-며칠을 세기 바빴는데, 이번에는 그저  글 쓰는데 집중하다 보니 마지막 날이 턱 하고 나타났다.

학창 시절 쓰던 일기, 싸이월드에 써 내려갔던 가족 근황 정도가 평생 끄적거리던 글의 전부였는데, 지난 몇 달간 글이 두 번의 프로젝트 날짜수를 웃돌만큼 쌓였다. 졸작이냐 걸작이냐를 논할만한 수준도 아니거니와 누구에게 내보이기 한없이 부끄러운 글이지만 역설적이게도 누군가가 읽어줘서 행복하고 글을 쓴다는 것이 마냥 좋았더랬다. 아마도 내 안에 흐르는 관종피가 들끓기 시작했나 보다.


글을 쓴다는 것은 참 신기하다.

'나'라는 사람의 삶을 반추하게 하고 나와 내 삶의 소중함을 일깨워준다.

나를 둘러싼 이들의 삶과 관계, 그들의 기쁨, 슬픔, 고민, 분노, 좌절까지도 관심 갖고 지켜볼 수 있게 했으며 결과적으로 모두의 행복을 염원하도록 이끈다.

나아가 국가와 세상에 대한 고민까지 하게 됐다는 거창하지만 솔직한 고백도 곁들여 본다.


또다시 마주한 100일은 첫 번째 100일보다 덜 허전하다.

프로젝트가 아니었다면 시작도 못했을 글쓰기였기에 첫 번째 프로젝트가 끝났을 때는 어찌해야 할 바를 몰랐다. 어떤 글을 써야 하는지, 왜 써야 하는지를 누군가 알려주었으면 했다. 그런데 두 번째 프로젝트 100일 동안 브런치의 몇몇 공모전이 던져준 테마대로 글을 쓰다 보니 이제는 쓰고 싶은 글들이 스스로 자라나기 시작한다.


이렇게 프로젝트 종료에  한껏 의미를 부여하고 있지만 사실, 두 번째 프로젝트는 실패다.

'아쉽'으로 기록된 날이 총 4일이니 완벽한 성공을 이루지 못한 것이다. 게다가 함께 신청했던 매일 만보 걷기 프로젝트는 65%의 인증으로 마무리했다. 그런데 전혀 '아쉽'다거나 '실패'했다는 기분이 안 드는 것은 왜일까.

보증금이 십만 원에서 만원으로 줄어든 탓일까? 하루에 천 원씩 기부할 때와 백 원씩 기부할 때의 차이? 내가 그렇게 세속적인 사람이었던가? 인증실패한 하루당 천 원 기부할 때는 악착같이 백 프로 인증을 해대더니 100원으로 내려갔다고 이러기인가?

워낙 망각이 심한 사람이라 그런 걸까? 인생을 통틀어 돌이켜보아도 '실패'라는 테마에 딱 떠오르는 기억이 없다. 대학 졸업 후 30개의 입사지원서를 쓴 기억도 있고 결혼 후 3번의 10kg 감량과 요요가 선명히 기억나지만 실패와 연결되지 않는다.


관대함이다.

스스로에게 엄격하지 못하고 너무 관대한 것.

"괜찮아. 다음에 잘하면 되지."

"아무렴, 뭐 어때?"

긍정의 힘이라고 포장하지만 결국 '회피'의 다른 말이다. 

실패한 현실에 자책하고 반성하기를 피한다.

실패를 통해 무언가를 배워서 더 발전된 모습으로 다시 시도를 하고 결국 성공을 하고 말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피한다.

실패에 연연하지 않는 모습으로 실패의 결과를 덮어 그들과 마주하기를 피한다.


하지만, 꼭 실패를 딛고 일어나 성공해야만 할까?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성공이란 말인가?

성공, 실패와 상관없이 '그냥' 하면 안 되는 걸까? 목표 달성을 위해 시작은 했지만 그러지 못하더라도 자책하지 말고 스스로에게 괜찮다고 말해주면 안 되는 걸까? 사회적 기준, 외부의 기준에 의한 성공과 실패에 연연하지 말고 자의적 판단과 기준에 의한 성공과 실패가 중요한 게 아니겠는가.


인증률 100%를 달성하지는 못했지만 꽤 많은 글을 쓰고 영감을 얻었다. 매일 만보를 채우지는 못했지만 평생 이렇게 많이 걸었던 적도 없다.

10만 원 보증금을 고스란히 돌려받았을 때는 1원도 기부를 하지 않았지만, 이번에는 되돌려 받은 16,100원을 모두 기부했다.

난, 이번 프로젝트도 성공했다.




매거진의 이전글 당신의 눈부신 삶을 응원합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