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윰 에디터 Feb 15. 2020

전 음악을 사랑하기에, 오늘도 영화를 봅니다.

2018년 1월


나는 적적한 마음을 달래고자 잘 보지도 않던 영화를 보기 위해 왓챠 플레이 정기 구독권을 드디어 끊고 말았다. 주변의 친한 친구들이 소위 일컬어지는 유명 영화들을 말할 때, 영화를 많이 보지 않았던 나는 그냥 옆에서 고개만 끄덕이는 게 다였다. 음악을 사랑하는 사람으로서, 영화보단 음악이 내게 훨씬 소중하다고, 그런 쓸데 없는 자존심을 부린 시절이 있었다. 왓챠 플레이 구독권을 구매한 나는 검색창에 sns에서 자주 보여 평소 호기심을 갖고 있던 <중경삼림>이란 영화를 곧바로 입력했다. 그러나 왓챠엔 중경삼림이 아직 없었다. 결국 네이버 series에서 대여를 하여 영화를 보았다. 그렇게 온통 낮과 밤이 영화로 뒤덮힌 내 새로운 낭만이 시작되었다.


왕가위의 <중경삼림>은 내게 단지 여행 같은 영화였다. 단발적인 세기말의 홍콩 여행. 그리고 그 속에서 살아 움직이는 주인공들의 연애와 이별, 설명할 수 없는 감정적 혼란으로 채워진 '엉망인' 남녀관계는 내용적인 면에서 나를 약간은 실망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California Dreamin'이 흘러나오는 순간, 나는 이 영화에 내 모든 오감을 뺏겨버렸다. 적색 이미지와 뒤엉킨 카메라 앵글은 캘리포니아를 그리워하는 화자의 공허한 마음과 조금은 일치했고, 주인공 페이가 마치 한달이 넘게 끝나지 않는 장마 속에서 축축하게 살아있는 것처럼 느껴졌다. California Dreamin’은 <중경삼림>의 예술적 땔감이 되었고, 영화는 이를 통해 표현하기 어려운 개인간의 정신적 혼란에 대하여 그 어떤 영화보다 아름답게 표현해낼 수 있었다.

California Dreamin’을 부른 MAMA'S & PAPA'S (좌), 중경삼림의 한 장면 (우)


2018년 10월


California Dreamin’ 이후로 영화에 푹 빠져 지냈다. 평론가들과 친구들, 그리고 영화 미술을 하는 가족중의 한 여인을 보며, 예전엔 개인이 영화에 빠지게 되는 이유는 난해한 미장센과 알 수 없는 심미적 내용을 이해해야만 그런 줄 알았다. 하지만 아니였다. 나에게 '영화를 떼놓고 살아갈 수 없는' 이유는 영화 안에선 음악이 '살아 숨쉬기 때문'이라는 그 이유 하나만으로도 충분했다. 그저 평범하게만 들렸을 3분짜리 음악이 영화 속에서 흘러 나올 땐, '가보지 못한 어느 나라의 어느 가게에서 일하던 어느 한 인물이 듣는 특별한 어느 음악'으로 재탄생하기 때문이다. 


2018년 8월에 캐나다로 무작정 떠났던 나는 더 많은 영화를 봤다. 여타의 영화 주인공들처럼 나에게도 외국에 있던 5개월의 시간동안 또 하나의 내 인생작을 만난 순간이 존재했다. 바로 쿠엔틴 타란티노의 <킬 빌>이다. <킬 빌>은 B급 영화인 척 하는 A급 영화로 유명한 작품이다. 중간에 애니메이션 씬을 삽입하고, 뒤끝없는 잔인한 액션과 복수라는 매력적 소재를 활용한 활극이라는 점은 <킬 빌>이 왜 A급이란 평가를 받는지 설명해주는 주요 특징들이다. 이 때 필자가 주목한 부분은 3가지 요소들 뒤엔 언제나 영화사에서 전무후무한 정체성을 가진 'ost'라는 게 등장했다는 것이다.

킬 빌의 ost 앨범 <Kill Bill Vol. 1 Original Soundtrack>, 국내 음악 사이트들과 유튜브에서 감상할 수 있다.

이 불후의 명반은 많은 이들이 들으면 바로 알만한 BGM들로 구성되어 있다. <Battle Without Honor Or Humanity>는 '무릎팍도사'의 메인 BGM으로 사용되었고, <Woo Hoo>는 국내 광고에서 활용되었다. 타란티노는 복수극이란 어찌보면 뻔할 수 있는 소재를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해주는 BGM들로 '타란티노식 복수'라는 하나의 범주를 창조해낼 수 있었다. 전환된 흑백 필름을 바탕으로 복수의 원흉이  <Bang Bang (My Baby Shot Me Down)>과 함께 흘러나오는 도입부는 스토리적으로나, 미적으로나 완벽한 연출이었기에 나에게 충격으로 다가왔다. 또한 강한 빌런으로 상징되는 오렌 이시 일행이 당당하게 걸어나오며 <Battle Without Honor Or Humanity>이 재생되는 중반부에선 한번도 느껴보지 못한 '등장씬의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 있었다. 이 때 난 영화와 음악은 절대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고, 문화 예술 속에서 영화는 음악을 만들고 음악은 영화를 만드는 공생 관계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킬 빌>에서 오렌 이시 일행이 첫 등장하는 장면

<킬 빌>을 본 후에 몇달 간 타란티노의 영화들을 모조리 다 보았고, 시간이 흘러 캐나다에서 한국에 돌아온 그 순간까지 타란티노의 작품 속에서 빠져나오기 힘들었다. 타란티노의 영화는 언제나 음악과 내용이 공존했다. <펄프 픽션>에서 미아와 빈센트가 척 베리의 <You Never Can Tell>에 맞춰 춤을 추는 장면은 하나의 잡지 같이 흥미로운 여러개의 이야기를 품고 있는 이 영화를 대유하는 최상의 상징이었다. 춤을 추는 연출은 영화에 흥겨움을 더하여, 보기만 해도 흘러넘치는 독보적인 매력을 형성해 기꺼이 잡지처럼 '소비되는' 영화를 만들어주었다.

<펄프 픽션>에서 미아와 빈센트가 첫만남에서 춤을 추는 장면


2019년 2월


영화를 많이 보면, 내 인생에 없어서는 안될 작품들이 생긴다. 가장 좋아하는 음악이 살아가는 데 힘을 준다면, 가장 좋아하는 영화는 나를 또다시 살게 해준다. 나에겐 3개의 '인생작'이 있다. 첫번째는 내 브런치 글에도 실린 <인터스텔라>, 두번째는 위에서 언급한 <킬 빌>, 그리고 세번째 영화는 이제 얘기해보려고 한다.


시중엔 참많은 '사랑 시'가 있다. 처음 본 순간 반한 그 때를 그린 영화, 썸을 타는 가사, 짝사랑에 힘겨워하는 노래, 실연에 의한 슬픔을 적어낸 문학 등 인간은 사랑하기 위해 살고, 사랑때문에 무언가를 포기하기도 하는 그런 존재다. 여기 오직 사랑으로만 채워진 순도 100%의 멜로 영화가 있다. <우리도 사랑일까>는 영원할 줄 알았던 사랑을 등지고 또다시 다른 사랑에 영원함을 기대하는, 인간의 근원적인 감정적 변화와 그로부터 파생되는 나약함을 표현했다. 우린 끝나지 않을 것만 같은 사랑에 집착하고 구애하다, 시간이 흐르면 낡아진 사랑을 외면한 채 새롭고 자극적인 사랑에 눈을 돌려버린다. 영화에 계속해서 등장하는 <Video Killed the Radio Star>는 그러한 사랑의 순환을 노래하고 있다. 비디오는 낡아빠진 구식의 라디오를 소멸시킨다. 라디오는 언젠가 인류에게 보물같은 물건이었겠지만, 뉴 페이스인 비디오가 탄생함과 동시에 무시당한다. 영화는 어찌할 수 없는 어리석은 감정에 집중하고 있다. 아름다운 봄과 여름이 가면 추운 가을과 겨울이 돌아오듯이, 신나게 작동되던 놀이기구가 단 5분만에 확 멈춰버리듯이, 모든 행복은 끝나기 마련이며 또다른 자극에 의해 잊혀지기 마련이다.

영화 <우리도 사랑일까>

또다시 '라디오'가 된 사랑을 뒤로 한 채, 주인공 마고가  <Video Killed the Radio Star>을 배경으로 놀이기구를 타는 엔딩은 영화의 주제를 정확히 함축하고 있다. 나는 그렇게 음악이 영화와 하나가 되는 지점을 체험했다. 음악과 영화는 공생관계가 아니라, '하나'의 감성을 만들어내는 유기체였던 것이다.


해서, 난 음악을 너무나 사랑해서 오늘도 내일도 영화를 본다. 영화 속에서 음악을 듣고 음악 속에서 영화를 다시 곱씹어본다. 그 둘을 구분한다는 건 여전히 불필요한 사족일 수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난 여전히 음악과 영화를 구분해서 생각하고 싶다. 그래야 같은 작품을 봐도 두번이나 다르게 느낄 수 있을테고, 이러한 반복은 언제나 기꺼이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있다. 바다를 그려낸 영화 속에서 바다를 그리워하는 음악을 듣는, 그런 삶을 계속해서 살아가고 싶다.

작가의 이전글 권위에서 벗어날 때, 소년은 비로소 아버지가 된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