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책n영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가겸 Jun 05. 2021

[스탠 바이 미(1986)] 삶, 친구 그리고 나

“돌아오니까 마을이 달라 보였다. 작아 보였다.”


스탠 바이 미, Stand By Me (1986, 드라마/모험, 미국, 청불, 89분)
감독 : 롭 라이너
원작자 : 스티븐 킹 <시체>
출연 : 리버 피닉스(크리스 역), 윌 휘튼(어린 고디 역), 제리 오코넬(번 역),  코리 펠드먼(테디 역), 존 쿠삭(데니 역), 키퍼 서덜렌드(에이스 역)
배급 : 콜롬비아 픽쳐스
출처 : JustWatch Search (2021.06.05 검색)

줄거리 : 작가인 고든은 어릴 적 살던 캐슬록 마을에서의 짧은 모험을 떠올린다. 알코올 중독자인 아버지 때문에 갑갑한 생활을 했지만 동네 꼬마들의 대장이었던 크리스, 2차 세계대전의 영웅인 아버지를 존경했던 테디, 착한 꼬마 번 등 세 친구. 그리고 독서를 좋아하던 자신을 포함한 네 명이 어린 시절 겪었던 모험을 회상한다. 어느 날 번은 크리스와 테디, 고디 등 패거리에게 며칠 전 행방불명된 소년의 시체가 숲 속에 있다는 얘길 들려준다. 만약 시체를 찾아낸다면 그들은 마을의 영웅이 된다. 기대에 부푼 네 명의 소년은 모험심으로 가득 차 숲을 향해 여행을 떠난다. 캐슬록 밖으로는 한 걸음도 나가보지 못한 그들에게 이 여행은 다른 세상을 향한 첫 경험이었다. 이틀간의 짧은 여행 끝에 아이들은 시체를 찾아내는 데 성공했지만 정작 이 여행이 아이들에게 남긴 것은 다른 것이었다. 네 명의 소년들에게 이 여행은 추억일 뿐만 아니라 어른이 돼가는 귀중한 한걸음이었던 것이다.



틀어놓고 읽어보세요 :)  

(https://youtu.be/c5hDjpi_HM0)



이 영화는 어른이 된 고디의 회상이다. 간간히 나오는 고디의 아픈 기억, 친구들에 대한 추억은 하나의 스토리를 이룬다. 기억은 주관적이다. 고디의 기억 속 사건들이 아픔인지, 추억인지는 알 수 없다. 영화는 삶의 기억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특히 ‘사람’, 친구들의 존재감이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영화는 잔잔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Scene#1. 삶의 경험


“주인은 1,281명뿐이었지만 내게는 그 마을이 세상의 전부였다” 

(…)

“돌아오니까 마을이 달라 보였다. 작아 보였다.”


영화는 1,281명이 사는, 시골의 작은 마을 캐슬록에서 ‘길’을 떠나 걷는 네 친구들의 모습을 틈틈이 끼워 보여준다. 마치 영화를 보는 내내 나도 함께 그들과 길을 걷는 듯 느껴진다. 이는 단순히 죽은 레이 브로워의 시체를 찾아 떠나는 여정으로 보이지만, 이 ‘떠남’은 한 단계의 자아 성장과 경험의 확장의 시작점이었을지도 모른다. 



 우리도 모두 어떤 시작을 한다. 새로운 길을 걷고, 다시 돌아왔을 때는 내가 알던 내가 아니다. 커피를 마시기 위해 머신 버튼을 누른 후, 커피를 마신 뒤 우리의 기분도, 입 속의 향도 다른 것처럼 말이다. 친구들과 도전과 역경을 헤치고 돌아온 고디에게 마을은 자신의 전부에서 작은 세상의 일부가 되었다. 새로운 경험은 언제나 우리에게 ‘Re-New’ 선물하기 때문이다.




Scene#2. 친구 


“세월이 가면서 테디와 번과는 점점 뜸하게 만났고, 결국 졸업 사진 속의 두 얼굴로만 남게 되었다. 살다 보면 그럴 때가 있다. 친구들도 식당의 일꾼처럼 내 인생에 나타났다가 사라진다. 그 이후 난 12살 시절의 친구 같은 친구는 결코 만나지 못했다. 다들 그렇겠지?”


철로에서 기차 앞에서 무모한 짓을 벌이는 테디, 억지로라도 끌고 내려오는 크리스, 두 사람의 화해를 기다려주는 고디와 번. 친구는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다가도 손잡고 화해를 하다 부딪치기도 하고, 그렇게 성장의 한 단계를 같이 구성 해나 간한다. 



“정말 끝내주는 시간이야. - 최고지 - 죽여줘 - 번의 애기는 단순히 고물상에 무단 침입하고 부모님께 거짓말을 하고, 철길을 따라, 할로우로 가는 것만 뜻하진 않았다. 그런 뜻도 있었지만 지금 생각해보니 그 이상의 의미였고, 우린 모두 그걸 알고 있었다.” 


친구, 좋은 사람과 함께할 때 느끼는 형용할 수 없는 느낌이 있다. 그리고 그때, 즐거움, 기쁨, 행복, 만족감을 느낀다. 우리는 ‘난 지금 성장하고 있어.’라며 삶의 길을 걷기보다(물론 그런 사람도 있을 것), 길을 걸을 후 그 끝에서 ‘아 내가 한 단계 발전했구나’라고 생각한다. 그 길에서 재미까지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바로 그렇게 재미있게 내가 삶을 이겨내도록 해주는 존재가 바로 사람이다. 친구이자, 동료이자, 이웃으로서 말이다. 


크리스는 고디에게 말한다. “내가 너희 아빠라면 정말 좋겠다. 내가 아빠였으면 넌 멍청한 취업반 따윈 얘기할 필요도 없었을 거야. (…) 아이들은 누군가 돌봐주지 않으면 모든 걸 잃게 돼 있어. 너희 부모님이 너무 엉망이라 널 돌볼 수 없으면 내가 돌봐줘야겠지.”


형 데니만 챙기던 아버지, 형의 죽음으로 인한 죄책감과 기쁨의 모순된 감정에서 괴로워하던 고디에게 크리스는 최고의 친구였다. 4명의 친구들은 서로를 돌본다. 




친구는 순간을 기쁘게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존재다. '친구를 갖는다는 건, 또 하나의 인생을 갖는 것과 같다'라는 격언이 있다. 서로의 인생이 맞부딪치고, 교차하면서 그렇게 기억을 한 땀, 한 땀 이어간다. 우리는 그렇게 넓어지고 더 큰 꿈과 미래를 마음에 품게 되는 게 아닐까. 


영화의 고디의 회상을 마지막까지 함께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나의 어릴 적 경험과 주위 관계를 생각해보는 나를 발견하게 된다.


'누군가에게는 기쁜 추억보다, 아픈 기억이 더 깊게 남아있을 수도 있겠다' 싶다. 추억이 그 옛 아픔을 덮지 못할 정도로 적거나, 아픈 기억이 너무 깊어 기뻤던 감정을 잊었거나. 그럴 때는 '나' 자체의 삶을 음미하고 즐겨야 하는 것 같다. 결국은 고디 '자신'의 회상이었던 영화의 플룻처럼 말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노매드랜드(2021)] Just Houseless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