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용임 Dec 15. 2023

김현, 고스트 듀엣

너무나 간절한 것이, 그토록 소중한 것이, 누군가에겐 당연한 것이 나에겐 발가락으로 견디는 진흙 벼랑인지도 모른다. 그러면 숨을 쉬는 것도, 평온한 표정을 짓는 것도, 느리거나 고요해지는 것도 어렵다. 간절하고 소중한 것은 모두 같은데 소수자에게는 누림이 당연하지 않기 때문이다. 박탈감, 소외감을 넘어서 그건 생존의 문제다. 세상의 모든 것들은, 저 차갑고 고요한 우주 공간의 암흑물질조차, 사랑이 없다면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성소수자라서, 여성이라서, 계층 사다리의 하층에 있어서 지극히 마땅한 것들이 마땅치 않다. 마땅치 않은 것을 넘어 위태롭다. 존재의 필수불가결한 요소인데, 사랑이 나를 위협한다. 아니, 나를 위협하는 것은 사랑이 아니다. 사랑을 받아들이지 않는 세계다. 사회의 일부가 되지 않고서는 역시 생존할 수 없는데 사회의 일부가 되기 위해서 나를 부정해야 한다. 나를 없애고 살아남은 '사회 속의 나'는 과연 뭘까. 그걸 무엇이라고 불러야 할까.

그들이 용감해서 나는 슬펐다. 그들이 아름다워서. 끝끝내 포기하지 않아서. 숨을 쉬는 것이 유리가루를 들이마시는 것처럼 고통스러워서 버스정류장에 주저앉아버렸던 어느 날의 나와는 달라서. 그런데 나라고 다 알까. 우리는 모두 저마다 아슬아슬하게 버티고 있는 것들이 있다. 서로 다른 약점들이, 서로 다른 모서리들이. 잘 버티고 있는 것만으로 충분하지 않다. 우리는 결코 서로를 속속들이 알 수 없지만.

내가 모르는 상처, 내가 모르는 빈 곳, 내가 모르는 위태로움, 내가 모르는 너의 위중함에서 눈을 돌리지 않는다면

몰라도 오래 지그시 바라보는 일을 이어간다면

우리의 진흙 벼랑은 조금 단단해지지 않을까?

누군가 몰래 무너지지 않도록, 누군가 이름도 없는 괴물이 되어 내 옆의 '당연한 무엇'이 되지 않도록

이 이야기들은 우리가 인간 다울 수 있도록 손을 내밀어 준다. 다행스럽게도.    

매거진의 이전글 유희경, 겨울밤 토끼 걱정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