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은 가을에 달에게 제사를 드린다는 뜻이라고!
우리는 신라시대 이후부터 오랫동안 한가위라는 말을 주로 사용했다고 한다. 한가위라는 말은 크다는 뜻의 한과 가운데라는 뜻의 가위라는 말이 합쳐진 우리말이다. 한가위는 8월 한가운데 있는 큰 날이라는 뜻이다. 가위라는 말은 신라시대 길쌈놀이인 가배에서 유래하였다. [삼국사기]에 그 유래가 나온다. 삼국사기의 기록으로 볼 때 한가위는 우리가 오랜 세월 사용해 온 우리말이다.
"신라 유리왕 9년에 나라 안 부녀자들을 두 편으로 갈라 음력 7월 열엿새 날부터 8월 보름까지 길쌈을 짜게 하였다. 그리곤 짠 베로 승부를 가름하고, 진 편에서 술과 음식을 차리고 밤새도록 강강술래와 회소곡을 부르며, 춤을 추고 흥겹게 놀았다. 이것을 그때 말로 가배, 즉 가위라고 하였다."
조선 후기 한양의 세시풍속을 기록한 [열양세시기]에도 "더도 덜도 말고, 늘 가윗날만 같아라"는 기록이 있다. 이처럼 햇곡식과 과일들이 풍성한 좋은 절기가 한가위다.
추석의 어원에 관한 여러 가지 학설이 있지만, 5세기 때 송나라 학자 배인이 쓴 [사기집해]에서 나온 '추석월'이라는 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여기서 추석월의 뜻은 천자가 "가을 저녁에 달에게 제사를 드린다"라는 뜻이라고 한다. 따라서 추석의 어원은 우리의 명절과는 맞지 않는다.
언제부터 추석이라는 말을 사용했는지에 관한 역사적 고찰이 필요하겠지만, 이런 의미라면 추석보다는 한가위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 [우리문화신문](2020년 9월 30일)에 게재된 우리문화편지에서 발췌하여 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