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중산층인가?
중산층은 경제적, 사회문화적 수준이 중간이면서 중산층 의식이 있는 사회 집단을 가리키는 사회학 용어다.
세계적으로 통일된 중산층의 기준은 없지만, OECD는 소득 중간값의 50~150% 소득계층을 중산층으로 본다.
OECD는 중위소득의 50% 미만을 빈곤층, 50~150% 미만을 중산층, 150% 이상을 고소득층으로 분류한다.
영국, 프랑스, 미국은 소득에 의한 것과 달리 의식 수준을 반영한 중산층의 기준이 있다.
영국의 중산층 기준은 정정당당한 승부를 할 것, 자신의 주장과 신념을 가질 것, 독선적으로 행동하지 말 것, 약자를 두둔하고 강자에 대응할 것, 불의와 불평등과 불법에 의연히 대처할 것 등이다. 옥스퍼드 대학에서 제시했다.
프랑스의 기준은 외국어 하나 정도는 할 것, 직접 즐기는 스포츠가 있을 것, 다룰 줄 아는 악기가 하나 이상 있을 것, 남들과 다른 요리를 만들 수 있을 것, 공분에 의연히 참여할 것, 약자를 도우며 봉사활동을 꾸준히 할 것 등이다. 퐁피두 대통령이 ‘삶의 질’에서 정한 것이다.
미국은 공립학교에서 가르치는 중산층 기준이 있다. 자신의 주장에 떳떳할 것, 사회적 약자를 도울 것, 부정과 불법에 저항할 것, 테이블 위에 정기적으로 받아보는 비평지가 있을 것 등이다.
우리나라의 중산층 기준은 무엇일까? 인터넷에 직장인 설문 결과에 따른 중산층의 기준이 있다. 부채 없는 30평 이상 아파트를 보유할 것, 월급여 500만 원 이상 받을 것, 2000cc 이상 자가용을 보유할 것, 1억 원 이상의 예금 잔고를 보유할 것, 연 1회 이상 해외여행을 할 것이다.
나는 중산층인가? 영국과 미국 중산층 기준에는 충족되는 것 같다. 프랑스 기준에서는 약간 거리감이 있다. 한국 기준은 직장인들이 인식하는 것과 정부에서 제시하는 것 사이에 갭이 있다. 정부에서 제시한 걸로 중산층이지만, 직장인 설문 결과 기준으론 저소득층이다.
우리나라 중산층 기준도 경제력 위주로 정하기 보단 영국, 프랑스, 미국처럼 사회문화적 의식 수준을 제시하면 더 좋을 것 같다. 재산은 많이 없지만 지각 있는 사람들이 스스로를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도록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