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몸과 마음은 맞닿아 있다"

2020년 11월 월간 ⟪좋은 생각》에세이



2020년 11월 월간 《좋은 생각》에 실린 에세이 전문을 올립니다.



"몸과 마음은 맞닿아 있다"


얼마 전 흥미로운 신문 기사를 봤다. 두 눈을 감고 양팔을 벌려 중심을 잡은 채로 한쪽 발을 뗀 뒤 몇 초를 버티는가에 따라 신체 나이를 알 수 있단다. 갑자기 궁금증이 생겨서 슬며시 일어나 눈을 감고 용을 쓰며 테스트를 해 봤다. 실제 나이보다 조금이라도 젊게 나오기를 바라는 내 속마음을 알아차리고 쓴웃음을 지었다. 만약 이십 대였다면 이런 게 눈에 들어왔을까? 그랬다면 신체 나이가 어린 게 당연하고, 실제보다 높은 연령이 나와도 ‘운동 좀 해 볼까?’ 했을 것이다. 결과에 자만심을 갖지도, 크게 걱정하지도 않았을 테다. 사십 대가 되고 나니 노력으로 실제 나이보다 몇 년 정도는 젊어 보여도 결코 이십 대로 보일 수는 없음을 실감한다. 포토샵으로 보정하는 반칙 요소를 제외하면 말이다.

나이 마흔에 취미로 발레를 시작한 지 팔 년이 지났다. 발레도 했고, 관련된 일도 했고, 글을 기고하는 전업 작가가 됐다. 내 몸을 과대평가해서 무리하게 쓰다 큰 부상을 입고, 수술과 재활 과정을 거쳤다. 그 과정에서 깨달았다. 몸을 바라보는 또 하나의 기준점은 마음에서 출발한다는 것을.

‘설마 이 사람 ‘몸은 마음과 연결되어 있어!’ 따위의 상투적인 말을 던지지는 않겠지?’ 싶다면 당신의 예상이 적중했다.

취미로 시작한 발레지만 그 매력에 빠져 엄격하고 열심히 해 왔다. 그 덕에 사십 대의 나이에도 제법 괜찮은 신체 라인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를수록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전보다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했다. 물리적 시간을 투자한 뒤 자문했다. ‘과연 나는 행복했는가?’ 마음의 눈으로 몸을 바라보기로 마음먹었다. 그러자 이전보다 조금 흐트러져도 자연스럽고 건강하게 나이 들어가는 내 모습에 적응됐다. 아니, 좋아지기 시작했다. 멋있게 나이 들어야겠구나. 열정 이면의 게으름, 가혹함 뒤의 위안, 젊음 이후의 나이 듦, 이렇듯 상반된 요소가 적절한 균형을 이룰 때 진짜 행복이 느껴진다는 것을 배웠다. 

겉으로 드러나는 신체 나이보다 마음의 성숙함에 집중하고 싶다. 내 몸은 마음이라는 전원을 켜야 비로소 활동을 시작하는 생명체니까.


윤지영 님 | 작가, 플로어웍스 대표



도서출판 플로어웍스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floorworx_publishing/

윤지영 작가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yoonballet_writer/

저서 『바른 발레 생활』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6338804


매거진의 이전글 <KBS 명사들의 책읽기> 라디오 방송 녹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