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윤영돈 코치 Jun 29. 2017

제대로 쓰고 싶다면 스스로 유배시켜라

나는 책쓰기가 가장 쉬웠어요

내가 숲으로 간 것은 신중하기 살기 위해서, 삶의 본질만을 마주하기 위해서, 삶의 가르침을 과연 내가 배울 수 있을지 알기 위해서, 그리고 죽을 때가 되어 내가 제대로 살지 못했음을 깨닫게 되지 않기 위해서였다. - 헨리 데이비드 소로 


◆ 산다는 것은 공부다

‘내가 제대로 살고 있는가?’ 죽을 때가 되어 내가 제대로 살지 못했음을 깨닫는 것만큼 비참한 상황은 없을 것이다. ‘당신은 죽을 때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기를 원하는가?’ 피터 드러커의 위대한 질문처럼 자신의 미래상을 그려봐야 한다. 20년간 옥고를 치른 신영복 선생은 “그 시간, 자신을 견디게 해준 것은 한 겨울, 독방의 작은 창으로 들어오던 겨우 신문지 크기만한 햇볕이었다”고 고백한다. 한학자 이구영 선생에게 한학을, 서예가 조병호 선생에게 글씨를 배우고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쓴다. 필자는 2008년 인사동에서 한국경제신문 주최로 ‘저자와의 만찬’이라는 모임에서 신영복 선생을 직접 뵌 일이 있다. "인생의 일관된 것이 있다면 부단히 자신을 변화시켜야겠다는 기본적인 사색이다. 산다는 것은 공부다. 계속 공부하고 깨닫는 것이다. 감옥에서의 시절이 대학 생활이라고 할 만큼 많은 것을 배웠다"고 한다. ‘부단히 자신을 변화시켜야겠다’는 사색공부를 시작하자.

◆ 끊임없는 자기성찰을 위해서 스스로 유배시켜라

위대한 작가들은 자기의 절대고독을 글쓰기로 승화시켰다. 작가가 아니더라도 책상에 가두지 않으면 결코 좋은 글을 쓸 수 없다. 자기와의 싸움에서 이겨야 한다. 글쓰기를 통해 자신과 타인의 삶에 대한 능동적인 관심을 갖게 되었다. 사색은 ‘유배라는 행위’에서 나온다. 소설가 한승원은 자기를 스스로 유배시키고 가두라고 조언한다. “어떤 글이든지 그것을 쓰기 위해서 나는 철저하게 나를 서재 속에 가둔다”고 말한다. 끊임없는 자기성찰이 없으면 간결한 문장이 나오기 어렵다. 세계적 작가 세르반테스는 레판토 해전에 참전했다가 가슴과 왼손에 총상을 입었고, 그 후유증으로 평생 왼손을 쓰지 못하고 ‘레판토의 외팔이’라는 별명을 얻었지만 세비야에서 감옥에서 소설 [돈키호테]를 구상한다.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버트런드 러셀은 감옥에서 글쓰기를 멈추지 않았다. 하루 4시간의 철학 독서, 4시간의 일반 독서, 그리고 4시간의 집필로 짜여 있었다. 결국 형무소에서 [수학 철학 입문]을 썼다. 다산 정약용 선생은 18년간 유배지에서 호롱불 아래 복숭아뼈에 세 번이나 구멍이 났다는 일화가 전해질 정도로 글쓰기에 몰입해 500여권 책을 쓰고 제자를 길러내셨다.


◆ 특별한 시간을 원한다면 하루에 1시간동안 독서해라

글쓰기를 위해서는 틈틈이 리딩타임(reading-time)을 마련한다. 어떻게 보면 직장인들에게는 꿈과 같은 일이다. 하지만 생각만 달리 하면 충분히 다른 사람의 방해를 받지 않는 글쓰기 시간을 마련할 수 있다. 미국 전 대통령 버락 오바마는 대체로 밤에 1시간 동안 독서한다. 그는 "독서는 음악과 TV, 그리고 아주 뛰어난 영화와는 다르게 스스로를 안정시키는 특별한 시간을 준다. 책은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보는 능력을 준다. 이게 더 좋은 대통령이 되도록 했는지 말할 수 없지만, 급작스러운 일이 멈추지 않고 발생하는 이 자리에서 내가 8년 동안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 것은 분명하다"고 말한다. 그는 종종 외로웠던 소년 시절에 독서가 친구 역할을 해주었고, 연설문도 직접 쓰게 되었다고 고백한다. 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장은 “삶은 특유의 통렬한 전환을 거치지 않고는 도약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도약을 위해 생활 습관 자체를 뜯어 고쳐야 한다. 새벽 시간에 일찍 일어나기 위해 회식 등은 점심으로 바꾸고, 일찍 잠자리에 들었다. 매일 규칙적인 생활을 했고 같은 시간대에 같은 일을 반복하는 습관의 근육을 몸에 익혔다. 하루 두 시간의 글쓰기, 그리고 10년 후, 그는 달라졌고 10년 가까운 시간동안 15권의 책을 집필할 수 있었다.

◆ 속독보다 만독을 하면 내용을 음미할 수 있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깊이 있는 생각을 하기 위해서는 쓰는 어휘가 달라져야 한다. 남의 의견에 현혹되지 않아야 한다. 글쓰기를 쓸 때는 욕먹을 각오로 써라. 비판하는 사람을 무서워하지 말고 비판하는 근거를 따져봐라. 숙독(熟讀)이란 ‘깊이 읽기’가 중요하다. 이 때 음독(音讀)은 소리내어 읽는 방법이다. 반대어 묵독(默讀)이란 눈으로 읽기다. 소리를 내지 않고 눈으로만 읽는 독서 방법으로 내용을 생각하며 읽을 수 있고, 원래 수사들이 했던 방식으로 주위 사람에게 방해가 되지 않으며, 읽는 속도가 빠르다. 속독(速讀)은 빠르게 읽기다. 책을 빨리 읽는 방법으로 짧은 기간 내에 많은 분량의 책을 읽는 독서 방법이다. 만독(慢讀)은 책을 느리게 읽는 독서 방법이다. 요즘 슬로우 리딩(Slow Reading)이라는 말로 유행이다. 시 낭송처럼 낭독(朗讀)은 글의 내용을 음미하는데 좋다. 다른 사람이 쉽게 알아듣도록 리듬감 있게 읽어야 하거나, 어감을 맞게 읽는 방법이다. 이 때 소리를 내어서 읽어보되, 잘 읽히지 않으면 글을 퇴고하는 게 좋다. 이제 쓸데없는 시간 낭비를 하지 말고 자신을 가두고 무엇에 몰입할 것인지 결정해야 할 때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이메일 오픈율을 높이는 임팩트한 제목 쓰기 마케팅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