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영웅 Jan 31. 2020

프로덕트 매니저 학습 기획 101

우리나라에도 프로덕트 매니저를 위한 코스를 만들어본다면

2017년에 샌프란시스코에서 프로덕트 스쿨을 다녀오며 조심스럽게 그리던 구상이 있습니다. 프로덕트 매니저에 대한 직무 교육이 한국에 필요해지는 시점이 조만간 올 것이고 구체적인 안이 필요할 거라는 생각입니다. 그걸 바탕으로 현재 시점의 직무 관련 교육 시장을 살펴봤을 때 드는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해봤습니다. 추후 보완을 할 계획입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 기획와 구상(안)입니다.


1. 데이터 분석, 머신러닝, 인공지능 분야는 한국에서 많이 채워지고 있는데 보완이 필요한 분야입니다. 각 모듈별 수준의 상황평준화가 필요하고, 공개된 데이터의 품질 향상과 기업 데이터와의 협업이 진행되면 보다 좋을 것 같습니다.


2. 퍼포먼스 마케팅, 그로스 해킹 분야는 한국에서 점차 구체적으로 채워지고 있는 분야입니다.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라 점차 성장할 것 같습니다. 현업에서 원하는 수준의 학습을 제공할 수 있는 풀이 부족합니다.


3. 프로덕트 매니징, IT 교육 분야는 한국에서 거의 채워지지 않은 분야입니다. 각개격파 형태로 직무역량을 성장시켜왔으나 점차 표준화를 통한 엔트리 레벨에 대한 트레이닝이 필요합니다. 기업별로 프로덕트 매니징에 대한 요구사항이 모아지고 정리된다면 보다 좋을 것 같습니다.


아래는 위 내용과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구상한 프로덕트 매니저 학습 기획(안), 일명 프로덕트 매니저 101 입니다.


<프로덕트 매니저 101>


- 프로덕트 매니저 가이드
- 기획자와 프로덕트 매니저는 무엇이 같고 다른가
- 프로덕트 매니저에게 필요한 테크 스킬의 범위와 유용한 레퍼런스
- 프로덕트 매니저에게 필요한 소프트 스킬 훈련을 위한 유용한 방법
- 프로덕트 매니저에게 유용한 오픈소스 툴 활용법

- 프로덕트 매니저에게 유용한 실험설계 및 학습방법
- 산업/기업별 프로덕트 매니저 스킬셋 역량 설계

- 프로덕트 매니징 시뮬레이션 레벨 1 : 기획부터 프로포타입까지
- 레벨/구분별 심층 역량 모델 제시



<참고>

데이터 프로덕트 매니저의 등장

https://brunch.co.kr/@youngwungkim/75

https://brunch.co.kr/@youngwungkim/52

매거진의 이전글 수요 중심 교육 설계라는 허상에 대하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