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popofilm Jan 11. 2021

[영화 리뷰] 마티아스와 막심 (2019)

사랑 앞에 무의미한 당위적 개연성 (자비에 돌란/퀴어영화)

자비에 돌란의 10년, <마티아스와 막심>

 <아이 킬드 마이 마더>를 시작으로 <하트비트><로랜스 애니웨이><마미><단지 세상의 끝> 등으로 이어진 '자비에 돌란' 감독의 필모그래미는 어느덧 10년이라는 시간을 채우게 되었고, 그 10년이라는 시간을 <마티아스와 막심>을 통해 마무리 짓는다. 돌란 감독과 가장 온전히 닮아 있는 작품이라고 하며 앞으로는 감독보다는 배우로서의 활동에 좀 더 집중하고 싶다고 밝힌 만큼 그가 걸어온 필모그래피의 역사를 담담하게 정리하려는 느낌도 어렴풋이 느껴진다. '칸의 총아'라는 호칭을 얻은 이후 스타 감독에서 내리막길을 타는 듯 했지만, <마티아스와 막심>은 그가 최근에 내놓은 작품들 중에서는 그의 강점이 제법 잘 드러난 작품이다. 돌란만이 갖고 있는 연출적 매력에는 남들이 낼 수 없는 뚜렷한 무언가의 개성이 분명 촘촘하게 자리잡고 있다는 것을 오랜만에 느꼈다.

친구와의 키스, 휘몰아치는 감정의 소용돌이

 캐나다 퀘백에서 어려서부터 함께 나고 자란 '마티아스(가브리엘 달메이다 프레이타스)'와 '막심(자비에 돌란)',그리고 그들의 친구들은 무리 중 한 명의 별장에 모여 파티와도 같은 시끌벅적한 시간을 보낸다. 그러던 중 친구의 여동생이 이들에게 자신이 촬영하는 영화에 배우로 출연해줄 것을 부탁한다. 별다른 고민없이 출연에 응한 막심과 내기에서 지는 바람에 반강제로 끌려온 마티아스. 별다른 생각 없이 카메라를 마주하고 앉는데, 두 사람이 연기해야 하는 장면은 진한 키스신이었다. 어쩔 수 없이 두 사람은 키스신을 연기하지만, 이 찰나의 순간이 두 사람의 관계를 요동치게 만든다.

사랑에 빠진 이유가 뭔데?!

 오랜 시간을 함께해 오며 깊은 우정을 갖고 있던 두 사람은 단 한 순간의 키스 장면으로 인해 관계가 완전히 뒤틀린다. 특히나 마티아스는 막심과의 키스 이후 그를 제대로 마주하지 못하고, 이상하리만큼 감정적으로 크게 동요한다. 아마 키스를 하면서 막심을 대상으로 단 한 번도 생각해 본 적 없었던 우정 이상의 감정을 느꼈고, 이러한 경험이 처음이었던 그에겐 상당히 큰 혼란으로 다가왔던 것처럼 그려진다.

 하지만, 이 작품은 왜 마티아스가 막심에게 그러한 감정을 느낀 것인지, 왜 친구를 사랑하게 된 것인지와 같은 당위적 측면에는 크게 관심을 두지 않는다. 오로지 두 인물의 감정이 어떻게 변화되고 나타나는지 그 감정의 흐름과 과정 자체를 중점적으로 조명한다. 많은 퀴어영화들은 주인공이 자신의 성정체성을 깨닫거나, 동성에게 사랑을 느낄 때, 왜 그렇게 된 것인지 그 '이유'에 유독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야 이야기 전개가 쉽고, 관객을 이해시키기에도 용이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돌란은 이러한 쉬운 길을 지양하고 이성애건, 동성애건 사랑은 형언할 수 있는 이유만으로 찾아오는 감정이 아니기 때문에 개연성을 따지지 말라고 주장한다.

부족한 빌드업, 답답한 구조

 잘 만든 퀴어영화는 굳이 '왜'라는 관점에서 영화를 조명하지 않아도, 관객들로 하여금 인물들의 감정선이나 스토리의 전개를 이해시키는 데에 큰 어려움이 없다. 하지만, <마티아스와 막심>은 인물들의 감정을 끌어올리기 위한 빌드업 과정이 너무나 부실하고 구조적으로 답답한 전개를 취한다. 그렇기 때문에 감독이 '어떻게'를 조명했음에도 관객들은 '왜'를 자꾸만 궁금해 하게 된다.

 키스 이후 마티아스가 감정의 요동을 크게 느끼게 되면서 마티아스와 막심이 함께 붙는 씬은 후반부 절정에 이르기 전까지 매우 적게 등장한다. 즉, 이 작품을 이끌어나가야 할 가장 중요한 두 인물을 철저하게 분리시켜놓고 전개를 해나간다는 셈이다. 이는 혼란을 느낀 마티아스가 막심과 거리를 두게 될수록 오히려 그에 대한 마음이 더 커진다는 심리적 아이러니함을 표현한 것일 수도 있다. 그러나, 두 인물의 지나친 거리두기는 설령 이것이 의도된 장치였을지언정 답답한 구조에 지나지 않는다. 두 인물이 분리된 채로 관객들은 따로 노는 듯한 인물들의 감정선을 따라가려다 보니 영 맥이 제대로 안 잡히고, 이들의 감정에 공감하기조차 어렵다. 솔직히 극 중반부에는 두 인물이 서로 다른 영화에 출연한다고 느꼈을 정도로 분리감이 극에 달한다.

절제를 습득한 돌란

 장점보다는 단점이 좀 더 크게 드러나는 작품이지만, 그럼에도 돌란의 발전을 찾을 수는 있다. 기존의 그의 작품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감정이 과하면 과했지, 절제와는 대부분 거리가 멀었다. 하지만, <마티아스와 막심>은 감정적 과잉보다는 절제미가 유독 강하게 느껴진다. 물론, 주인공과 어머니의 갈등적 요소, 뮤직비디오를 연상케 하는 감성적인 영상과 음악의 결합과 같은 돌란의 요소들을 여전히 반영하고는 있다. 하지만, 사랑과 우정에서 비롯된 관계의 미학을 다루는 데에 있어 굉장히 조심스러운 슬로우 템포로 다가간다. 격동의 감정을 맞이한 인물들의 심리 상태 역시 특이점 이상으로 치솟지 않는다.

 이러한 의미에서 <마티아스와 막심>은 한층 편안해진 돌란의 모습이 느껴지는 작품이다. 실제로 극중 등장하는 막심의 친구들은 돌란의 고향 친구들이고, 온전히 자기 자신과 가장 닮은 작품을 만들고자 했기 때문에 그의 기존 작품들보다는 훨씬 담백하게 접근하려고 했던 것 같다. 그의 연출적 매력인 폭발적 감정이 가져다주는 카타르시스나 임팩트는 없지만, 적어도 이 작품에서는 그러한 요인이 불필요했을 것 같다. 절제를 택했기 때문에 분리된 구조 속에서도 그나마 두 인물의 복합적인 감정을 천천히 따라갈 수는 있었다. 절제를 습득하고, 안정감을 얻었다는 점에서 결국 10년동안 돌란 감독 스스로도 정서적으로 성장을 거듭했다는 것을 보여준 결과물이 아닐까 싶다.

작가의 이전글 [왓챠] 이어즈 & 이어즈 (2020)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