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유신 Sep 15. 2020

강을 건너는가? 배를 만드는가?

 생활에서의 이상적 목표 설정 

사람들이 여행을 하다가 강을 만났다. 

어떻게 하면 될까? 여러분이라면 어떻게 강을 건널까? 

이때 대부분 사람들은 배를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배를 만들기 위해서는 주변의 나무를 가져다 배를 만들 수가 있다. 

이런 상황에서 목표는 배를 만드는 것이다. 

여기에서 문제를 다시 살펴보자. 이 사람들이 원하는 이상적인 목표는 무엇인가? 

배를 갖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적인 목표는 무엇인가? 다시 말해서 원하는 결과는 무엇인가?

원하는 결과는 강 건너로 가는 것이다. 배를 만드는 것이 원하는 결과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TRIZ에서 이상적인 시스템을 정한다고 하면 우리는 다음과 같이 정할 수 있다.  

배는 없지만 강을 건너는 것이다.

이상적인 결과는 사람들이 강 건너편에 있는 것이다. 

물 위 또는 물 밑 또는 하늘을 날아서 또는 순간이동을 해서 강 건너편으로 가면 된다.

결과를 생각하고 하나씩 방법을 도출할 수 있다. 

강을 건널 때 배는 왜 필요한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 우선 물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라고 볼 수 있다. 

다른 관점으로는 몸 또는 옷이 물에 젖지 않기 위해서라는 생각을 할 수 있다. 

안전하게 건너는 것과 건너고 난 후에 편리한 것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배는 반드시 필요한 것인가? 우리는 이상적 목표를 설정하기에 앞서 문제 분석을 진행해야 한다.  

여러분이 생각하는 강은 어떤 강인가?

그렇다면 사람들이 만난 강의 깊이는 어느 정도인가? 강의 넓이는? 강물의 속도는? 방향은? 

그리고 사람들에 대한 정보도 있어야 한다. 

사람들이 두 명인가 또는 1000명인가에 대한 정보에 따라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환경적으로 계절 및 날씨에 대한 정보도 필요하고 물속 정보도 필요하다. 

강을 건너야 한다는 고정관념에 바로 접근할 수 있는 배를 만들기 시작할 수도 있지만 주변 자원을 찾아보면 조금 떨어진 곳에 다리가 놓여 있을 수도 있고, 배가 반대쪽에 있을 수도 있다.  

문제를 만났을 때 바로 해결안을 생각하고 진행하면서 새롭게 도출된 문제를 푸는 것에 집중하면 안 된다. 

만약 배를 만들어야 하는데 나무를 자를 도구가 없다는 문제가 생겼다. 

이때 사람들은 문제를 변형시키게 된다.

나무를 분리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우리가 알고 있는 Root Cause Analysis 또는 Cause-Effect Chain 등과 같이 결과에서 원인을 밝혀내는 Tool은 많이 있다. 하지만 목표를 발전시켜서 이상적인 목표를 만드는 Tool은 아직 널리 퍼져 있지가 않다.  

문제를 바꿔서 생각할 수 있다. 즉, 목표가 변하면 문제가 바뀌게 되는 것이다. 

0. 강 건너편에 있어야 한다.

1. 강을 건너야 한다.

2. 안전하게 강을 지나야 한다.

3. 몸이나 옷이 젖지 않아야 한다. 

구체적인 문제를 만드는 것은 결과 이미지를 상상하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강을 건너야 하는 것인지 안전하게 지나야 하는 것인지 젖지 않아야 하는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조금 더 상위 개념으로 강을 왜 건너야 하는가 등에 대하여는 논하지 않기로 한다. 

강을 꼭 건너야 하는가? 

강을 건너서 얻는 것은 무엇인가와 같은 문제를 얘기하면 결국에는 문제가 모두 사라지게 될 수 있다.

강을 건너지 않는다고 결정해 버리면 더 이상 강에 대한 고민이 필요 없어진다. 

그냥 사람들은 여행을 포기하고 다시 돌아가면 된다. 

기업에서 수익 창출을 위해 제품을 이상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고객 편의를 위하여 조작을 단순하게 하거나 새로운 방법의 제품을 만들거나 가격을 싸게 하고 공간 등 편의를 위하여 여러 제품을 통합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기업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은 목표 설정이다. 

제품 개선을 위하여 현재 제품의 변화 또는 새로운 제품을 탄생시킨다. 

세탁기는 계속하여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세탁이 필요 없는 옷으로 목표를 정한다면 세탁기 자체는 필요 없어지게 된다.

세탁을 한다는 것에 대하여 정의해야 한다. 옷감에 묻어있는 냄새와 때를 없애는 것으로 세탁을 정의한다면 이미 세탁이 필요 없는 옷감은 개발되고 있다. (https://www.technicaltextile.net/articles/self-cleaning-textile-an-overview-2646?no_redirect=true;

기업에서는 현재 제품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 

혁신적인 제품이 나오는 것을 우리가 생각하는 이상 시스템이 아니라 약간의 혁신으로도 충분하다. 

이와 같이 근본적인 목표를 부정하면 세탁기는 사라지게 되고 세탁기 만드는 회사는 의류제조업 또는 천을 개발하고 만드는 회사로 바뀌게 된다는 것이다. 

목표 설정에는 이렇듯 약간의 제한 조건을 두고 이상성으로 접근해야 한다.  

이때 Multi Screen Thinking Method를 적용하여 기술 및 환경 중에 확보되어야 할 것들을 정할 수가 있다.

기술 시스템 진화 법칙을 적용하여 예측할 수 있다. 

또한 Main Parameter of Value 개념을 적용하여 설명할 수도 있고 다른 산업에서 적용되고 있는 제품 이미지를 FOS (Function Oriented Search)를 통하여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성에 도달한 제품을 따라갈 수 있다. 

이상성에 대한 논문에서는 Altschuller가 말했듯이 부분적으로 이상성이 다다를 때 전체가 이상 시스템이 된다고 한다. 

개선하고 싶은 시스템을 어떻게 정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체 시스템에서 이상성에 도달하는 것이 맞는지 아니면 부분적으로 이상성에 도달하는 것이 맞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다시 강을 건너는 것으로 돌아간다. 강을 건너야 한다는 것은 행정적 모순이다. 

기존에는 행정적 모순에서 IFR(Ideal Final Result)을 정하지 말라고 한다.

하지만 행정적 모순에서는 이상 시스템 (Ideal system)을 확인하는 단계를 거칠 수가 있다.

강을 건너는 이유를 찾는 일이다.

가장 이상적으로 강을 건너는 것은 무엇인가? 행정적 모순 단계에서는 기능을 정의하기는 쉽지 않다.

아직 기술 시스템은 나타나지 않고 그냥 목표만 정해진 상태이다. 

 

목표 구체화 단계 예시

 강을 건너야 한다. 

    →    안전하게 강을 건너야 한다. 

    →    몸이 젖지 않게 건너야 한다. 

    →    빠른 시간에 건너야 한다.

이렇게 목표를 구체화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구체적 목표 정하기

몸과 옷이 젖지 않게 건너야 한다

    → 몸과 옷이 물에 닿지 않아야 한다.

    → 몸과 옷이 물에 닿아도 물을 흡수하지 않아야 한다.

    → 몸과 옷이 물에 닿아서 물을 흡수하여도 보관하지 않아야 한다.

    → 몸과 옷이 물에 닿아서 물을 흡수하고 보관하여도 빠른 시간에 배출해야 한다.

이런 식으로 이상적 목표가 구체화된 후에는 다시 Step Back 단계를 거칠 수가 있다. 

각각의 목표에 대하여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은 많이 있다. 

이런 단계에서 기술적 모순을 찾아내는 것은 어렵지 않다. 

“몸과 옷이 물에 닿지 않아야 한다.”에 대한 기술적 모순은 

“몸과 옷 사이에 S3를 도입하면 물에 닿지는 않지만 활동에 제약이 있다.”와 같은 모순을 도출할 수 있다.

물리적 모순으로 변환하면 여러 가지 물리적 모순이 도출될 수 있다.  

사람들은 어떻게 강을 건너갔을까?

건너야 할 강이 깊지 않고 좁은 강이었으면 그냥 걸어서 건너갔을 수도 있다.

강이 깊고 넓으면 헤엄을 쳐서 갈 수도 있다. 이때 강에는 악어와 같은 위험한 동물이 없어야 한다.

배를 구하던가 또는 만들어서 갈 수도 있다.

이때 배는 나무로 만들어도 되지만 무언가를 엮어서 물에 뜨기만 하면 되는 모든 것들이다. 

강의 상류로 걸어가서 좁은 폭이 나오면 건너가도 된다.

물론 시간이 많이 걸리고 돌아가지만 배를 만들려고 하는 시간보다 짧게 걸릴 수도 있다. 

해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는 많이 나온다.

하지만 우리가 아이디어를 못 내는 이유는 강과 사람들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상황이 제시되어야 구체적인 목표를 정할 수 있다.

결국 사람들은 강을 건너갔다고 생각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이상적 기술 시스템 - 트리즈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