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윤소평변호사 Oct 21. 2021

주택임대차, 상가임대차 법정갱신 기간비교, 권리금 요건

법과 생활

주택임대차보호법, 상가임대차보호법상 법정갱신이 되는 요건의 기간, 임대기간의 간주, 상가의 경우 권리금 회수를 위한 요건기간 등이 혼동이 있을 수 있어서 일괄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주택임대차의 갱신거절 내지 임대조건의 변경]


1. 주택 임대차 기간 만료전 6개월 전부터 2개월 전까지


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계약의 갱신)
① 임대인이 임대차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부터 2개월 전까지의 기간에 임차인에게 갱신거절(갱신거절)의 통지를 하지 아니하거나 계약조건을 변경하지 아니하면 갱신하지 아니한다는 뜻의 통지를 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기간이 끝난 때에 전 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으로 다시 임대차한 것으로 본다. 임차인이 임대차기간이 끝나기 2개월 전까지 통지하지 아니한 경우에도 또한 같다.

② 제1항의 경우 임대차의 존속기간은 2년으로 본다.

③ 2기(기)의 차임액(차임액)에 달하도록 연체하거나 그 밖에 임차인으로서의 의무를 현저히 위반한 임차인에 대하여는 제1항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위 임대차 갱신거절, 조건변경 기간으로 규정된 임대차기간 만료 전 6월 전부터 2월 전 사이의 규정은 강행규정으로 위 기간보다 먼저 갱신거절 등을 하거나 위 기간을 도과해서 갱신거절 등을 하는 경우는 효력이 없어 법정갱신 즉, 묵시적 갱신이 되어 임대차가 갱신됩니다.


* 간주 임대기간 : 2년
* 기억 : 6주2월


2. 상가건물 임대차기간 만료전 6개월 전부터 1개월 전까지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제10조(계약갱신 요구 등)
① 임대인은 임차인이 임대차기간이 만료되기 6개월 전부터 1개월 전까지 사이에 계약갱신을 요구할 경우 정당한 사유 없이 거절하지 못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⑤ 제4항의 경우 임차인은 언제든지 임대인에게 계약해지의 통고를 할 수 있고, 임대인이 통고를 받은 날부터 3개월이 지나면 효력이 발생한다.

위 임대차 갱신거절, 조건변경 기간으로 규정된 임대차기간 만료 전 6월 전부터 1월 전 사이의 규정은 강행규정으로 위 기간보다 먼저 갱신거절 등을 하거나 위 기간을 도과해서 갱신거절 등을 하는 경우는 효력이 없어 법정갱신 즉, 묵시적 갱신이 되어 임대차가 갱신됩니다.


* 간주 임대기간 : 1년
* 최장 임대차기간 : 10년
* 기억 : 6상1월


3. 상가건물 권리금 회수를 위한 신규임차인 주선기간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10조의4(권리금 회수기회 보호 등)
① 임대인은 임대차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부터 임대차 종료 시까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함으로써 권리금 계약에 따라 임차인이 주선한 신규임차인이 되려는 자로부터 권리금을 지급받는 것을 방해하여서는 아니 된다.

* 기억 : 6권종

동영상 참고!

https://youtu.be/mHXlSgQcHgA


https://youtu.be/DrgSUpZ6yC8

매거진의 이전글 제소전 화해 : 임대차에서 적극 활용!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