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단상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서영수 Jul 27. 2023

그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면

다른 사람을 부정적으로 판단하는 마음이 들 때가 있다. 나와 생각이 다르다는 이유로, 때로 어떤 사람이 부적절한 행동을 했다거나 마음이 들지 않는 이유로 그들을 비판하거나 심하면 비난하기까지 한다. 그런다고 마음이 풀리는 것이 아닌데도. 


그때마다 마음속으로 되새기는 말이 있다. ‘그럼 나는~?!’ 이 질문 앞에 서면 모든 비판은 금세 사그러든다. '나라고 과연 다를까?' 이 질문까지 이르면 심지어 부끄러워진다.  


누구를 판단하고 비판할 만큼 선하거나 의로운 사람은 없다. 다른 사람을 판단하는 잣대를 나에게 들이대면 나도 그 사람과 별 차이가 없는 연약하고 부족한 그래서 자주 실수하거나 잘못을 저지르는 인간일 뿐이다. 


판단은 늘 공정해야 하고, 비판의 대상은 나 자신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믿고 있다. 나만은 예외라는 이중 잣대를 버려야 한다는 말이다. 문제는 그 잣대가 늘 타인을 향해 있다는 것, 좀처럼 나에게 들이댈 용기가 없다는 거다. 


세상이 혼란스럽고 이해할 수 없는 일 투성이인 것처럼 보이는 것도, 실은 내 책임이 크다. 나 한 사람이 제대로 바르고 깨끗하게 살았다면 지금보다는 조금은 더 나아졌을지 모른다. 통속적인 기준에 편승해서, 마치 나만은 떳떳한 의인인 것처럼 겉과 속이 다른 삶을 살았지만 우리는 스스로를 속일 수 없다. 


비판의 대상이 된 그 사람과 내가 별 차이가 없다면, 그리고 ‘아, 그 사람 입장에선 그럴 수도 있겠구나!’라고 생각하면 받아들이지 못할 사람이나 상황이 별로 없다. 그가 ‘왜 그랬는지’에까지 생각이 미치면 이해 못 할 일도 그렇게 많지 않다. ‘역지사지(易地思之)’를 실천하는 방법이다.


진정한 소통 역시 먼저 자기 자신을 성찰함으로부터 시작되어 상대방과 내 입장을 바꿔보는 '역지사지의 정신을 실천할 때 비로소 완성된다. 


매거진의 이전글 차라리 꽃이었으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