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서영수 Jan 18. 2024

내면의 변화 없이는

신문을 보다가 '새해 아침...'이라는 제목의 기사가 눈에 들어왔다. 새해? 2024년 새로운 해가 시작되었지만 글쎄, 새해가 오긴 했나? 왜 '새해'라는 말이 생소하게 느껴지는 걸까. 사실 해가 바뀌었다고 달라지는 건 딱히 없다. 하던 일도 지난해 그대로고 만나는 사람들도 여전히 예전 그 사람들이다.


출근길,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차량의 행렬, 새해를 맞은 테헤란로 역시 여전히 차량과 사람들로 붐비고 있다. 지난해 경 그대로다. 길거리를 오가는 사람들의 표정에선 새해를 느끼기 어렵다. 나도 그대로 다른 사람들도 그대로니 바뀐 해 앞에 '새'자가 붙었을 뿐, 새로운 것이 별로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무엇이 새해를 규정짓는 것일까. 결국 생각과 그 생각이 그려낸 내면의 풍경이 새로워져야 비로소 새해가 왔다고 할 수 있다. 삭막한 겨울이라고 모든 사람에게 주변 풍경이 삭막한 것은 아니다. 겨울이기 때문에 당연히 앙상한 나뭇가지에 두꺼운 외투, 춥고 건조한 날씨가 풍기는 삭막한 느낌을 연상하기 때문에 삭막한 것이다. 결국 내 생각과 느낌이 문제였다.


새로운 사람을 만나거나 그동안 가본 적이 없는 외국에 간다고 해서 새로워지지 않는다. 내가 만나는 사람이나 장소가 중요한 게 아니라 그들을 보는 내 시선과 마음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마음이 새로워져야 비로소 새로워진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지금 새해를 살고 있다고 할 수 없다. 나의 삶이 지루한, 그래서 특별한 의미를 찾기 어려운 무미건조한 일상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내가 고쳐야 할 것은 어떤 것에도 감동하지 않는 무뎌지고 진부해진 이 마음과 생각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덧없는 세월, 나는 왜 쓰는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