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밝힐 Jun 14. 2017

<악녀>, 정병길 감독

액션을 향한 천진한 질주, 사라져버린 '악녀'

“그런데 왜 악녀야?” 

영화 <악녀> 포스터 (사진 출처: 네이버 영화)

영화가 끝나자마자 내 입에서 튀어나온 말. 이럴 거면 제목은 <악녀>보다는 <액션 마스터 숙희>나, 뭐 차라리 그냥 <숙희>가 나았다. 

    

영화 <악녀>의 ‘악녀’라는 규정 탓이다. 규정에는 책임이 따라야 한다. ‘규정하’는 행위는 ‘누구’ 또는 ‘무엇’에 액자를 씌우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전체를 보여주지 않고, 자신이 보여주고 싶은 부분만 떼어 보여주겠다는 의식의 발현이기 때문이다. 대상화 하고, 본래보다 협소하게 보이게 하고, 피동적 존재로 만드는 시도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해석의 몫을 지닌 이들(영화의 경우 관객)이 깊고 넓은 본질을 상상할 기회를 의도적으로 차단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규정’했으면 어떻게든 책임을 내어놓아야 하는 것이다. 영화 속 ‘숙희’(김옥빈)가 ‘악녀’로 규정되어야 하는 까닭을 영화의 서사를 통해 명징하게 증명해냈어야 한다.     


‘악녀’의 사전적 의미는 ‘성질이 모나고 나쁜 여자’다. 도리도리. 영화가 그려낸 숙희라는 인물의 캐릭터에 어긋나는 정의다. ‘악’의 사전적 의미는 ‘인간의 도덕적 기준에 어긋나 나쁨’이다. 극 중에서 숙희가 사람을 아주 많이 해치기는 하지만, 감독이 그녀를 악녀라는 틀에 가둔 이유가 그 때문은 물론 아닐 것이다. 대체 어째서 숙희는 악녀라 불리어야 하나.     


영화에서 숙희는 아버지를 잔인하게 살해한 이에게 보복하기 위해 복수의 화신이 되려는 인물이다. 자신이 세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숙희는 스스로 중상(신하균)에게 길러지기를 선택한다. 마침내 범인(凡人)은 범접할 수 없는 수준의 내공을 쌓은 숙희는 아버지를 죽인 이를 찾아가는데, 정말이지 어이없는 덫에 걸려 오히려 원수에게 붙잡히게 된다. ‘에이 뭔가 반전이 있겠지. 숙희가 은밀한 계획이 있어 속아주고 일부러 붙잡힌 거겠지.’라고 헛된 희망을 품는 찰나, 하늘이 열리며 그곳에서 중상이 아주 멋있게(보통 멋있는 게 아니다) 등장해서는 숙희 아버지를 죽인 원수들을 처단하고 숙희를 구한다. 응?     


그리고 몇 장면 지나, 하얀 원피스를 입고 중상의 앞에서 빙그르르, 도는 숙희. 무언가 사연이 많아 보이는 표정을 하고 있는 중상에게 숙희는 말한다. ‘아저씨와 함께 한다면 복수 같은 거 안 해도 될 것 같다.’고. 하.......    

 

중상과의 행복한 결혼 생활을 꿈꾸며, 복수의 화신이 되기를 스스로 포기한 숙희가 다시 복수를 결심하게 되는 것은 중상의 복수를 위해서다. 그리고 다행히도(?) 이 복수는 일단은, 온전히 숙희의 것으로서 성공을 거둔다. 그녀는 이제 자신의 삶 따위 어떻게 되든지 상관없다고 생각한다. 아쉽게도 숙희는 그다지 지조 있는 캐릭터는 아니다. 이내 숙희는 다시 삶에의 강한 의지를 갖게 되는데, 자신에게 아이가 생긴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딸 은혜(김연우)를 낳고 기르며, 숙희는 은혜만이 자신이 살아갈 이유의 전부라고 생각한다. 시간이 흐르는 길에, 다정한 남자 현수(성준)를 만나 다시 사랑에 빠진다. 그리고 여기서 끝은 아니다.     


숙희는 마지막으로(과연 마지막일까. 어쩌면 <악녀>2가 나올지도.), 또 다시 복수의 화신이 된다. 이 마지막 복수의 동인은 처절한 모성애의 발현이자, 사랑의 배신이다.     

숙희의 복수는. (사진 출처: 네이버 영화)

영화의 지난한 서사를 돌아본다. 숙희가 결심한 최초의 복수는 아버지를 위한 복수이다. 그 다음의 복수는 사랑했던 남자 중상을 위한 복수. 마지막은 어머니로서, 그리고 사랑을 잃은 여성으로서의 복수이다. <악녀>가 안타까운 이유다.     


<악녀>가 그려낸 액션은 훌륭했다. 영화관을 나서도 쉬이 흥분이 가라앉지 않았던 것은 액션 덕분이었다. 감독, 촬영 감독, 무술 감독 이하 수많은 관계자들과 배우들이 빚어낸, 절정의 연속. <악녀>를 보고 다른 훌륭한 작품들을 떠올리는 이들이 많다. 그들 가운데 몇몇은 그 훌륭한 작품들과 비교해 <악녀>를 저평가하기도 하는데, 그 역시 아쉬움의 표현일 테지만 난 굳이 그렇게 하고 싶지는 않다. 완전히 새로운 것을 생산하는 일, 창조는 번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과거의 어느 훌륭한 작품에서 영감을 받았거나, 모방을 했거나, 둘 다 아님에도 그렇게 비추어지는 것은 모두 괜찮다. 영감이건, 모방이건, 둘 다 아닌데 그렇게 비추어지건 간에 이후의 작품들은 이전의 작품과는 분명히 다른 개별성을 지니며, 온전히 개별적인 것으로서 그 가치를 평가받아야 한다.  

<악녀>의 액션은 훌륭했다 하지만. 안타까운 것은 액션으로 영화를 전부 설명하려 했다는 것이다. 배우 김옥빈이 남자 배우들도 쉬이 해내지 못하는 액션을 해내고, 그 액션이 이전의 영화들에서 그려진 여성 액션의 전형과 다른 남성적인 모습을 띄고, 여자 배우가 메인이 되고 남자 배우가 조연의 역할을 했어도 <악녀>는 ‘여성의 영화, 여성에 의한, 여성을 위한 영화’가 될 수 없다. 서사 때문이다.    

  

말했듯, 영화에서 숙희의 복수는 아버지를, 사랑한 남자를 위한 것이었고, 모성애에 의한 것이었다. 지금껏 주로 남성이 여성의 복수를 하던 설정이 여성이 남성의 복수를 하는 것으로 바뀌었다고 해서 여성의 주체성을 상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여성이 자신을 보호해주던 가부장을, 자신을 보호하고, 대신 복수해주고, 사랑해 준 남자를 위해 복수를 하는 것은, 그리고 여성의 모성애를 절대적인 것으로 인식하는 것은 오랜 역사 동안 여성에게 씌워져 있던 굴레의 존재를 깨우치지 못한 결과이기에 그렇다.     

사랑을 잃은 복수는 온전할 수 있을까. (사진 출처: 네이버 영화)
중상은. (사진 출처: 네이버 영화)

아쉬운 것을 덧붙이자면, 중상의 캐릭터에 대해서다. 영화에서 그가 정확히 어떤 위치에 서 있는 인물인지 알기 어렵다. 숙희와의 관계에서 특히 그렇다. 둘의 관계를 관객에게 설득할 만한 충분한 서사가 제공되지 못했다. 여러 걸음 양보해서, 사랑이 복수의 근거가 됨을 그대로 받아들인다 해도, 영화가 조합한 서사만으로는 숙희와 중상의 관계를 사랑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숙희는 악녀가 될 수 없다. 애초에 그녀의 복수는 그녀 자신을 위한 행위가 될 수 없었으므로. 그녀는 다만, 남성 또는 권력기관의 까닭 모를(영화에서 설명하고 있지 않으므로) 모사의 희생양일 뿐이었다. 악녀가 없는 <악녀>를 보며 나는 ‘저런 내공을 지닌 여성도 결국엔 남성에게 휘둘리고 마는구나. 실체가 있는 힘 따위는 역시 아무것도 도움이 되지 못 하는구나’란 생각을 할 따름이었다. 숙희의 마지막 미소가 무슨 의미인지 알 수 없다. 역시 설득력이 없는 미소다. 어쩌면 감독은, 여성을 이용하는 남성과 남성으로 상징되는 권력을 조롱하고자 한 것이었을까. 그랬다면 그것은 실패한 작전이다. 타성과 각성의 부조화를 여실히 드러낸. 

악녀가 되지 못한, 숙희의 뒷모습은 고독하다.(사진 출처: 네이버 영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