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염홍철 May 26. 2024

'서사의 위기'



  한국 대학에서 금속공학을 전공하고 독일에 건너가 철학, 독문학, 그리고 천주교 신학을 공부한 한국계 독일인 한병철 교수는 스페인의 대표적인 일간지 <엘 파이스>가 “세계에서 가장 널리 읽히는 살아있는 철학자”라고 극찬한 인물입니다. 그는 그동안 <피로사회>, <투명 사회>, 그리고 <고통 없는 사회> 등의 저서에서 사회적 병리 현상을 예리한 시각으로 파헤친 바 있으며 이번에 같은 맥락에서 새로운 책 <서사의 위기>를 출판하였습니다.


  한병철 교수는 <서사의 위기>에서 현대인은 스토리와 소셜미디어(SNS)에 중독되고 예속되었다고 화두를 던집니다. 저자는 자기만의 고유한 이야기를 빼앗긴 현시대를 ‘서사의 위기’라고 진단한 것입니다. 반짝하다 사라진 스토리는 어떠한 삶의 방향이나 의미도 제시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서사의 위기는 삶의 위기로 직결되지요. 저자는 인간은 한순간에서 다음 순간으로 이동하며 사는 존재가 아니며, “탄생과 죽음 사이의 삶의 전체를 연결하며 자신만의 맥락으로 나아갈 때 의미를 찾을 수 있다.”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길고 느린 호흡으로 나면의 이야기에 집중하는 시간은 사실상 없으며 경험과 생각들이 차곡차곡 쌓이지 못하고 정보로 그저 나열만 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 점과 관련하여 이 글을 쓰고 있는 저 자신은 많이 켕기고 있습니다. 저는 ‘아침단상’ 등 매일 글을 쓰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 자체가 문제의 근원이라고 생각하여 어떻게 태도 교정을 해야 하는지 많은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책을 빨리 읽고, 빨리 소화하여, 빨리 글을 써야 되기 때문에, 내면의 이야기를 깊이 발굴하고 내 자신의 이야기로 만드는 데에 소홀합니다. ‘넓고 얕은 지식’을 남발하고 있을 뿐입니다. 책을 세 권 읽는 것보다는 한 권의 책을 세 번 읽고, 더 많은 시간 동안 사색에 집중하는 것이 감흥을 온전히 느낄 터인데, 나 자신을 스스로 정보화하는 데에 더 익숙해지고 있는 것입니다.


  한병철 교수는 <서사의 위기>를 통해 우리 시대의 재앙이 무엇인지를 밝힘과 동시에 거기에 그치지 않고 해결책도 제시하고 있습니다. 서사의 회복만이 예측 불가능한 세계에서 불안에 떨지 않고 사는 방법이라고 강조하고 있는 것입니다. 남들이 하는 대로 공허하게 끌려가는 게 아니라 자신만의 맥락으로 고유한 인생, 다른 이야기를 만드는 삶인 것입니다.


  이 책에서 서사의 위기 극복 방법으로 ‘경청’을 강조하고 있지요. 상대방의 말을 사려 깊게 들어줌으로써 스스로 이야기하도록 이끈다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상대방으로 하여금 자기 자신의 소중함을 깨닫고 심지어 사랑받는다는 느낌까지 받게 된다는 것이지요. 즉 다른 사람의 말을 잘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서사를 회복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회복된 서사는 아픔을 치유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 저자는 발터 벤야민과 한나 아렌트 등을 인용하면서 치유를 증명하고 있습니다. 즉 발터 벤야민은 “환자의 병은 의사에게 증상을 이야기하는 데서 치유가 시작된다.”라는 것이고, 한나 아렌트는 “모든 슬픔은 이야기에 담거나 이야기로 해낼 수 있다면 견딜 수 있다.”라고 했습니다. 환자는 스스로 자유롭게 이야기할 때 치유된다는 것이지요. 그리고 삶은 이야기이고 이런 이야기에는 새 시작의 힘이 있으며 “세상을 변화시키는 모든 행위는 이야기를 전제로 한다.”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현대인에게는 이야기를 경청할 시간과 인내심이 없는 것이지요. 또한 길고 느리게 펼쳐지는 서사의 시간을 기다려주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효율이 오르지 않기 때문이지요. 마치 저의 독서나 글쓰기 습관처럼 말입니다.


작가의 이전글 인간의 존엄성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