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유나 Feb 02. 2024

'나'라는 십자가

모둠봉사를 하고 있는 마르코 성서모임의 교재에서 '나의 십자가'는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는 질문이 있었다. 이전에 내가 모둠원일 때 쓴 답을 보니, 그땐 엄마가 편찮으시고 돌아가시는 등등의 그 상황자체라고 적었던데. 그런데 이번엔 사뭇 다르게 적었다. 나의 십자가는 내 자신이라고.



요즘의 내 십자가는 나 자신인 것 같다. 십자가를 단순히 '힘들고 버겁고 하는, 부정적인 것의 덩어리', 사실 덩어리라는 한국어 표현보다 塊(かたまり, 카타마리)라는 일본어 표현이 왠지 머리에 먼저 떠 올랐는데, 어쨌든 십자가를 '부정적인 것의 덩어리'라고 생각하면 차마 나 자신을 십자가라고 말하진 못할 것 같다. 하지만 십자가는 부정적인 것을 의미하는 건 아니니까.


요즘 나에게 나 자신은 '잘 짊어지고 가되, 살살 달래가며, 앞으로의 발전가능성도 보이는, 언젠가는 내 삶으로 하여금 하느님께 나아갈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을 것 같은', 그런 집약체인 것으로 느껴진다.



최유나라는 나 자신을 데리고, 내 삶을 살아내는 게 사실 만만치는 않다. 나라는 인간은 적절히 현실감이 떨어져서, 왜인지는 모르겠으나 삶에서의 가치와 의미를 끊임없이 추구하려고 하고, 그것이 스스로 납득되어야만 행복하다는 생각을 하는 것 같다. 당연히 가치와 의미를 추구하기 위해서는 뭔가를 끊임없이 생각하고 고민하고 배우고 싶어하는데, 여기서 문제는 그 과정이 나에게 마냥 편하거나 즐겁지는 않다는 것에 있다. 이렇게 상반된 인간인 데다가 거기다 외부의 자극에도 예민하고 자신으로부터인 내부의 자극에도 예민하여, 나는 생각하는 것도, 뭔가 끄적이는 것도 많은 인간이다. 또 그럴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생각을 일단 밖으로 쏟아내야 내 마음이 평안한 수평을 맞출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많은 자극들을 잘 해석하고 분석하고 정리하는 과정이 있어야 나는 안정을 얻는 듯하다.



이런 인간인 나 자신을 다독다독하며, 어려운 과정을 지나 삶의 근본적인 가치를 찾기 위해 스스로를 격려하며, 행복하게 살아내는 건 나에게 참 십자가 같은 일이다.



그러나, 나라는 십자가를 들쳐 매고 앞으로 나아가다보면 언젠가는 하느님이라는 궁극적인 가치, 그 근처 비스무리하게라도 어디 즈음에 도달할 걸 알기 때문에, 그리고 그것은 내 능력이 아니라 하느님의 힘이라는 걸 알기 때문에, 나 자신은 스스로에게 어쩌면 고통이지만 희망이기도 하다.



오늘 미사를 집전하신 신부님의 강론과, 며칠 전 본인의 강론을 감사히 나눠주신 신부님의 말씀을 종합해 보면, '듣는 자'로서 하느님의 말씀을 겸손히 들을 준비를 하자는 것. 그런 의미에서 나는 나 자신이 십자가로 느껴지는 것이 어떤 의미에서는 감사하기까지 하다. 삶을 통해 나아갈 수 있을 것만 같아서.




덧 1.

성탄판공도 안 하고 버티고 있었는데 드디어 고해를 했다. 잘 오셨다는 신부님의 말씀이 감사했다.



덧 2.


건너건너 들은 이야기인데 어떤 분이 수녀님께 자꾸 귀신이 보인다고 했더니 수녀님이 그르셨단다. 하느님이 귀신보다 더 세고 성당이란 공간도 귀신보다 세니 걱정 말라고. 때로는 형이상학적이고 수사법 가득한 말보다 단순하고 일차원적인 말이 더 아름답게 느껴진다.





매거진의 이전글 신학에 대해 궁금한 마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