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캔두잇 Mar 04. 2022

러시아 디폴트 선언 시, 우리는 어떻게 대응할까

2010년 5월, 2011년 7월 그리스 디폴트 사태를 떠올려보자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5일 차,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은 러시아를 상대로 강력한 경제 제재를 가하고 있다. 특히, '러시아 스위프트 제재'라는 금융 위기는 금융 제재 중 가장 강력한 정책 중 하나이다. 본론에 들어가기 앞서, 스위프트란 무엇인가?

스위프트는 1973년 벨기에에 설립된 국제 송금·결제 시스템이다.
전 세계 200개국 1만 1000여 금융기관이 이용하고 있다. 빠른 국경 간 결제를 가능하며 해마다 수조 달러가 이 시스템을 이용해 송금된다.
스위프트에서 배제되는 국가의 경제적 손실은 막대하다. 러시아에서 타국으로, 타국에서 러시아로 송금 또는 지급이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달러 결제를 할 수 없어 수출이 막히고, 외환거래도 어려워지게 된다. 스위프트 퇴출이라는 제재를 받은 국가는 러시아, 북한, 이란입니다.
2017년 유엔(국제연합)의 대북제재 결의에 따라 스위프트 협회는 북한 은행의 스위프트 망 접근을 차단했습니다... 경제적 후폭풍도 만만치 않다. 우선 전쟁이 장기화된다면 해당 지역 내 원자재 공급이 절반가량 축소될 수 있고, 반도체 수급 등 글로벌 공급망 혼란이 야기될 가능성이 크다.  

위의 정의와 같이, 스위프트는 국제 금융 시스템의 핵심 시스템을 의미한다. 세계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수출입의 동조화가 이어진 지금 달러의 기축통화 영향력이 더욱 강해졌다. 러시아 또한 나라 간 무역을 할 때 달러를 사용하는 상황에서, 달러를 근간으로 한 스위프트 제재를 한다는 것은 한 나라의 금융을 마비시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의문이 들 수도 있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이 좀 더 장기화되면서, 러시아의 금융 시스템이 마비된다면 자칫 러시아의 디폴트 시나리오도 가능할 것 같다.


만약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에서 손해만 본 채 끝나게 되고, 더 나아가 상당한 부채를 짊어진 러시아가 디폴트 선언을 하게 된다면 우리의 자산은 어떻게 될 것인가?


역사적으로 볼 때, 국가적 '디폴트' 선언이라고 하면 2010년 5월, 2011년 7월 그리스 1, 2차 구제금융을 떠올릴 수 있다. 그리스의 디폴트 선언 당시 우리의 자산, 한국 주식, 미국 주식, 한국 국채, 미국 국채 중심으로 살펴보자


한국 주식 : 코스피 200 인덱스

2010년 5월, 그리스 1차 구제금융 당시 고점 대비 -10% 하락하였다. 직후 다시 고점 회복하다가, 2010년 7월 -5%로 한차례 더 하락하였다. 그리고 2011년 7월, 그리스의 2차 구제금융 및 디폴트 선언 당시에는 292포인트에서 220포인트까지 하락하면서 약 -30% 하락하였다. 그렇게 하락한 다음, 2017년이 돼서야 290포인트를 회복함과 동시에 300포인트를 넘었다.


미국 주식 : SPY(미국 S&P500 지수 추종 ETF)

2010년 5월에서 7월까지, 그리스 1차 구제금융 당시 전고점 121포인트에서 102포인트까지 약 -15% 하락하였다. 그리고 2011년 7월, 그리스의 2차 구제금융 및 디폴트 선언 당시에는 134포인트에서 112포인트까지 약 18% 하락하였다. 직후 2012년 2월, 134포인트를 회복하고 141포인트까지 상승하였다.


한국 국채 : Kosef 국고채 10년 ETF(한국 10년 물 국채 추종 ETF)


2010년 2월부터 7월까지, 한국 10년 물 국채금리의 하락 움직임이 보인다. 그렇게 7월까지 지속적으로, 국채금리가 하락한다. 그러다 2010년 10월부터 다시 국채금리가 상승하지만, 2011년 1월을 기점으로 계속하여 국채금리가 하락한다. 그러나 2011년 7월, 그리스의 디폴트 선언이 확정되자 다시 국채금리가 급락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미국 국채 : IEF(미국 10년 물 국채 추종 ETF)


한국 국채에 후행하여 2010년 3월부터 7월까지, 미국 10년 물 국채금리 또한 하락한다. 2011월 10월부터 국채금리가 상승하다, 2011년 1월부터 국채금리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9월까지 국채금리가 급락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러시아의 디폴트 선언 시 자산군의 특징과 대응


각 자산군의 특징을 다시 한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 주식 코스피 200 : 마이너스 10, 20, 30%를 오가면서 이슈가 나올 때마다 폭락이 지속되는 자산군

미국 주식 SPY : 한국 코스피 200과 마찬가지로 하락하지만, 좀 더 빨리 회복되는 자산군

한국 국채(10년 물) : 미국 국채보다 선행하는 경향이 있으면서 미국 국채 금리와 비슷한 움직임을 따라가 가격이 상승하는 자산군

미국 국채(10년 물) : 유럽 국가의 재정위기 사태로 경기가 침체된다는 기대감에 국채금리 또한 하락하면서, 가격이 상승하는 자산군


요컨대, 위 4개의 자산군으로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투자를 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한국, 미국 국채 금리 급락으로 인한 국채 가격 상승 차익 실현 후, 많이 하락한 코스피 200과 SPY 분할 매수하는 리밸런싱 전략이 가장 베스트 하다고 생각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한국 국채, 너의 정체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