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감귤선생님 Oct 27. 2020

성적이 낮으면 활발한 아이가 내성적으로 바뀔까

감귤선생님

  올해도 역시 남학생 반 담임을 하고 있다. 계속 여학생반 담임만 하다가 맨 처음 남학생반을 맡게 되었을 때 과연 잘할 수 있을까, 걱정했었는데 아들을 키우고 있어서인지 학생들 한 명, 한 명이 다 내 아들의 미래 모습같아서 더 정이 간다.


  남학생반 담임이어서 더 편한 것도 있다. 학기 초에 담임 상담을 하면 여학생의 경우에는 보통 길면 한 시간 넘게 상담을 하는 경우도 있는데 남학생들은 길어봤자 10분 정도이다. 어떤 질문을 해도 "네." 혹은 "아니오."라고만 대답을 하고 담임선생님에게 특별히 하고싶은말이 있냐고 물어보면 대부분 없다고 대답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떻게든 질문을 계속 하면서 학생들이 무언가를 말할 수 있도록 상담을 하고 난 뒤, 전에는 알지 못했던 한 가지 사실을 알게 되었다. 바로 성적과 성격의 비례관계이다.


  교실에서 조용해 보이는 많은 남학생들이 사실, 초등학교때에는 운동도 잘 하고 활발해서 반장같은 임원 활동도 했을뿐만 아니라 소풍같은 체험활동을 했을때 굉장히 주도적으로 참여했다는 걸 알게 되었다. 하지만 문제는 고등학교에 올라와서 시작되었다. 초등학교에서부터 중학교때까지 적당히 학교 공부를 해 왔던 학생들은 자신보다 더 열심히 공부에 매진한 학생들과의 격차를 뼈져리게 느끼게 된다. 


  전에는 운동도 잘하고 활발해서 교우관계도 좋았던 아이들이 고등학교에 올라와서 맞닥뜨린 '공부와 성적'이라는 너무나 높은 벽에 부딪히게 되면서, 그 벽을 뛰어 넘기 위해 제대로 노력도 해 보기 전에 벌써 '공부못하는 아이'로 낙인이 찍혀버리기 때문이다. 결국 아이는 교실 뒤에 조용히 앉아 있는, 조용하고 내성적인 학생이 되어버린다. 다양한 대학교 학과 체험 프로그램들 조차도 공부를 잘 하는 상위권 학생들에게 기회가 더 주어지고, 생물에 관심이 있어서 관련 동아리를 신청했다 하더라도 의예과를 가기 위해 같은 동아리를 신청한 상위권 학생들과의 면접에서 밀려 원치 않는 동아리에 들어갈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조용히 교실에 앉아있는 아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더 조용해지고, '활발하고 운동을 좋아하면서 인기가 많았던'이라는 말은 예전 자신의 모습을 표현하는 과거형이 되어버린다.


  상담을 통해 본 많은 남학생들의 모습을 보고 씁쓸함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다. 운동을 잘 해도, 미술을 잘 해도, 혹은 악기 연주를 잘 해도 학교 성적이 좋지 않으면 아이는 움츠려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위에서 열거한 아이들의 상황이 학생들 대부분의 모습은 아니다. 어떤 학생들은 비록 공부는 못하지만 초등학교때부터 꾸준히 해 오던 운동을 고등학교에 올라와서도 열심히 하고 있으며, 친구들과의 관계도 좋다. 비록 성적이 낮아서 상위권 위주의 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는 없지만 '김장 담그기'나 '연탄배달'같은 봉사활동에 꾸준히 참여하려고 노력한다. 예전에 내가 가르쳤던 한 학생은 성적이 낮은데도 불구하고 고등학교 3년 내내 엄마와 함께 주말마다 지역아동센터에서 꾸준히 봉사활동을 해서 엄청난 봉사 점수와 경험을 바탕으로 상위권 대학에 합격한 적이 있었다. 이런 학생들의 이해자료카드 속 자기소개란을 보면 '화목한 가정에서 자랐으며~', '능 긍적적이신 부모님 밑에서~', '항상 저를 믿어 주시는 엄마~'라는 구절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내 아이가 공부를 못 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밝고 긍정적으로 학교 생활을 보낼 수 있다. 그 비결은 바로 부모에게 있는 것이다.


  내가 맨 처음 교사 발령을 받았을 때 영어 수업을 받던 한 여학생이 있었다. 그 학생은 어머니와 단 둘이 살고 있었는데, 내가 살고 있는 아파트의 계단을 청소해주시는 분이 학생의 어머니란 것을 나중에 알게 되었다. 저소득층 가정인 그 학생은 정부로부터 지원금을 받고 있었지만 학급 반장을 맡고 있었으며 수업 중에 다양한 활동에 활발하게 참여하는 모범적인 학생이었다. 그런데 공부를 잘 하지 못했다. 

"사실, 중학교때 친구들하고 많이 노느라 공부를 못했어요. 이젠 열심히 하고 있어요."

라고 말한 아이는 정말로 열심히 공부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4년제 대학교조차 가기 어려운 성적이었던 그 학생은 고3때 정시로 지방 국립대 국어교육과에 합격했으며, 지금은 국어교사에 임용되어 아직도 나와 연락을 주고받고 있다.


  또 다른 학생 역시 저소득층 가정의 아이었는데, 아버지가 아프셔서 집에서 요양중이었고 어머니 혼자 식당 일을 하시면서 간신히 가정을 꾸려나가고 있었다. 그 학생 역시 학급의 반장이었고 항상 밝고 긍정적이었다. 하지만 공부는 잘하지 못했다. 영어 공부 방법에 대해 나와 상담하면서, 

"정말 열심히 해서 학비가 싼 국공립대에 갈거에요."

라고 말했는데, 학교생활이 힘들때마다 집에 계시는 아버지와 많은 대화를 나눈다는 말도 했다. 하지만 노력한 만큼 크게 성적이 오르지 않았고, 결국 학비가 비싼 지방 사립대에 들어갈 수 밖에 없었다. 졸업식때 학생은 나에게 이렇게 말했다.

"열심히 공부해서 장학금을 탈 거에요. 아르바이트도 해서 용돈에 보탤거에요."

그 학생이 지금은 어떻게 지내고 있는지 알 수 없지만, 늘 긍정적이고 자신을 믿어주는 가족이 있기에 어떤 어려움도 잘 헤쳐나갈 수 있을거라 믿는다.


  내 아이가 공부를 못할 수도있다.

하지만 부모인 내가 아이에게 어떻게 대하느냐에 따라 아이가 밝고 긍정적으로 학교 생활을 할 수도 있고, 소극적이고 자신감없는 태도로 학교 활동에 소외된 채 지낼수도 있다. 

열쇠는 바로, 부모가 쥐고 있는 것이다.




                                                          자녀 교육의 핵심은 

                                                    지식을 넓히는 것도 아니고 

                                                   출세하는 것도 아니다.

                                                  단지 자존감을 높이는데 있다.

                                                                -톨스토이-














이전 11화 실패라는 수레바퀴에서 빠져나오기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