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엘레인 Sep 30. 2021

The Third Space, 제3의 공간

호주에서 열린 나의 큐레이팅 전시회를 한국어로 번역하다. 

큐레이터의 전시회 소개글

예술은 모든 문화가 본질적으로 다양하며 혼종을 통해 번성한다는 것을 나타내어주는 가장 좋은 증거이다. 호주에서 온라인으로 열리는 전시회인 '제3의 아름다움'은 아시아에서 이주하거나 아시아 배경의 가정에서 성장한 호주 예술가들의 자전적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전시회는 현대 미술이 아시아와 호주의 문화적 혼종성의 변화하는 경계와 맞물리는 새로운 방식을 아시안 이민자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서 탐구한다. 


호주에 살면서 이민자들은 일상생활의 일부로 문화적 교류와 갈등을 삶에서 경험한다. 아시아 배경의 호주 예술가로서 그들은 운 좋게도 다양한 문화와 교류할 수 있었지만 그 다양한 문화로 인해서 때론 충돌을 경험했어야 했고, 이 경험들은 호주에서의 그들의 삶과 정체성에 영향을 끼치기도 했다. 


영국의 철학자 호미 바바의 '문화의 위치'에서 언급하고 있는 문화적 혼종성은 여러 정체성과 다양한 문화가 혼합되는 현상이다. 이것은 다양한 문화의 만남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문화적 정체성을 의미한다. 


이 전시회에서의 예술가들 또한 아시안 백그라운드를 가진 이민자로서 정체성은 호주와 아시아에 대한 개인적 경험과 교류를 통해 문화적 혼종성을 경험한다. 이들 예술가들은 때론 충동되는 자신들의 정체성의 측면을 탐색하기 위해 그들 자신을 위한 새로운 문화 공간인 호미 바바가 언급한 제3의 공간을 구축했다. 그들은 정체성에 대한 도전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의 혼성화된 심리적, 문화적 구조를 예술을 통해 인정하고 이해하려고 한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들은 각자의 경험을 다양한 매체와 기법을 활용한 작품으로 표현한 그들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공간인 제3의 공간을 탐색한다.


이 작품들은 '예술을 위한 예술'을 선택하고 창작 과정에만 집중하기보다는 다문화 사회에서 작가들의 경험을 통합하고 각자의 관점을 전달하고 있다. 이 전시회는 이민자 배경의 호주 예술가들에게 문화적 혼종성이 다른 문화 간의 상호 작용을 자극하여 창의성을 풍부하게 하고 새로운 사회적 가치를 전달하는 보람 있는 과정을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3의 아름다움의 개념을 관객들에게 친숙하게 하고 인종갈등과 차별에 대한 거부감을 전달하고자 하는 염원이 관객들에게 전해진다면 그것만으로 이 전시회는 충분히 가치 있을 것이다. 호주의 다문화 사회에서 살아가는 사회적 도전을 극복하고 혼종 상태를 인정하고 수용함으로써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을 의미하며, 문화적 혼종성의 창조적 잠재력을 강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이 전시는 다른 문화와 그들의 변화하는 가치에 대한 개방적인 태도를 추구하는 성장의 감각을 번역한다. 


- 큐레이터, 김혜령 Elaine Kim


https://kudos-online.com/KUDOS-ONLINE-1




Annie Areum Shin 신아름 

Hand Thoughts: Journals of tucking my mind into repose, 2020

신아름은 호주 시드니에서 활동하는 한국계 호주 작가이다. 그녀는 2020년 호주 블랙타운 아트 프라이즈(Blacktown Art Prize)의 2등 수상자이기도 하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UNSW,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에서 심리학과 미술을 복수 전공한 신아름 작가의 작업은 '나를 위한 예술'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개인의 미학적 선택과 정신 상태의 기저에 깔린 심리적 과정과 프레임워크를 설명한다. 예술 작품을 통해 그녀는 내면의 불안, 응용 심리학의 의미, 그리고 그로부터 태어난 자아의 파편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신아름 작가는 자신의 정신적 공간과 그 안에서 펼쳐지는 대화를 모방하기 위해 회화, 조각, 설치 전반에 걸쳐 추상화, 물질성, 콜라주를 탐구한다. 


위의 작품인 손 생각(Hand Thoughts) 작품 시리즈는 자기 자신에게 '친절'한 행위를 실천하기 위한 은유로 신아름 작가가 자신의 손으로 만든 도예 작업 과정을 탐구하는 '손으로 만든 조각 일기 시리즈'이다. 이렇게 손으로 만드는 작품을 만드는 과정은 신아름 작가에게 삶과 존재에 대한 불안에서 비롯된 부정적인 생각을 멈추게 한다. 신아름 작가의 어린 시절 정체성이 호주에서 성장하는 동안에 변질되고, 상실되고, 병합되고, 새로운 정체성으로 덮어 쓰이면서 그녀의 내면에는 내부 갈등이 있었다. 신아름 작가는 이러한 예술 작업 활동을 통해서 그녀를 먹어치우려는 혼종화 된 그녀 자신의 자아 내에서 그녀를 괴롭게 하는 부분들을 멈추고, 고치고, 대처하려고 했다. 이러한 예술 작업 활동을 하는 동안 신아름 작가는 그녀를 걱정하게 하고, 마음을 불안하게 하는 것들을 내쫓을 수 있었다. 그녀의 손은 그녀를 대신해서 '걱정'을 하고, 무의식적으로 그녀의 작품에 그것을 표현하고 반응한다. 그녀의 작품들은 자기 연민을 실천하는 주요 구성 요소를 모방한 '손 생각' 작품 시리즈는 그녀의 내면적 불안을 외부로 몰아내 주는 물리적 압력이다. 


이 작품들은 자기 연민을 시도한 신아름 작가 자신을 나타내고 있다. 신아름 작가는 대학교 미술 스튜디오에서 버려진 재활용 흙들을 통해 원치 않았던 자아와 생각의 파편을 형태로 만들고, 그녀의 내면적 불안과 치유에 대한 과정을 작품으로 탄생시켰다. 그녀의 '손 생각' 작품 시리즈는 호주에서 살아가는 아시아계 예술가의 지속적인 투쟁과 변화하는 정체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안에 대처하는 이정표를 나타낸다. 



Dilara Niriella 딜라라 니리엘라

“Sneakers and Sari” (2021, Oil on Wooden Panel, 30cm)

딜라라 니리엘라는 호주 시드니에서 활동하고 있는 유망한 젊은 작가 중의 한 명이다. 딜라라는 호주의 뉴사우스웨일즈 대학교(UNSW,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에서 우등 미술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호주의 가장 큰 미술 공모전 중 하나인 아치볼드(Archibald Art Prize)에서 어린 아치(Young Archies)로 2016년에 대상을 받았었다. 호주의 채널 7(Channel 7)의 어린이 예술 쇼인 갯 아티"Get Arty" 시리즈에 발표자로 출연했었다. 그녀는 사진, 조합 등을 통해 여러 가지 방법과 다양한 관점으로 그림을 그린다. 예술 작품을 제작하기 위해 이러한 혼성화 된 그녀의 접근 방식은 매체 간의 구분을 흐리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녀가 작품에서 추구하는 것은 그녀의 작품을 보는 관객들로 하여금 친숙함과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운동화와 사리"(sneakers and sari)라는 제목의 자화상은 스리랑카 태생의 호주인으로서의 정체성의 혼종성을 탐구하려는 딜라라의 시도이다. 호미 바바는 '문화의 위치'라는 책에서 혼종성을 언급하는데, 딜라라는 호미 바바의 이론에 따라 '혼성화'를 새롭고 이질적인 요소의 끊임없는 문화적 혼합으로 바라본다. 딜라라의 작품은 현대 시대에서 살아가고 있는 스리랑카 여성을 묘사하며, 그녀를 호주의 식민지 시대 이전의 정체성과 식민지 개입을 통해 생성된 정체성의 혼합물로 식별한다. 



Dylan Goh 딜란 고

Porpor and I: the interview   2020   Single-channel video, looped stop motion, audio; 6:29

딜란 고는 호주에서 활동하는 아티스트 겸 큐레이터이다. 딜란의 작품은 다학제적 실천(설치, 공연, 도자기 등등)은 스토리텔링이 포함되어 있는 문화적 내러티브를 표현한다. 아시아계 호주인으로서의 개인적 경험을 작품에서 이야기하면서 딜란은 사람들 사이에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그의 지식과 경험을 전달하기 위해 이야기를 교환한다. 


딜런은 2020년에 한국의 뉴 콜롬보 플랜 펠로우쉽(New Colombo Plan Fellowship)을 수상했으며, 큐레이터로서도 팬데믹 기간 동안 음식, 기억 및 문화 간의 연결을 증폭시키는 온라인 전시회인 "#식사는 딜런과 함께"(#mealtimewithdilly)를 기획했다. 딜런은 현재 호주 시드니 파워 하우스 박물관(Power House Museum)에서 아시아 파트의 예술 큐레이터에게 멘토링을 하고 있으며, 그는 시드니 현대 미술관(MCA, Museum of Contemporary Art), 시드니 시청, 킬른잇 세라믹 스튜디오(Kil.n.it Experimental Ceramics Studio), 뉴사우스웨일즈 대학교(UNSW Art & Design), 4A 아시안 현대 미술 센터(4A Center for Contemporary Asian Art)에서 큐레이터, 방문자 서비스 및 교육 역할을 담당했다. 


그의 작품 포르포와 나: 인터뷰(Porpor and I: the interview)는 6분 29초짜리 인터뷰 형식의 비디오이다. 

이 인터뷰는 중국의 단오절(龙船节) 당일에 할머니(婆婆), 엄마(媽媽), 딜런(我) 사이에 있었던 전화 통화를 회상한다. 이 비디오 인터뷰 속에서 호주에서 태어나 중국어를 잘하지 못했던 딜런은 중국에 계신 할머니와 인터뷰를 계속하기 위해 통역가로 어머니에게 도움을 받았었다. 


단오절은 중국에서 일반적으로 찹쌀에 재료를 넣고 대나무 잎으로 싸서 먹는 종쯔(粽子)를 먹기 위해 가족들이 모이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코로나로 인해 호주와 중국의 국경이 막혔으며, 많은 것들이 제한됨에 따라서 딜런의 조부모님 집에서 16명의 가족들이 함께 모일 수가 없었다. 


비디오의 반복되는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은 종쯔를 감싸고 묶는 딜런의 어색하고 힘든 과정을 보여준다. 딜런의 할머니는 가족들에게 각자 30개 이상을 만들라고 말씀하셨다. 처음에는 영상의 그림이 희미하게 보이고 가려졌지만 종쯔는 가족들과 이야기를 하면 할수록 더 선명해진다. 그 이야기 속에는 딜런의 할머니의 어린 시절 이야기와 사탕수수 물을 만드는 9단계의 과정들, 그리고 금요일 저녁 식사에서 종쯔의 개수를 세고 있는 할아버지가 있었다. 


이 인터뷰는 폐쇄와 의사소통의 부적절에 대한 지속적인 좌절에 대한 딜런의 냉정한 일기장이다. 그것은 세대와 함께 그의 뿌리 같은 언어가 호주에 이민 옴으로써 소멸된 과정, 사랑의 매개체로서의 음식, 그리고 현재의 고립 상태에 대처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Emma Rani Hodges 엠마 라니 호지스

'Even further off', 2020. 250cm x 300cm x 30cm

엠마 라니 호지스의 작업은 호주의 탈식민주의 및 페미니스트로서의 작업을 통해 태국, 중국 및 호주의 혼합 역사를 탐구한다. 엠마의 작품은 백인들이 지배하고 있는 호주의 지배적인 문화 담론에 소외된 소수의 목소리를 삽입하며, 이방인으로서의 개인적 경험을 삽입한다. 엠마의 작품들에는 다양한 매체의 재료들과 텍스트를 찾을 수 있으며, 그녀의 작품 스타일은 쉽게 하나로 결정을 내릴 수가 없다. 엠마는 조화롭지 않은 재료(회화, 직물, 그 밖에 다양한 생활 속에서 발견한 재료들)를 결합하여 그녀의 DNA 속의 다민족 정체성을 나타낸다. 그녀는 "두 세계 사이에 끼어져 있다"라는 이민자의 관점을 보여주고 있다. 


엠마는 호주로 이주하는 과정에서 남겨진 문화적 역사의 측면에서 그녀의 작품을 시작한다. 그녀의 작품은 태국에서 양장사였던 할머니가 엠마에게 준 천 조각으로 구성된다. 엠마의 각 작품은 잃어버린 문화, 언어 및 장소에 대한 연결을 다시 재건하려는 그녀 어머니의 갈망과 열망을 묘사하는 시적인 텍스트의 일부를 작품에 사용한다. 즉, 그녀 어머니가 그리워하는 태국 고향에 대한 마음을 딸인 엠마가 그녀의 작품에 표현해냈다. 


엠마에게 이 작품 시리즈는 혼합된 그녀의 문화적 정체성과 문화적 뿌리 없는 느낌을 탐구하는 상징적인 공간이다. 그녀는 호주의 갤러리에서 작가로서 이러한 작품을 구성함으로써 제도적 맥락 내에서 문화적 다양성을 위한 공간을 개척하고 스토리텔링이 문화적 의식을 구축하는 가장 오래된 형태 중 하나라고 말한다. 



Hansul Park 박한슬

10-Feet of Penetration (2020)

박한슬은 호주 시드니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한국계 호주 예술가이다. 박한슬 작가는 호주 시드니 대학교(Sydney College of the Arts)에서 시각 예술 우등 과정을 공부하고 있다. 2015년 Moran Contemporary Photography Prize에서 준결승에 진출했고, 2019년에는 Favuette Loureiro Memorial Artists Exchange Scholarship을 받았다. 


그녀의 예술적 실천은 세계화라는 현대적 맥락 내에서 디아스포라, 정체성 및 혼성 성에 대한 아이디어를 탐구하고 있으며, 이민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에서 비롯된다. 그녀는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궁극적인 답을 찾기 위해 이민자로서 개인의 정체성 위기를 작품에 반영한다. 박한슬 작가는 사진, 조각, 동영상, 설치 등의 영역을 넘나들며 그녀의 하이브리드 정체성에 대한 지속적인 탐구를 작품을 통해 진행하고 있다. 


내 뿌리는 어디에서 시작되었습니까?
지금은 어디에 있습니까? 어디로 가는 걸까요?


생명의 근원이자 지속 가능한 근원인 뿌리는 그 아래에 조용히 조용히 남아 그 흔적을 숨긴다. 하지만 가시적 존재가 모든 이목을 집중시킨다. 


세계화 시대에 현대 사회는 새로운 기술로 빠르게 혁명을 일으키고 있다. 그것은 초월적으로 지구 표면의 인구, 정보 및 가치의 흐름과 양을 강화했다. 더 많은 자유를 누리기 위해 고국을 떠나는 사람들이 더 많이 있다. 이민 온 사람들은 주관성과 경계선의 위치가 불안정하여 소속감에 불안한 영향을 미친다. 


그녀의 작품 10피트의 관통'10-Feet of Penetration'은 '이것도 저것도 아닌, 저것도 아닌' 상태인 '나'에 대한 작가의 정체성 위기와 질문에 대한 자기 탐색적 작업이다. 혼돈과 모호함의 감정을 자아가 되는 과정의 자연스러운 부분으로 승화시키기 위해 박한슬 작가 본인의 혼성적 정체성과 형이상학적 문화적 중간성을 정당화하는 행위이다.


한국 정신의 은유에서 영감을 받아 민들레의 뿌리를 활용하여 하이픈(귀화라는 뜻)으로 연결되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작가의 정체성을 나타낸다. 박한슬 작가의 작품에는 알 수 없는 뿌리와 실의 종류와 색깔이 뒤섞여 혼돈을 불러일으키며 불안정하고 위험하며 불확실한 “여기에도 없다”의 혼성 지대를 떠도는 이주자로서의 자신의 '중간성'을 드러낸다. 

거기도 아니야.

박한슬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하이픈으로 연결된 자신의 정체성을 '혼종성(hybridity)'으로 재해석하고자 한다. 급변하는 세상 속에서 끊임없이 자신의 정체성을 협상해야 하는 현대인에게 그녀는 현대인의 공통 관심사인 '정체성 위기'를 제시하며 초국가적 연대를 주장한다. 영국의 문화 이론가인 호미 바바(Homi Bhabha)는 권위의 '순수'와 '원래' 정체성을 확보하는 차별적 정체성 생산의 전략적 반전으로 '혼성화'를 본다. 불확실성과 모호함을 혼종성의 혁신적인 기호로 표현함으로써 작가는 자기 문제화에서 벗어나 끝없는 생산을 하는 내면과 외면의 다중성, 다양성을 포용할 수 있다.



Hyun Hee Lee 이현희

Early Spring_2018_acrylic on canvas_168 x168 cm

이현희 작가는 호주의 국립 미술 학교(National Art School)에서 우등 미술 학사 학위를 받았다. 또한, 그녀는 2010년 Bird Holcomb Foundation Honors Fine Art Scholarship을 수상했다. 2015년에는 시드니의 뉴사우스웨일즈 대학교(UNSW,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Art and Design)에서 순수 미술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녀는 2012년 중국 베이징 레드 게이트 레지던시와 2013년 국립 미술 학교의 프랑스 파리(Onslow/Storrier La cite International des Arts Paris)에서 레지던시를 포함하여 많은 레지던시를 수상했으며 뉴사우스웨일즈 대학교(UNSW)에서 미술 장학금을 받았다. 이현희 작가는 2012년 블레이크 상(Blake Prize)과 2013년 존 코번(John Coburn) 신진 작가상을 수상했으며, 2014년과 2018년에 JADA에서 수상했다. 그녀의 작품은 호주의 수많은 National Art Awards 및 Prizes에 선정되었다. (Rookwood 2021, Dobell Drawing Prize #21, Hazelhurst Art on Paper Award, Adelaide Perry Drawing Prize, Fisher's Ghost Art Award, Sunshine Coast Art Prize 및 KAAF Art Prize.) 이현희 작가는 다수의 개인전과 그룹전에 참여했었는데, 그녀는 호주 시드니의 아트리얼 갤러리(Artereal Gallery)와 한국 서울의 카라스 갤러리(Kara's Gallery)에서 소속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이현희 작가는 한국과 서양의 전통 예술을 넘나드는 작업을 하는 한국계 호주 작가이다. 그녀는 아시아 디아스포라의 일부로 한국에서 호주로 와서 문화적, 정서적 이재 감을 경험했다. 이민자로서 일반적으로 접하는 이러한 감정은 그녀가 호주로 이주하기 전에 그녀의 삶을 형성한 문화에 예술로서 연결하는 방법을 탐구하도록 한다. 그녀는 자신의 예술을 통해서 자신이 태어난 국가와 정신적, 문화적 연결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것은 그녀의 예술 활동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원동력이다. 그녀의 작업은 한국인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의식과 관습을 탐구함으로써 그녀의 가족 및 한국 문화와의 연결을 구축하는 수단을 탐구한다.


그녀는 자신의 경험의 렌즈를 통해 전통적인 종교의식, 문화적 관습 및 관습을 현대적 맥락에서 재창조하고 재 맥락 화함으로써 이를 달성하고, 그 구성에서 명상적이고 의례적인 지속적인 작업 과정을 만든다. 그녀의 예술은 쓰기, 회화, 설치의 전통적인 구분을 모호하게 하지만 선, 규모, 색상 및 매체의 조합을 통해 그녀는 자신의 소스 재료로 사용하는 일기와 일기의 페이지에서 드러난 감정을 웅변적으로 표현한다. 



James Teng 제임스 탱

‘Ancestors’ (2021)

제임스 탱은 호주의 뉴사우스웨일즈 대학교(UNSW,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에서 디자인을 전공했다. 그는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이자 디자이너로, 서양 및 아시아 대중문화를 작품에 참조한다. 제임스는 호주에서 태어나 전통적인 중국 가정에서 자랐다. 그래서 그의 예술은 민속과 중국 대중문화, 종종 집안 곳곳에 흩어져 있는 이야기를 탐구한다. 제임스의 본가는 중국에서 오페라의 도시인 톈진에 있는데, 어린 시절부터 경험했던 중국 오페라 공연을 통해 경극 스타일과 중국의 전설을 많이 접할 수 있었다. 경극에서 접한 중국 특유의 대담한 색채와 다양한 스토리들은 그의 작품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제임스는 손으로 그린 모티프를 통합하고 CAD를 통해 조작하고 구성하는 뉴 미디어(New Media) 아트 작업을 한다. 대중문화를 멀티미디어와 반복해서 연결하는 것은 그의 작업에서 찾아볼 수 있는 제임스 특유의 특징이다.


제임스의 작품, 조상(Ancestors)은 중국 경극의 대표적 아이콘인 징이 수염을 쓰다듬고 관객을 내려다보고 있는 여러 이미지를 묘사한 뉴미디어 아트이다. 중국 오페라에서 징의 표현은 색상, 메이크업 및 성능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큰 힘이나 열정을 가진 남성의 모습을 나타낸다. 남성주의의 상징인 징은 중국의 가부장제와 막혀있는 아시아 문화, 특히 서구적 관점에서 혼란스럽고 변하는 남성성의 기준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남성을 기본적으로 퀴어라고 정의하고 있는 제임스는 중국 오페라와 관련된 작업 전반에 걸쳐 여성적이고 남성적인 표현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작품 자체는 '남자다운 남성'의 압도적 선전을 묘사하고, 작품의 구성과 제목인 '조상'은 두려움과 순응에서 남성성에 대한 전통적인 관점을 유지하는 문화적 중요성을 묘사하고 있다. 제임스는 사회에서 제시한 남성다움의 환상을 제시하고, 징은 오로지 공연을 위해서만 존재한다. 



Jana Ortanez 자나 올타네즈

Ebb and Flow, 2021 Acrylic on canvas 30 x 40cm

자나 올타네즈는 호주에서 작업하는 필리핀-호주 예술가이다. 최근에 뉴사우스웨일즈 대학교(UNSW Art & Design)에서 우등 미술 학사를 마친 자나의 작품은 공동체와 문화의 여러 공간에 존재하는 경험을 전달하기 위해 콜라주와 추상화를 사용한 자화상을 통해 디아스포라 정체성의 개념을 다루고 있다. 현재 그녀의 예술 활동은 회화에서 유색인종 여성의 표현에 대한 비판을 탐구하고 여성의 신체가 묘사되는 방식을 기존의 사회적 시각과 다르게 제시하고 있다.  그녀의 작업은 역사적으로 서구의 가부장적 재현 도구로 존재하는 매체로서의 회화의 개념을 재구성한다. 자나의 작품 밀물과 썰물(Ebb and Flow)은 예술에 대한 불확실성과 헌신에서 발산되는 그녀의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이 작업은 완전히 추상화에 의존하여 미학적, 개념적으로 그녀의 작업 내에서의 변화를 나타낸다. 부드러운 팔레트를 통해 작품 안에 레이어링 된 자신의 신체에 대한 암시와 함께 형태와 색채의 거칠고 선명한 대비를 대조한다. 이러한 그녀의 성찰은 예술 제작 과정을 지배하며 자기 비하와 그녀의 작업에 대한 자기 인식 개발 사이의 경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생각은 필리핀-호주 이민자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그녀의 경험과 매우 유사하다. 


자나는 그녀의 초기 작품들에서 아시안 이민자자가 아닌 다른 렌즈를 통해 자나 자신이 정의되고 보이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작품에서 그녀의 뿌리에 대한 문화적 정체성을 표현하는 것을 피했었다. 그녀가 이민자로 자라면서 '호주' 관습을 받아들이고 받아들이고자 하는 불안에서 비롯된 것임을 아는 것은 그녀의 작업에서 방해가 된다고 자나는 생각하기도 했었다. 자나는 자신의 배경과 유사하지 않은 작업을 만들려고 했었지만 정체성에 대한 언급을 피하려는 이러한 결정은 무의식적으로 그녀의 작업을 알리기 위해 자신의 역사를 참조하는 것임을 깨달았다. 그녀의 고유한 정체성에 대해 창작하는 것과 문화에 대한 언급이 완전히 없는 작품을 만들고자 하는 것 사이의 갈등을 초래했으며, 식민지 정신과 서구 관습에 굴복한다는 개념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녀는 자신과 자신의 관행에 반하는 행동에 적극적으로 맞서고자 하는 식민적 사고방식을 더 깊이 들여다보면서, 더 이상 자신의 감각을 거부하지 않기 위한 단계로 자화상을 탐구하기 시작했다. 추상화, 레이어링 및 콜라주 작업을 통해 복수성과 정체성의 혼종성을 묘사하는 수단으로 작업하기로 그녀의 결정은 역사적으로 서구의 가부장적 예술 도구인 회화를 재정향하여 여성의 신체 표현에 도전하는 데 한몫했다. 



Jayanto Tan 자얀토 탄

1.    Drawing On The Ashes (double happiness), 2021   ceramic, ash from the temple, variable

호주의 국립 미술 학교(National Art School)에서 미술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은 자얀토 탄의 작품들은 수많은 호주의 아트 프라이즈에서 선정되었었다. (Churchie emerging art prize 2021, 66번째 Blake Prize, Incinerator Art Award 2020-2021, Sculpture at Sawmillers McMahons Point, HIDDEN Rookwood Sculpture Walk, Fisher’s Ghost Art Award). 자얀토는 버지 갤러리(Verge Gallery), 퍼스트 트레프트(Firstdraf), 호주-중국 미술 협회(Australia-China Institute for the Arts)에서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4A 아시안 현대미술 센터에서 그룹 전시회에 참여하였다. 자얀토는 또한  11번째 그린웨이 아트 프라이즈(11th Greenway Art Prize)와 2021년 시드니 이스터 쇼(Sydney Easter Show)에서 수상하기도 하였다. 그는 예술 보조금을 지원 받기도 하였다.(시드니 시, Diversity Arts Australia, Create NSW, Australia Council, Northern Beaches Council, Inner West Council, City of Parramatta and Nava Artist’ Benevolent Fund)


자얀토 탄은 시드니에 기반을 둔 시각 예술가로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의 작은 마을에서 기독교인 어머니와 광동 도교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빈곤과 정치적 억압에 대한 생생한 경험을 바탕으로 자얀토의 예술은 동양과 서양의 신화를 현실과 혼합한다. 그는 그의 디아스포라의 정체성을 도예, 설치 및 퍼포먼스를 통해 '타자성'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으로 표현한다. 자얀토는 일상생활에서 음식을 제공하는 의식을 수행하는데 참여하는 가족 전통과 관련해서 자신의 작품을 만든다. 자얀토의 이 도자기 작품은 COVID-19 락다운 기간 동안 가족 및 친구들과 대화하는 동안 만들어졌다. 인종 차별에 대한 공격, 성 정체성, 이민자의 삶과 이주 및 가족 내러티브를 탐색하는 이러한 대화들은 도자기 음식으로 표현된다. 과거에서 현재, 트라우마에서 치유에 이르기까지 다문화적인 호주에서 공생의 다양한 미래를 제안하는 일상적인 의식으로 제공된다. 



Jungmin Lee 이정민

Lotus Lantern on night sky (acrylic on canvas 30*40)

이정민은 한국 태생의 호주 예술가이다. 이정민 작가는 호주 시드니 대학교(Sydney College of Art)에서 시각 예술 학사를 마쳤다. 그녀의 작업은 현재 혼합 매체를 사용한 아크릴 페인팅을 기반으로 한다. 그녀는 금속 물체를 작품에 섞는 것을 좋아하며, 금속의 고유 빛나는 효과를 그녀의 작업에 결합한다. 이정민 작가는 그리움과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경험의 개념을 작품에서 추구하며, 경험의 기억과 감각을 기괴하고 신비로운 방식으로 작품에 반영한다. 이정민 작가는 추상적이고 초현실적인 방식으로 일상의 의미와 새로움을 표현하고 탐구하는 시각 예술가의 시작 여정을 즐기며, 서정적인 소재로 사람들에게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것을 작품의 목표로 삼고 있다. 


한밤중에 반짝이는 달빛과 반짝이는 호수가 있는 이 작품은  몽환적인 표현으로 이정민 작가의 작품 속에 나타난다. 이 고요하고 멋진 장면은 작가 본인 마음속에 있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추억이 고스란히 나타나고 있다. 이정민 작가는 우리가 꿈꾸는 이 초현실적인 순간은 우리 모두가 살고 있는 다양하고 복잡한 문화 사이의 또 다른 장소라고 말한다. 어쩌면 이곳은 이정민 작가만의 제3의 장소일 수도 있다. 



Linda Sok 린다 속

Salt Water Deluge details  Dimensions: H 260 x W 330 x D 80cm  

린다 속은 현재 보스턴에 거주하고 있는 캄보디아-호주 예술가이다. 정치적 문제로 린다의 가족들은 캄보디아를 떠나야 했다. 그렇게 이주해서 온 호주에서 린다의 작품은 캄보디아 디아스포라에 내재된 트라우마의 복잡성을 탐색한다. 그녀의 작품은 캄보디아 대학살의 상처와 아픔을 초점에 맞췄지만 치유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화적 대상, 의식, 전통 및 그 중요성에 대한 신중한 고려와 함께 그녀의 작업은 종종 조각 설치에서 나타난다. 과거의 조각들의 파편에 접근함으로써 그녀는 잃어버린 전통과 문화를 재 맥락 화하여 현시대에 살아 있는 캄보디아의 후손이 기성세대가 경험한 외상적 역사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려고 한다. 


린다는 아트스페이스(Artspace), 카줄라 파워하우스 아트 센터(Casula Powerhouse Arts Centre), 퍼스트 트레프트 갤러리(Firstdraft Gallery) 및 세븐스 갤러리(SEVENTH Gallery)에서 전시회를 가졌었다. 그녀는 뉴사우스웨일즈 대학교 (UNSW Art & Design)에서 순수 미술 학사를 일등급 우등의 성적으로 졸업했다. 2021년에 그녀는 래번지우드 여성 미술 공모전(Ravenswood Women's Art Prize), 풋스캐리 아트 프라이즈(Footscray Art Prize)의 결선 진출자였으며, 2022년에는 세멘타(Cementa)의 일환으로 작품을 전시할 예정이다. 린다는 현재 미국 보스턴 현대 미술 센터(Boston Center for Contemporary Art)에 거주하는 예술가이며 올해 말 뉴욕의 텍스타일 아트 센터(Textile Art Center)에서 전시를 가질 계획이다. 


린다의 작품 소금물에 담그다(Salt Water Deluge, Tucoerah River)는 크메르 루즈의 잔혹한 정권에 따른 문화의 치유와 보존을 중심으로 한 작품이다. 그녀의 모계에서 전해지는 전통적인 실크 직조 기술은 표적이 된 많은 예술 형식 중 하나였으며, 크메르 루즈에 의해 지워질 뻔했다. 이 작품은 그녀의 자매인 솔리나 속(Solina Sok)과 제작했으며, 소금과 캄보디아의 투코에라(Tucoerah) 강에서 채취한 물, 캄보디아 장인이 공급한 실크 작물을 사용했다. (물은 지역 관리인의 허가를 받아 수집되었다.) 실크 직물을 식염수에 담그는데, 이는 린다의 부모님이 야채를 담그는 것과 유사한 과정이다. 소금과 물에서 발견되는 보존 및 치료 특성을 활용하여 이 작품은 외상이 물체와 생존자에게 어떻게 스며들고 치유 조치와 치유 과정을 바라보는지를 나타낸다.



Meng-Yu Yan 맹유 얀

Jade City

맹유 얀은 포토 미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호주에서 다분야에서 활동하는 예술가이다. 그녀의 작업은 아날로그 조작, 조각, 시간 기반 매체 및 설치와 디지털 사진을 혼합한다. 맹유는 청중과 '사진 게임'을 즐기는 일종의 트릭스터를 구현한다. 그녀의 관행은 거울, 반사, 빛, 렌즈, 유리 및 물을 사용하여 시각적 환상을 불러일으키고 현실에 대한 비전을 왜곡하는 등, 다양한 형태와 재료를 혼합한다. 자발성과 실험을 특징으로 하는 맹유의 연습은 자기 성찰과 소외와 함께 강한 개념적인 참여를 전달한다. 1세대 호주-중국 퀴어 아티스트인 맹유의 작업은 인종, 문화, 섹슈얼리티, 젠더 정체성 사이의 교차점에 일관되게 직면하고 있다. 파편화, 다중성, 무의식으로 특징지어지는 그녀의 자화상은 초현실주의 사진가를 연상시킨다. 


맹유의 첫 번째 개인전 오쿨렐라-비전과 은폐(occulere – vision & concellment)는 2017년 도미닉 머쉬 갤러리(Dominik Mersch Gallery)에서 데뷔했다. 2019년 맹유는 프랑스 파리(Cité Internationale des Art)s에서의 레지던시 기금으로 로스 스틸(Ross Steele) 장학금을 받았다. 맹유는 2020년 뉴사우스웨일즈 대학교(UNSW Art & Design)에서 호주 정부 RTP 장학금이 지원하는 순수 미술 석사를 마쳤다. 


그녀의 작품은 중국 톈진 시를 촬영한 이미지들로 제작된 연작이다. 맹유는 기 드보르의 '파생론'에서 영감을 받아 톈진의 도시 풍경을 헤매며 수백 장의 이미지를 촬영했다. 톈진 도시 자체는 헝가리, 벨기에,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및 러시아를 포함한 많은 국가에 의해 점령되었었다. 각 국가는 톈진 도시의 얼굴에 자신의 흔적을 남겼다. 그 결과, 도시 경관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분열되고 다면적이다. 


작가는 이 이미지를 결합하여 도시 정체성의 파편화, 거주민의 이동, 현대 중국을 장악한 급속한 도시화를 표현하는 디지털 콜라주를 만들었다. 이미지는 내부 풍경과 디아스포라에 대한 작가 자신의 경험의 표현을 반영하고 있다. 각각의 이미지는 함께 꿰매어진 꿈의 조각처럼 서로 겹치는데, 안개가 자욱한 이미지는 옥을 연상케 하며 작가 자신의 이름을 반영해 '옥의 꿈'으로 번역된다.



Shiya Lu 시야 루

시야 루는 호주에서 작업하는 아티스트이자 크리에이티브 프로듀서이다. 중국 쓰촨성 메이산에서 태어난 시야는 16세에 영국의 기숙학교에 다녔었다. 2012년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수학을 공부하던 중 자퇴하고 문화 저널리즘 및 크리에이티브 분야에서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지난 몇 년 동안 시야는 다양한 분야에서 일하며 경력으르 쌓았었다. (Shaun Parker & Company 호주, Ibsen International 노르웨이, WorldService Project 영국, Ergao Dance Production 중국, Helsinki Festival 핀란드, The Festival Academy 벨기에, and the Edinburgh International Festival 영국) 그녀는 또한 중국어와 영어로 문화 출판물에 자주 글을 쓰고는 한다. 


2019년 시야는 연극과 시각 예술에서 문화 간의 협력에 전념하는 이니셔티브인 플라잉 하우스(Flying House Assembly)를 설립했다. 이 회사의 데뷔 작품인 협상(A DEAL)은 호주 시드니 대학교(Usyd, University of Sydney)로부터 빛나는 아이디어 상(Bright Ideas Grant)을 받았고 찬사를 받았다. 


시야는 AFTT 영화, 극장, 텔레비전(AFTT, Academy of Film, Theatre & Television)에서 무대 관리를 공부하고, 국립 연극 예술 연구소(NIDA)에서 감독(Directors Studio) 과정을, 베를린의 노드 큐레이팅 코스(Node Center for Curatorial Studies)에서 국제 큐레이터 프로그램을 이수했다. 


시야는 다양한 나라에서의 문화 및 여러 분야에 걸친 풍부한 경험을 통해 그녀의 예술적 실천에 대한 독특한 접근 방식을 찾을 수 있었다. 시야는 비디오, 사진, 설치, 도자기, 공연 예술, 큐레이팅 및 몰입형 기술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작업하며 항상 창의적인 표현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그녀의 비디오 작품, 바다에서의 바람(Wish by the Sea)은 작가가 10년 이상 고향을 떠나 세계를 떠돌던 경험을 담은 영상 작업이다. 떠난 가족에 대한 깊은 감정적 그리움과 그 사이와 망명의 삶의 경험을 표현하고 있다. 영상은 작가가 할머니와 재회하기 위해 어린 시절부터 가정식 요리를 배운 방법을 보여준다. 작가는 요리와 시드니의 풍경과 바다 풍경의 병치를 통해 디아스포라 중국인에게 음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물고기는 기억, 전통, 상실의 화신이 된다. 고향의 맛은 이 세대 관계를 연결하는 실이며, 바다는 이론가 에드워드 사이드가 "인간과 본토 사이의 치유할 수 없는 균열"과 "본질적인 슬픔"으로 묘사한 추방감을 불러일으키는 장소가 된다. 그녀의 작품은 코로나 팬데믹 기간 동안 제작되었으며 작가가 가족과 헤어져야 하는 상황에서 전적으로 시드니에서 촬영되었다. 움직이는 이미지, 음식, 소리 및 내레이션을 합성하여 친밀하고 시적인 시청각 내러티브를 불러일으킨다. 이 작품은 홍콩 점핑 프레임 페스티벌을 위해 처음 제작되었으며 이후 마카오 롤아웃 댄스 영화제와 광저우 타임스 박물관의 "병원이 되는 미술관" 프로젝트에서 상영되었다. 



Yang Qiu 양치우

Dancing Squash Vase 2021  Stoneware, Underglaze, Glaze.

양치우는 호주 시드니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예술가이다. 미술을 시작하기 전에 요리사로 직업을 가졌던 그녀는 회화와 도자기에서 음식의 표면과 형태를 탐구한다. 양은 도자기를 석고 틀로 만드는 기법으로 야채(옥수수, 가지, 호박)와 과일(아보카도, 락멜론, 귤)을 기능성 도자기 식기와 조각으로 변형시킨다. 또한 그녀는 도예와 회화의 다학제적 실천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알기 위해 자신의 자화상 같은 작품들을 작업한다. 그녀는 삶의 다양한 단계에서 자신을 기록하기 위해 다양한 시기에 거쳐서 자신의 작품을 자화상이라고 생각하고 작업한다. 


양은 2017년에 AD스페이스(AD Space)에서 전시회("This Is What Your Tax Dollars Are Paying For", Sydney Craft week)를 가졌다. 굿스터프 @굿스페이스, 굿스페이스 갤러리(Goodstuff @ Goodspace, Goodspace Gallery) 갤러리에서도 전시를 했다. 시드니의 캐리로웨(Kerrie Lowe) 갤러리에서 주최했던 더 시드니 티팟쇼(The Sydney teapot show)와 블랙타운 시티 아트 프라이즈(Blacktown City Art Prize)에서 수상했다. 


양의 많은 작품들에게서는 버섯을 찾아볼 수 있다. 버섯은 균류의 일종으로 햇빛이 많이 들지 않는 어두운 곳에서 자라는 것을 좋아한다. 그들은 그들이 살고 있는 죽은 식물과 썩어가는 식물에서 필요한 영양소를 흡수하고는 한다. 이 버섯 작품 시리즈는 양의 자화상이다. 그녀의 스튜디오와 같은 그녀만의 공간에서 그녀 스스로가 얼마나 안전하고 자신감을 느끼는지를 나타낸다. 잘 보이지 않는 곳에 사는 버섯처럼 그녀 자신을 계속 번성하고 아름답게 된다. 꿰뚫어 보는 시선, 의견, 기준, 규칙이 많은 대중 앞에서 그녀는 잘 나서지를 못한다. 그 환경은 마치 아주 개방된 밝은 곳에서 버섯이 변질되는 것처럼 그녀를 불편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양은 수줍어하고 내성적이지만 그녀는 그녀만의 세상에서 그녀 자신이 될 수 있다. 사람들은 그녀의 세상을 볼 수 없지만 그녀의 세상은 여전히 버섯처럼 존재하고 번창하고 있다. 그녀의 도자기 야채는 호주를 대표하고, 이 야채와 과일에서 자라는 버섯은 호주에 사는 아웃사이더인 그녀 자신을 나타낸다. 버섯이 사는 곳에서 영양분을 흡수하듯이 그녀는 호주의 문화와 교육, 지식을 흡수하여 지금까지 살아남았다. 버섯처럼. 



Young Zoo Chung 정영주

Song of Mother  Size: 76x101cm

정영주 작가님은 호주 시드니에서 활동하시는 한국 작가분이시다. 홍익 대학교에서 미술을 전공하셨고, 2001년에 가족과 함께 호주로 이민을 오셨다. 현재 정 작가님은 시드니 한국 여성 미술 협회(KWASS)의 주요 회원 중 한 명으로 한국 여성들의 예술 활동을 돕고 계신다. 작가님은 호주에서 다년간의 호주 이민자로서의 삶과 예술에서 한국인의 정체성에 대한 경험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녀의 그림에서 정영주 작가님 본인은 현재 호주에 살고 있지만 자신이 태어나고 자란 고향인 한국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하고 있다. 시드니에서 한국 여성 작가로 활동 중인 그녀는 자신의 경험과 감정을 그림으로 표현하고 아름다운 순간을 관객에게 포착한다. 꿈결 같은 동화 같은 색채 뒤에는 오랜 호주 이민자의 슬픔과 문화적 배경이 있다. 그녀는 한국에 대한 그리움을 예술로 승화시켰다.


그녀의 그림에서 그녀는 자신의 디아스포라 경험을 확대하는 '제3의 예술'을 만들었다. 그녀의 '이민 예술'에는 남다른 감성이 담겨 있는데, 호주와 한국의 배경과 문화가 뒤섞인 그녀의 그림 속 현실은 슬프고 힘든 삶이지만 밝은 색으로 표현해 관객들에게 희망이 있다는 메시지를 주고 있다.


그녀의 '어머니의 노래'는 한국에 있는 병든 어머니에게 돌아갈 수 없는 안타까움을 담았다. 그녀는 이런 비극적이고 슬픈 상황을 몽환적이고 동화적인 관점에서 묘사했다. 사진 속 병든 어머니 밑에 있는 말린 꽃은 영적인 인연이 있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상징한다. 그녀는 병든 어머니를 보호하고 노래를 부르는 천사를 본다. 그녀의 그림에 담긴 밝고 따뜻한 색채는 그녀가 자신에게 주는 위안과 치유를 의미한다. 그녀의 작품은 호주에 사는 이민자로서 돌아갈 수 없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감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현재 이 브런치 글의 대표 이미지 : On the way

Size: 48 cm x 55 cm

Medium: Oil on canvas



Zi Qin(Leon) 레온

레온은 호주 시드니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중국-호주 예술가이다. 그는 현재 호주의 뉴사우스웨일즈 대학교(UNSW,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에서 공부하고 있다. 

중국과 호주에서의 생활 경험을 바탕으로 이민자로서의 사회적, 문화적 투쟁이 그의 예술 작품에 중요한 영감을 준다. 문화적 차이, 언어에 대한 좌절의 고통을 불러일으킨 경험에 의해 그는 드로잉과 회화를 통해 타인과의 형언할 수 없는 관계를 포착하고, 유머와 불안감 사이의 긴장을 그림 속에서 탐구한다. 그는 일상적인 오브제의 존재를 재고함으로써 그러한 재료를 도시의 외로움의 이미지로 재 맥락 화한다.


레온의 모든 페인팅 작품은 그가 찍은 사진을 기반으로 한다. 사진들을 그림으로 재창조함으로써, 그의 작품들은 마치 레온의 삶의 수정본처럼 작용하게 된다. 그는 익살스러운 표정의 인물들로 이민자로서의 자신의 감정과 경험들을 그림에 표현한다. 



작가의 이전글 호주의 락다운, 이제 끝이 보인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