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조영필 Zho YP Feb 01. 2023

Karl Marx의 원자론적 인식에 관한 비판적 연구

이조원

이조원 (1985), Karl Marx의 원자론적 인식에 관한 비판적 연구, 서울대학교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




G. Mclennan(1981, p39)은 Marx의 모든 작품이 실제적인 이론에 대한 철학의 부당한 간섭을 비판하는 경향과 포괄적인 철학적 일반화를 고무하는 변증법적 사유경향간의 갈등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Adam Schaff(1963, p84)는 초기 Marx가 관념론과 유물론의 상반된 영향하에서 논리적 미성숙을 논거로 자율적 자기창조의 존재와 초인간적 구상의 상반된 2개의 원리에서 출발한다고 보았다.


Marx 사상의 준거틀로 그의 원자론(Atomism)을 제시하고자 한다.

1841년 Jena 대학에 제출했던 박사학위 논문에서 Marx는 자연철학자 Democritus와 Epicurus의 차이점을 최초로 제기하면서(Livergood, 1967), 기계적 결정론으로 치닽는 Democritus의 유물론보다 원자운동의 우연성과 자의성을 포착한 Epicurus의 유물론을 보다 강장성(Viability) 있게 평가하고, 역사의 필연성을 강조하면서도 한편, 인간의 역할을 제한적이나마 인정해 주는 관념론적 유물론(Dunayevskaya, 1958)을 지지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그의 원자론적 관점은 "Marx 사상의 진수(essence)이며, 그후 남아있는 39년간의 생애동안 계속 유지되고 발전된다"는 Dunayevskaya의 말은 정당하다고 보여진다.


Marx는 그의 한 초기작품에서 그의 박사학위 논문을 내게 된 원인이 고대희랍의 Aristoteles 이후의 철학과 Hegel 이후의 그것의 유사성을 발견했기 때문이라고 밝힌 바 있다. 위대한 철학의 대 체계가 완성된 후 그 다음의 문제는 그것을 어떻게 실현하며 어떻게 실천하는가 하는 것인데...


Marx에 있어서 유물론의 특징은 보통 18세기의 유물론자들(Feuerbach, Condorcet, Holbach, Diderot 등)과 달리 물질의 구성요소 내부에서의 운동 개념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데 있는 것이며 이런 점에서 그의 유물론은 특히 변증법적 유물론(Dialectic Materialism)이라 일컬어지는 것이다.


Epicurus는 원자를 세계의 모든 현상의 물질적 기초로서 뿐만 아니라, 고립된 개인의 심벌(Symbol), 즉 추상적 인간들의 자의식의 형식적 원칙으로까지 확대 간주하였던 것이다 (Mehring, 1962, p29).


원자론의 창시자는 Leukippos와 Democritus로 보통 알려져 있으나, Leukippos는 확실치 않는 인물로서 그들의 위대한 추종자인 Epicurus는 그의 존재자체를 의문시 하였으며, 몇몇 현대학자들도 그의 실존을 부인해왔다 (Guthrie, 1960, p.71).


고대 원자론은 Elea 학파의 무우주론을 극복하고 소위 현상을 구제(ta phainomena sozein)하는 과제를 출발점으로 해서 성립된 이론체계이다. 이 과제는 Elea 학파가 부정했던 존재자의 다수성과 운동의 가능성이 다시 이론적인 설명원리로 제시되는 것이다.


... 다른 다원론자들과는 달리 원자론자들은 이 두 설명원리들... 의 도입은 빈 공간의 긍정을 전제한다는... 점에 그 특색이 있... 다 (Russell, 1945, 한철하역, 1984, pp.90-91).


Leucippos와 Democritus가 빈 공간을 비존재라로 불렀던 것은 사실로 보이는데 그렇다면 Aristoteles가 지적하듯이 이들은 비존재자 역시 존재자 못지않게 존재하는 것이라는 꽤 역설적인 주장을 한 셈이 된다.


원자론자들에게의 역시 중심되는 2개의 중요가정은 원자의 운동과 그 운동을 가능케 하는 빈 공간(Void)개념의 도입이었다.


원자론자들은 Empedoocles의 끌어당기는 힘과 반발하는 힘 또는 Anaxagoras의 정신과 같은 별도의 운동원인을 가정하지는 않았다...


전반적으로 볼 때 그(Democritus)의 원자론은... 2가지 점에서 특징을 이룬다. 첫째로 모든 원자들의 차이점은 양적인 면, 즉, 크기와 모양에 있어서만 발견되고 질적 특성 및 차이는 없다고 보았다... 등질적 원자들이 결합하는 구조방식 때문이며... 질은 양의 작용에 불과한 것이다. 둘째, 운동, 변화, 성장, 소멸 등은 외부의 힘에 의해 강요되는 것이 아니라 원자의 고유한 활동 내지 원자 자체의 본성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본 점이다. 사물의 변화는 변화의 과정속에 있는 원자들의 자연적이고 자발적인 운동의 결과라는 것이다...


기원전 338년부터 323년에 걸친 Macedonia에 의한 희랍 정벌은 Police적 체제를 붕괴시키고 하나의 제국으로 발전되어 갔다.

---------------------

주41) Epicurus는 쾌락을 능동적(Active)인 것과 수동적(Passive)인 것 또는 동적(Dynamic)인 것과 정적(Static)인 것과의 구별에 있어서 전의 쾌락주의자(Hedonist)들과 견해를 달리한다. 동적 쾌락은 소망된 목적을 달성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언제나 고통이 동반되는 것이다. 정적 쾌락은 균형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인데, Epicurus는 이 두 가지 종류의 쾌락 가운데 둘째 종류의 것을 추구하는 것이 지혜롭다고 주장한다.

-----------------------------


이들에게 탈정치적 현상은 보편적이었으며 시민이라는 것보다 개인의 자기통제(self control) 혹은 자기성찰(self-reflection)이 보다 중요한 문제가 되었던 것이다.


... 이러한 마음의 평정을 얻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방해물이 종교와 사망의 공포라고 보았던 것이다.


영혼은 원자로 구성된 물질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죽을 때에 영혼의 원자는 분해된다...


그(Epicurus)는 원자가 각각 다른 방향으로 직선운동한다는 Democritus의 관점과는 달리 그의 원자는 각각 무게(weight)를 가지며, 계속하여 아래로 낙하운동을 하는 실체라는 것이다... 그러나 원자는 때때로 자유의지와 같은 것들에 작용되어 고유한 운동궤도를 벗어나 다소 빗나가는 궤도일탈(swaying of atom)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원자들간의 충돌과 소용돌이(Vortex)가 가능해지며 이로부터 어떤 사물이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다.


... 원자의 운동은 필연성을 본질로 하나 그 필연성을 부정한 자기부정적 우연성에 의해 그 본질인 필연성을 실현할 수 있다고 하는 변증법적 구조가 그의 원자론의 핵심이다 (田邊元, 1955, pp.187-201).


Democritus와 Epicurus 원자론의 차이점은 기본적으로 그들의 이론적 추구목표에서부터 유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전자는... 자연철학적 요구에 답변하기 위한 것으로... 후자는... 인간의 해탈 등이 중요한 문제였던 것이다.


... 구체적 내용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인식론적 측면에서 전자는 감지되는 현실 세계를 주관적인 환영(subjective illusion)으로 간주하는 반면에 후자는 그것을 객관적인 실체(objective appearance)로 받아들인다...


또 다른 차이점은 자연현상에 대한 필연성(encessity)의 인정 여부에서 발견된다. Democritus에 있어서 필연성이란 운명이자 법이며 세계 창조자의 섭리(providence)에 해당한다... 이에 비해 Epicurus는... 필연성은 결코 존재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이고 중요한 차이점은... 원자운동의 내용이다. Democritus에게서 원자란 그것의 모양과 크기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이지만 Epicurus는 무게의 개념을 추가하였다. 그래서 원자들은 그것 때문에 아래쪽으로 떨어지도록 강요되며 이런 운동이 물체의 본질적 성향으로 간주되어지는 것이다...


... Marx는 Epicurus의 원자론에서 비결정론적 유물론의 요체를 발견하게 됨으로써 관념론적 유물론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 Marx는 Feuerbach에 있어서 즉자적인 자연을 가능케 한 즉타적인 인간을 분해하여 완전히 자연속에 포함시킴으로써 종전의 유물론과 구별되는 완전한 일원론적 관점으로 승화되었다.


Marx는 어떤 사회체제가 소멸해서 다른 사회조직에 이행함으로써만 그 생산력이 해방된다는 역사법칙을 설정했지만, 그 법칙의 기본은 Hegel에 있었다. 즉, '어떤 것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단계는 그것이 소멸하기 시작하는 단계이다'라고 Hegel은 말했던 것이다 (Marcuse, 1958, pp.136-137)


Marx의 유물론적 변증법은 생산력과 생산관계간의 모순을 원동력으로 하는 역사전개의 원리이다. 여기서 '유물론적'(materialistisch)이라 함은 자연과학적 순수한 물질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사회단계에 기초가 되는 경제적 물질과 이를 다루는 기술까지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을 뜻한다.


그런데 Engels는 Marx의 물질의 개념을 순수 자연과학적 의미에 국한시켜 이해하고, 물질적 자연 자체가 변증법적 운동을 하는 것으로 보았다.


... 따라서 역사의 변증법적 발전의 기초가 되는 물질의 개념을 순수한 자연적 물질로 다룸으로써 자연은 Engels에 의해 신비화되었고, 또한 Marx의 유물사관은 이로 말미암아 사관이 아닌 유물론적 형이상학으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이처럼 인간과 인간의 역사까지도 자연변증법으로 설명하려는 Engels의 시도로 Marx주의 역사관은 Isaiah Berlin이 지적한 것처럼 '역사를 일종의 물리학의 차원으로 환원시키는' 것이 되었다 (Berlin, 1954, p.42).


... 당시 Victor Chernov가 Marx와 Engels의 변증법을 비교하여 Engels는 '소박한 독단적 유물론' 또는 조잡하기 짝이 없는 유물론적 독단론'으로 평가했다는 것이다.


어쨌든 Engels의 유물론적 형이상학은 Lenin을 필두로 소위 정통 Marx주의에 계승되어 오늘날 Marx주의 철학에 변증법적 유물론으로 정착되었으며, 이것은 유물사관(또는 사적 유물론)과 함께 그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Tucker (김학준, 한명화 역), p.47).

------------------------

주74) George Lichtheim과 Jurgen Habermas 등은 Marx의 자연주의가 역사적으로 F. Engels, Karl J. Kautsky, Lenin, Stalin에 의해서 형이상학적 유물론으로 변질되었다고 지적했다 (Lichtheim, 1971, p.25; Habermas, 1971, p.200).

-------------------------------


... Merleau-Ponty는 다음과 같이 비판하고 있다.

'만역 자연을 인간밖의 자연 그 자체로 볼 때, 거기에서는 변증법의 성립에 필요한 관계도 나올 리 없다... (Merleau-Ponty, 1964, p.126).

Merleau-Ponty가 지적한 바와 같이 변증법이라는 것은 인간을 떠나서는 있을 수 없는 것이다. 만약 자연이 스스로 변증법적으로 전개되는 것으로 보게 되면 자연은 신비화되어 버린다. 바로 이런 점에서 Engels의 변증법적 논리는 신비적이고 형이상학적 유물론의 특색을 띠게 되는 것이다.


... 역사란 자기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인간을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의 목적을 추구하면서 있는 인간의 행위에 불과하다.



Note:

이 석사 학위 논문은 대단히 훌륭한 논문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인터넷상으로는 실제 자료를 습득할 수 없다. 그리고 이 저자 또한 학계로 진출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학창시절부터 보관해온 자료에서 내게 필요한 부분만을 발췌해 본다. (2023. 2. 1.)




매거진의 이전글 뱃사람 신밧드 이야기 모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